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성북02

서울특별시 성북구 마을버스
010203040506
070809101213
1415202122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02번
기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한성대정문)종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우리옛돌박물관)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10
막차00:00막차00:10
평일배차12분주말배차12분
운수사명성삼운수인가대수3대
노선한성대정문 - 성북세무서 - (→ 삼선시장 →/← 녹십자약국 ←) - 한성대입구역 - 성북동주민센터 - 동구마케팅고 - 홍대부중.고교 - 성락원 - 길상사 - 우리옛돌박물관

2 개요

성삼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이며 왕복 운행거리는 5.8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성북구 3-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개편 때 번호만 성북02번으로 바뀌었다.
  • 2015년 4월 1일에 '홍대부중.고교 - 길상사' 구간이 연장되었다.

4 특징

사실상 한성대학교 셔틀버스다. 사실 학교 자체 셔틀버스가 있지만 항상운행이 아니라 특정시간 운행이라서[1] 이 마을버스를 타고 통학하는 경우가 많다. 덧붙여서 교통카드로 여기 오는 대다수의 한성대학생들은 당연히 이 버스를 공짜로 탈 수 있으니 통학시간에는 미어터진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내려서 언덕을 걸어 통학하느니[2] 마을버스를 탑승한다. 하교 때도 인기가 장난이 아닌 편

아침 통근시간대에는 근처 한성여중, 한성여고, 한성대, 동구여상, 일반주민,까지 합쳐져서 가축수송이 벌어진다.여기서 끝이 아닌게, 창신동에 사는 경신중고생의 경우 이 버스를 타고 경신중고등학교로 등하교하기도 한다. 주로 종점역인 한성대정문역으로 오는 버스엔 한성대학생과 한성여중,한성여고 학생이, 한성대정문역에서 출발하는 버스엔 경신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떼거지로 탑승한다(고추밭이 따로없다.) 중고등학생의 등하교시간이 아니면 그 남은 시간은 내내 한성대생들이 독점중이다. 결국 학기중일때 낮에는 내내 만원인 버스이다.

한성대입구역에서 정차하는 장소가 한성대학교 셔틀버스와 거의 동일하다. 같은 곳에서 지하철 역사 출구에 가까운 기둥은 02번, 먼 곳은 셔틀버스가 서게 된다. 이 때문에 한성대입구역 앞은 학생들의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가 먼저 오는 버스를 향해 움직이는 진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다만, 셔틀버스는 셔틀답게 중간의 모든 정류소를 통과한다. 반대로 이 노선은 정류장 수가 5개이지만 학교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근처에 내려서 간식 먹고 학교로 들어가려면 이 노선이, 학교로 바로 가려면 셔틀이 유리한 편이다.

그렇지만 이런 만원현상도 낮과 학기중, 한성대학교~한성대입구역까지만이다. 그 외의 시간이나 지역에서는 충실하게 마을버스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한성대정문 하차 후 삼선푸르지오 방향으로 걸어 한성대 뒷산을 올라가 종로03번을 탈 수는 있으나 경사가 30도를 넘어가기 때문에 별로 권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종로03번은 공학관에서 가깝기 때문에 목적지가 탐구관인 학생들에게는 비추천.

방송으로도 안내해 주지만 한성대학교에 도착하면 180도 회전을 해서 정차한다. 회전반경이 작고, 회전하는 곳이 경사면이니 딴짓하지말고 손잡이 꽉 잡고 있자. 단,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하지 않고 한성대학교 택시 승강장쪽에서 승객을 내려준 후 차를 돌리기도 한다. 하지만 후자는 정말 드물게 벌어지는 일이다.(...) 정문 기준으로 줄이 눈에 보이므로 알아서 가서 서있으면 된다.

5 연계 철도역

  1. 보통 오전 등교시간과 오후 하교시간, 그리고 낮 점심시간(?)에 운행한다. 방학 때는 아예 운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는데 오전, 오후시간대에만 운영왜냐면 교수님들도 출퇴근하셔야 하니까
  2. 언덕 경사가 은근히 세고 거리도 꽤 길다. 하지만 이 버스가 다니는 길이 최단거리가 아니다. 더 짧은 길이 있다. 신입생들은 잘 모르지만 재학생들은 익숙해져서 친목도모나 교통비도 아낄겸 하교시에는 걸어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