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의회식 디베이트의 일종으로,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며, 국내 대다수의 영어토론대회도 이 방식을 이용한다. 줄여서는 AP 디베이트라고 부른다 [1].
2 형식
의회식 토론의 형태를 빌려왔기 때문에, 찬성 (Government) 과 반대 (Opposition)[2] 이 대립하는 디베이트의 방식으로 진행된며, 각 팀은 3명의 연사로 구성된다. 이 연사들이 토론시 논증을 펼치고 반론을 하는 구성원들이다. 또한, 아시아 의회식에서는 보통 한 팀당 3가지 방향의 논증을 펼치게 된다.
자세한것은 추가 바람
3 연사의 역할
- 찬성 (Government)
- 찬성 측 1번째 연사 (Prime Minister, PM)
- 찬성 측 2번째 연사 (Deputy Prime Minister, DPM)
- 반대 측 1번째 연사의 1번째 논증을 반박한다.
- 찬성 측 1번째 연사에 대한 반론을 반박한다.
- 2번째, 3번째 논증을 펼친다.
- 1번째 연사와 같이 다시 한번 확고하게 주제에 찬성함을 표출한다.
- 찬성 측 3번째 연사 (Government Whip, GW)[6]
- 반대 측 1,2번째 연사의 논증들을 반박한다.
- 찬성 측 1,2번째 연사의 논증들에 대한 반론을 반박한다.
- 전의 논증들에 대한 보다 깊은 분석과 반론을 한다. 이때, 새로운 논증을 꺼내서는 안되며, 지금까지의 논증들에 대한 분석과 논리의 충돌에 있어서 찬성 측이 더 논리적임을 증명한다. [7]
- 찬성 측 논거를 전체적으로 요약한다.
- 찬성 측 주장을 다시 한번 확실하게 주장한다.
- 찬성 측 4번째 연사 (Government Reply Speech)
- 1,2번째 연사만이 될 수 있다.
- 편향된 구두 평가를 함으로써 왜 찬성 측이 토론에서 이겨야하는지를 심판에게 어필한다.
- 찬성 측이 논리적으로 우월했었다고 여겨지는 논점들을 강조하고, 불리한 논점들은 숨긴다.
- 찬성 측이 토론에서 이겼다고 마지막으로 강조한다.
- 반대 (Opposition)
- 반대 측 1번째 연사 (Leader of Opposition, LO)
- 토론의 맥락/ 한도에 대하여 찬성하거나 반대한다 (의미 상의 도전, 방해의 제기, 불공평한 구성 등은 지금 밖에 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말을 잘 듣지 못하는 사람을 청각 장애인으로 정의한 찬성 측의 주장에 대해, 장애 등급을 받은 사람 만을 청각 장애인으로써 분류함으로써 토론을 반대 쪽으로 유리하게 가져가는 것이다.
- 찬성 측 1번째 논증을 반박한다.
- 반대 측 논증의 기틀을 제시한다. 만약 반대가 현 상황의 문제점에 찬성한다면, 그들의 주장은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최소한 정부 측의 제안이 어떻게 상황을 악화시킬지 효과적으로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 반대 측 1번째 논증을 펼친다.
- 반대 측 주장을 강하게 주장한다.[8]
- 반대 측 2번째 연사 (Deputy Leader of Opposition, DLO)
- 찬성 측 1번째 연사의 1번째 논증을 반박한다.
- 반대 측 1번째 연사에 대한 반론을 반박한다.
- 2번째, 3번째 논증을 펼친다.
- 1번째 연사와 같이 다시 한번 확고하게 주제에 찬성함을 표출한다.
- 반대 측 3번째 연사 (Opposition Whip, OW) [9]
- 찬성 측 1,2번째 연사의 논증들을 반박한다.
- 반대 측 1,2번째 연사의 논증들에 대한 반론을 반박한다.
- 전의 논증들에 대한 보다 깊은 분석과 반론을 한다. 이때, 새로운 논증을 꺼내서는 안되며, 지금까지의 논증들에 대한 분석과 논리의 충돌에 있어서 찬성 측이 더 논리적임을 증명한다.
- 반대 측 논거를 전체적으로 요약한다.
- 반대 측 주장을 다시 한번 확실하게 주장한다.
- 반대 측 4번째 연사 (Opposition Repy Speech)
- 1,2번째 연사만이 될 수 있다.
- 편향된 구두 평가를 함으로써 왜 반대 측이 토론에서 이겨야하는지를 심판에게 어필한다.
- 반대 측이 논리적으로 우월했었다고 여겨지는 논점들을 강조하고, 불리한 논점들은 숨긴다.
- 반대 측이 토론에서 이겼다고 마지막으로 강조한다.
- 반대 측 1번째 연사 (Leader of Opposition, 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