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에너지

(신재생에너지에서 넘어옴)

1 개요

화석연료의 대안이 되는 에너지원의 총칭. 신재생에너지라고도 한다.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되는 항목중 신재생 에너지는 한국에서만 쓰는 개념으로,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재생가능 에너지에 화석연료를 개질해서 쓰는 연료전지 등을 추가한 개념이다.

석유 항목에서 볼 수 있듯 화석연료는 인류에게 전무후무한 양의 에너지를 선사해 문명사 자체를 뒤집어놓았다. 화석연료는 저장성도 강하고 열량도 크며 활용처도 광활히 넓어 가히 근대 인류역사의 진주인공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

하지만 태생이 땅에서 채굴해야 하는 자원인 이상 언젠가는 채산성이 떨어지게 될 것이고 결국에는 고갈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대규모의 에너지를 굴리는 데 맛이 든 인류는 절대로 화석연료 발견 이전의 시대수준으로 순순히 돌아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화석연료가 고갈되기 전에 그것과 대등한 경제성을 가진 에너지원을 개발하는 것은 인류에게 당면한 최대의 숙제가 되었다.

물론 수십년간의 경제성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화석연료와 비교하면 가성비는 아직 시궁창.방사능이 있는 에너지는 예외이다. 하지만 애시당초 석유가 시원찮아서 더 뛰어난 대체품을 만들자고 하는 연구가 아니다. 미래에 석유의 채산성이 떨어져 유가가 폭등하는 시기가 오기까지 대체에너지들을 최대 효율로 올려 화석연료에 근접한 경제성을 갖추도록 해 석유문명을 연착륙시키는 것이 1차 목표이기 때문에 대체에너지 연구는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각국에 의해 계속되고 있다.

2 상세

대체에너지는 크게 보면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한 갈래는 생물로부터 유사연료를 얻는 방식이고, 다른 한 갈래는 자연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생물에너지는 대규모의 비옥한 농지를 필요로 하며 여기서 재배되는 식량작물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식량자원을 연료로 전용한다는 점에서 전세계적인 빈부갈등을 초래할 소지가 있다. 화석연료체제 하에서는 연료와 식량이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1] 그나마 이런 류의 갈등은 발생하지 않고 있는데 생물에너지체제로 넘어가게 되면 이 문제는 현실로 떠오를 가능성이 충분하다. 대규모의 연료를 필요로 하는 선진국이 대규모 농지를 가진 저개발 농업국가에 작물 생산을 위탁하는 형식으로 연료 생산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다분한데, 과연 당장 쫄쫄 굶어죽겠는 해당국가 사람들이 이 귀한 옥수수를 맛도 못보고 헐값에 수출해, 그 나라에서는 정작 이것들을 기계 연료로 태워버린다는 사실을 납득할 수 있을까? 다만, 현재 존재하는 실업문제, 저출산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추정된다. 교육 뭐하러 시켜? 농사만 잘 지으면 되는데?농부문서보면 농사도 골아픈 사업이다

자연에너지는 공통적으로 무언가로부터 열원을 확보해 물을 끓이고 증기터빈을 돌려 전기를 얻는 방법에 수렴한다. 문제는 이 자연에너지라는게 극히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근본적으로 국가 주관의 최소한의 기간산업을 돌리기에도 양이 턱없이 적으며 발전 메카니즘의 한계상 효율은 제한적이며 산출물이 전기라는 특성상 저장성 또한 꽝이다(...). 따라서 어딘가에서 에너지가 나올만한 구석이 있으면 일단 다 째벼보고 거기서 가능한 최대한의 효율을 뽑아 효과적으로 장기저장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하는데 한 단계 한 단계가 밀레니엄 문제 수준의 난관이다.

3 목록

  1. 당연한 얘기지만 석유나 석탄을 먹고 살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