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의 에너지융합 이론

maxresdefault.jpg

실험 개시! 목표는 레전더리 무기다!

지금까지 자신이 모은 에너지체를 결합하여 전설의 다이너모 제작 공식을 완성한 애드.
그러나 마지막 순간, 불안정한 에너지체는 폭주, 강력한 몬스터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폭주한 에너지체를 쓰러트리고, 전설무기를 손에 넣어라!

애드가문이 이런걸 만들려고 하니 다들 끔살당했지
아포칼립스 의인화

1 개요

엘소드를 개박살나기 일보직전으로 만든에 2016년 9월 8일 자로 업데이트 된 1인 전용 희대의 쓰레기같은신규던전이다.

영던마냥 부활석이 3개로 제한되어 있는데다 파티신청은 안되며 오직 솔로로 입장해야만 플레이가 가능하다. 놀랍게도 상시던전이며 보스가 드랍하는 아포칼립스 시리즈는 가히 엘소드 역대 최강의 무기로 불리울만한 공격력과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시공무, 영던무, 레이드무를 한순간에 트리플킬! 비던무는 잊혀진지 오래

던전을 입장하기 전에 체력과 마나를 함께 회복시켜주는 소모 아이템, 돌사과, 그리고 로쏘의 화염고리 또는 추적자의 혼을 갖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

적정레벨돌기 퀘스트에는 카운트 되지만 경험치는 오르지 않고, 디스크조각과 무기 이외에는 아무것도 드랍되지 않는다. 던전 특성상 소비템들이 미친듯이 소비되는데 파밍템외에는 아무것도 드랍할 수가 없어 소비템들의 물가를 올린 주범이다. 여러모로 자본이 없는 유저들에게는 부담스러운 던전이다.

던전에 드랍되는 아포무는 총 15단계까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더 많은 디스크 조각들을 요구한다. 15단계까지 모두 업그레이드 하기위해 요구되는 디스크 조각은 총 5000개. 참고로 디스크 조각은 한판당 1~3개씩 나온다(...)

9월 14일자 패치로 드랍율 하향, 아이템 레벨 제한이 160으로 상향되고 몇몇 몬스터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패치 이후 난이도는 헤비유저들에게는 별 타격이 없었지만 애매모호한 8~9강유저들에게는 체감난이도가 상향되었다. 베라우크 xx 무기 드랍율은 대폭 하향되어서 이전에는 5분에 1명씩 무기를 먹었지만 패치 이후로는 하루에 4~5명 보일 정도로 확 떨어졌다 망했어요

2 구성

총 5판으로 구성되어있으며[1] 보스를 제외한 일반몹들의 등장 순서는 랜덤이다.

알테라시아를 제외한 모든 몬스터들은 시간이 지날 때마다 공격력 50% 상승 버프를 받는다. (10중첩)

2.1 에너지체: Type - 에단, 발락, 프로토

공식대전 SSS랭크 NPC인 에단, 발락, 프로토가 함께 나온다.
슈퍼아머가 많은 캐릭터라면 수월하게 구석으로 몰아 잡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캐릭터라면 힘들 수 있다.
공격력 버프를 많이 받을 경우 NPC들의 데미지가 가히 흠좀무급으로 강해지니 피격 시 빠른 기폭을 추천한다.
특히 에단의 경우 뒤에서 때릴경우 긴탈이 터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여러모로 컨트롤이 많이 요구되는 스테이지.

2.2 에너지체: Type - 베라우크 3체

베라우크 3마리의 위치는 고정이다[2].
공격 패턴은 파이어볼 발사, 번개 (2개) 내리꽂기, 번개 연속 내리꽂기가 있다. 번개는 범위를 예고한 후 1초 후에 꽂힌다.
번개에 맞으면 둔화 효과와 함께 MP가 50씩 줄어드는데, 이 때문에 번개 연속 내리꽂기에 한번 걸려들게 되면 그대로 기폭도 못하고 끔살 당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맵 끝으로 이동하면 첫 스폰되는 끝 부분의 베라우크의 번개 연속 내리꽂기에서 피할 수 있으니 참고하면 매우 좋다.
9월 14일자 패치로 번개는 맵끝으로 가도 유도되게끔 변경됐다. X발
장기전이 될 수록 번개 하나하나가 정말 아파지니 원거리 공격으로 마나를 모으면서 범위가 넓은 스킬로 한번에 잡아내는 것이 좋다.

현재 오류가 하나 있는데, 가끔 번개의 범위 예고가 나타니지 않는 현상이 있다. 컨트롤로 던전을 헤쳐나가는 유저에겐 매우 치명적인 오류인 셈. 하루빠른 수정이 필요하다.

2.3 에너지체: Type - 알테라시아 2체

2마리의 알테라시아와 4개의 발판에 파괴할 수 없는 알테라시아 포자 생성기가 있다. 이 때문에 구석에 알테라시아를 몰아놓고 계속해서 몰아붙이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로쏘의 화염고리와 돌사과를 챙겨가면 아주 좋은데, 로쏘의 화염고리로 포자를 처리하고, 알테라시아가 슈퍼아머를 시전할 때 돌사과로 경직을 무시할 수 있다[3].
포자 때문에 상당히 시간을 잡아먹는데다가 회복 때문에 플레이어에게 엄청난 정신 공격을 시전한다...
빠른 클리어 타임을 노리는 유저와는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9월 14일자 패치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포자가 더 이상 생성되지 않게끔 변경되어 짜증유발이 훨씬 덜해졌다.

2.4 에너지체: Type - 버그워크 1체[4]

시간이 지날수록 작은 버그워크를 생성하기 시작하는데, 데미지는 별 볼일 없으나 문제는 그 엄청난 머릿수에서 뿜어져나오는 슈아팅.
도저히 맞딜로는 싸울 수가 없을 정도로 튕겨댄다... 맵에 마련된 발판 위에서 체류하며 잡아내는 것이 편리하다.
여기서도 돌사과를 챙겨갈 경우 매우 편하다.

2.5 아포칼립스 Type - 보이드 (보스)

죽일 시 일정 확률로 디스크 조각, 특정 레벨의 디스크, 또는 95제 레전드 무기가 들어있는 아포칼립스 Type-Void 무기 큐브 [5]를 드랍한다.
기본 패턴이 상당히 다양한데, 그 중에는 캐릭터들의 스킬 이펙트를 배껴온 것이 상당수 있다(...).

  • 대쉬 : 공중을 빠르게 부양한다. 보통 3연속까지 사용한다.
  • 텔레포트 : 아이샤의 그것이 아니고... 플레이어의 바로 옆으로 이동한다.
  • 아머 콤보 : 주먹질 후 땅에 균열을 낸다. 손에 스파크를 생성하는 준비 동작 후 사용한다.바로뒤에 붙어있으면 조금 맞는다
  • 각성 : 애드의 그것처럼 옆으로 갈 경우 경직과 함께 데미지를 준다.
  • 일렉트로닉 썬더 : 이번 엠프의 새 초월 스킬인 그것과 비슷하다. 허리 부근의 컴퓨터를 조작하는 준비 동작 후 사용한다. 뒷 판정이 없어 뒤에서 공격할 수 있다.
  • 일렉트로닉 폴 : 이번 배세의 새 초월 스킬인 그것과 비슷하다. 공중으로 부양해 정수리 부근의 컴퓨터를 조작하는 준비 동작 후 사용한다. 상당히 아프다.
  • EMP 스톰 : 플레이어의 옆으로 텔레포트 후 몸을 안으로 숙였다가 피는 준비 동작 후 맵의 2/3정도를 채울 정도로 범위가 넓은 충격파를 3초간 내뿜는데, 이 충격파는 엄청난 공격력, 연타력, 타격 당 MP -10 + 피격 중 기폭 불가 + 둔화라는 충공깽스러운 효과를 자랑한다. 피하려면 무조건 아포칼립스가 전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금 더 멀리 떨어져야 한다. 잘못해서 한번 걸리기라도 하면 빠른 MP 번으로 인해 아무것도 못하고 어? 하는 순간 그대로 의문사... 물론 피하기 귀찮거나 이것보다 시전시간이 긴 스킬이 있다면 포션을 흡입하며 옆에서 계속 때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

3 논란

한마디로 말하면 그야말로 엘소드의 모든 밸런스를 개판으로 만들어버렸다.
등장 시점부터 굉장히 논란이 많은 던전이다.

3.1 아포칼립스 Type-Void 무기 논란

항목 참고.

3.2 기존 몬스터 복붙

신던전이라면서 팹시맨 보스 빼고는 죄다 복붙이다. 던전도 맵이 여러게 있는것도 아니고 한방에서 시공 마냥 보스러쉬[6]...

코그는 이 던전 만들고 잘했다며 회식갔다 카더라
  1. (시작)-일반-일반-일반-일반-보스
  2. 때문에 블랙홀 능력을 가진 스킬의 흡입으로도 중간으로 모을 수 없다.
  3. 게다가 이 알테라시아들은 스킬 시전중에도 무적이 아니기 때문에 스톰 블레이드를 시전하는 동안에도 데미지를 넣을 수 있다!
  4. 겉모습은 강습의 크래쉬다.
  5. 단, 계정창고에 넣을 수 없다.
  6. 그래도 시공은 보스마다 방이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