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서울특별시 성북구 마을버스 |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2 | 13 |
14 | 15 | 20 | 21 | 22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01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동구마케팅고후문) | 종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삼선동주민센터) | ||
종점행 | 첫차 | 05:20 | 기점행 | 첫차 | 06:10 |
막차 | 23:55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4분 | 주말배차 | 4분 | ||
운수사명 | 아리랑교통 | 인가대수 | ? | ||
노선 | 동구마케팅고후문 - 성북구민회관 - 301동 - 207동 - 스카이플라자 - 105동 - 성북문화원.한성대입구역 → 삼선교.1~2시장 → 삼선동주민센터 → 돈암초교 → 성북문화원.한성대입구역 → 이후 역순 |
2 개요
아리랑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해오름한신한진아파트와 한성대입구역을 이어준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성북구 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대개편 때 번호만 성북01번으로 바뀌었다.
4 특징
한신/한진 아파트단지의 주민들이 한성대입구역 및 시내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노선이다. 아파트 규모 자체도 상당히 큰 편인데다, 지도에서 보이는 것과는 달리 아파트 단지가 꽤 높은 언덕 위[1]에 위치해 있어서 대로까지 걸어서 이동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배차는 4분 단위이나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노선이 통과하는 동소문로의 교통체증이 상당히 심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한신/한진 아파트단지 주민들의 불만이 많은데 이 노선의 수요 거의 대부분이 아파트단지~한성대입구역이기 때문이다.[2] 그러다보니 회차지점을 구 혜화로터리나 대학로(혜화역 성균관대 셔틀버스 타는곳)으로 옮겨달라는 민원[3]이 가끔 제기되는데 서울시에서는 마을버스 타 구 진입 불가능을 내세워 허가하지 않고 있다.[4]
다만 출퇴근시간에는 한꺼번에 2대씩 오기도 하며 그래도 버스를 타려는 줄이 너무 길어 다 못 타는 경우도 있다.
언덕 위에 있는 아파트단지다 보니, 버스 기사들이 조금만 속도를 내도 언덕길에서 탄력이 붙기 때문에 롤러코스터를 타는 느낌마저 든다.
5 연계 철도역
- ↑ 산을 깎아서 만든 아파트단지다.
- ↑ 전혀 막히지 않는 아파트단지 구간은 만차로 다니고 교통정체가 심한 구간은 거의 빈차로 다닌다.
- ↑ 전자의 경우는 회차길이가 짧아지며 후자의 경우는 막히는것은 똑같지만 수요층이 많은 번화가를 지나게 되며 무엇보다 마을버스-일반버스간 환승이 쉬워진다.
- ↑ 원칙적으로는 맞는 이야기지만 이미 서울시 마을버스에는 수많은 예외가 있다. 아예 경기도까지 갔다 오는 마을버스도 있고.
아파트 주민들은 대학로보다는 성신여대 번화가를 이용해 달라는 구청의 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