샤담

1 로도스도 전기의 등장인물.

사막의 왕국이라 불리는 플레임의 중신으로, 바람 부족의 차기 부족장임에도 외부인인 카슈 알나그를 플레임의 으로 추대한 인물이다.[1] 거의 재상과 다를 바 없는 이지만 평상시에는 용병부대의 지휘관으로서 병사들을 관리한다. 삐쩍 마른 외모에 날카로운 인상으로 그에 걸맞게 성격 또한 냉철하고 건조하게 묘사된다. 하지만 무뚝뚝한 중에도 성실하고 사려깊은 면이 있어, 최전선에 나가는 카슈를 배웅하며 "살아남으십시오. 목숨 바쳐 희생한다고 하기 전에 살아서 이기고 돌아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라고 말하는데 그 말에 카슈는 미소를 지었다.[2]

그의 성품을 잘 나타내주는 일화로, 후에 동생이 카슈에게 시집을 가 왕비가 되었는데 오빠라는 치가 한다는 소리가 '(왕의) 호위를 하나 더 늘렸을 뿐....'이었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이 사람이 무슨 권력을 위해 가족, 친지조차 도구 다루듯 하는 냉혈한인 것은 아니고, 오히려 그만큼 나라일에 사심을 반영하지 않는 공정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명실상부한 플레임의 2인자[3]로 엄청난 권력을 가지고 있으나 권력을 휘두르는 건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에 대해서는 "그 친구 덕분에 용병들을 공짜로 부려보기도 하는군요."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슈팅스타와 관련한 사건 당시 자유도시 라이덴에 파견되었는데 마룡의 공포에 떠는 라이덴의 시장을 능글맞게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2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의 등장 고마 일족의 간부

샤담 중좌 항목 참조.

  1. 원래대로라면 이 사람이 플레임의 왕이 되었어야 했는데 그는 카슈를 왕으로 세웠고, 자신은 은거하려 했다. 카슈나 바람 부족 장로들이나 여론은 뜨악해 결사반대했지만 뜻을 굽히지 않았고 자신이 있으면 분란이 생길 소지가 크다고 극구 물러나려 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카슈가 그걸 막고 그에게 중요한 직책을 맡겼다. 나라의 중심이랄 수 있는 두 사람이 서로를 굳게 믿고 아끼는데 이는 플레임을 로도스 최강국으로 만든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 신하가 주군께 올리는 말치고는 너무 지나칠 정도로 파격적이지만, 그 안에 깃든 서툰 진심츤데레을 알아차렸기에 기쁘게 받아들인 것.
  3. 원래 바람부족을 이끌던 인물이기도 하고, 카슈의 신임이 두터운데다 공작이란 높은 작위까지 제수받았다. 그런데다 왕의 직계손을 제외하곤 이 사람이 왕위계승권 순위가 제일 높다. 카슈는 자식이 없고 불꽃 부족장의 후예인 스파크는 마모로 갔으니 차대의 플레임 국왕은 샤담의 가계에서 나올 듯. 어째 딱 숙청되기 좋은 포지션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