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centerfire1.jpg
어차피 이런 문서 들여다볼 정도라면 지겹도록 봤겠지만 센터파이어 탄약의 뒷면은 이렇게 생겼다.
1 개요
탄종 중 탄피 뒷부분 가운데의 뇌관을 쳐서 그 폭발력으로 장약을 격발시키는 것을 말한다. 현대 총기류에서 쓰이는 탄약은 .22 Long Rifle같은 특이한 종류가 아니면 권총탄부터 산탄총탄까지 거의 이 탄종이라고 보면 된다.
지금도 세계에서 여러 명의 사람을 죽이고 있을 7.62mm과 5.56mm 탄약도 이 탄종에 들어간다. 물론 12.7mm같은 중기관총용 탄약도 센터파이어 탄약 구조다. 물론 민수시장에서는 .22 LR을 위시한 저위력 림파이어 탄약이 아직까지 강세지만 이는 민수용 탄약의 경우 림파이어 탄약의 단점이 장점으로 둔갑하기 때문이며, 본질적으로 민수용 탄약은 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구조등에서 큰 문제가 있으므로 탄약의 주류로 보긴 어렵다.[1]
2 상세
이런 탄약이 나오게 된 배경을 꼽자면 그 전의 핀파이어 탄약과 림파이어 탄약이 가진 문제점부터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핀파이어는 핀을 건드리기만 해도 격발되는 문제가 있어서 림파이어가 나오게 됐지만, 이번에는 사람에 의한 오발이 아니라 림파이어 자체의 기술적 한계에 부딪혔다. 림파이어는 림의 격발용 화약을 뇌관으로 사용한다는 것 때문에 탄피를 두껍게 만들 수가 없었고[2], 탄피보다 더 크게 돌출하는 림의 존재 때문에 당장 탄창에서 잼이 발생하는 등 자동화기를 만드는 데 애로사항이 꽃폈으며, 결정적으로 이런 문제를 극복한다고 해도 자동화기면 피할 수 없는 쿡 오프 문제가 불거져나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림파이어는 림 자체가 터져버리기 때문에 탄피의 재활용도 어려웠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센터파이어 탄약이다. 센터파이어 탄약은 기본적으로 탄피의 뒷면에 총기의 공이로 충격을 주어 터뜨리는 뇌관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뇌관이 충격을 받으면 고열의 가스가 장약을 향해 분출되면서 장약이 2차 폭발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탄자를 발사하는 방식이다.
기술적으로 탄피를 얼마든지 두껍게 만들 수 있게 된 덕에 장약의 폭발이 탄피 파손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막고, 쿡 오프 현상의 빈도가 줄어들었으며, 매그넘을 위시한 고위력 탄환이 개발되는 계기도 되었다. 또 자동화기용 탄약에 애초에 림을 넣을 이유 자체가 없어지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서 기폭약을 직접 탄피 내부에 넣지 않고, 교체가 가능한 뇌관으로 따로 분리함으로서 유폭이나 오발의 가능성을 줄이고, 뇌관에 이상이 있으면 뇌관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도 쉬운데다가 탄피를 재활용하서 리로딩하는 것도 쉽고 간편하다.
거의 유일한 단점은 탄피의 제조가격이 다른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특히 뇌관 안쪽에 탄약의 격발과 관련돼서 약간 복잡한 앤빌 부분이 따로 있는데, 이 부분의 제조 때문에 단가가 올라간다. 그러나 이런 사소한 단점은 앞서 말한 엄청난 장점으로 인해 거의 없는 셈으로 친다.
3 종류
센터파이어는 뇌관을 격발하는 앤빌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복서식과 버든식으로 나뉜다.
- 복서식 : 앤빌 부분이 뇌관 자체에 붙어 있다. 따라서 탄피 제작시 비용이 절감되지만 대신 뇌관 제작비용이 증가한다. 그러나 현대의 대량양산체계로 인해 뇌관생산비용이 급락하면서 상대적으로 탄피가공에 손이 덜가고, 앤빌부분이 뇌관에 있으므로 1회 격발 후 탄피를 재사용하려면 탄피 하부등을 점검하는 기초과정을 거친 후에 다시 장약을 채우고 뇌관을 교체하면 끝이므로 현대에는 대부분 복서식을 사용한다.
- 버든식 : 앤빌 부분이 탄피에 붙어 있다. 따라서 뇌관 제작비용이 감소하지만 대신 탄피 제작비용이 증가한다. 그러나 뇌관생산비용이 급락한 것에 비해 탄피제작비용이 그렇게 크게 감소된 것이 아닌데다가, 엔빌 부분이 탄피에 고정된 관계로 다른 곳이 멀쩡하더라도 엔빌이 손상되면 탄피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엔빌이 멀쩡해보이더라도 1회 격발후 뇌관과 함께 엔빌이 교체되는 것이 아니라 재사용을 하면서 몇번씩 격발하기 때문에 재사용 탄약의 경우 불발확률이 급격하게 올라간다. 이런 이유로 인해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구형 군용 총탄의 경우 탄약이 험한 환경에서도 격발을 더 확실하게 한다는 이유로 버든식을 썼고 그런 탄이 민간에도 방출돼서 지금도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긴 하다.
- ↑ 림파이어에서 극복해야 했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들어 보자. 탄피를 두껍게 만들 수 없고, 림이 자동화기에서 급탄 문제와 쿡오프를 부른다는 점이 있으며, 재활용이 난감하다는 것. 애초에 위력을 높일 것이 아니라면 탄피를 두껍게 할 필요도 없으며, 민수시장에서 자동화기를 허용할 확률은 매우 드물다. 재활용이 난감하다고? 탄약을 무슨 정육점 고기 팔듯이 무게 단위로 재서 파는 마당에 재활용 같은 걸 신경쓸 이유가 있나? 그런 이유로 저위력 림파이어 탄약이 여전히 사랑받는 것이다.
- ↑ 림도 탄피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림 부분의 탄피만 얇게 만드는 우주인 인증을 해버리면 되지 않냐고? 왜 이래봤자 소용 없는지 보고 싶다면 일단 본문으로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