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언

言偃
기원전 506~기원전 403

공자의 제자.

성은 언(言), 이름도 언(偃)이고 자는 자유(子遊)이기 때문에 주로 자유라는 이름으로 문헌에 자주 등장한다. 공자 말년에 자하, 자장, 증삼과 함께 상당히 아꼈던 제자 중 하나로 보인다. 오나라 사람으로 공문십철뿐 아니라 72현 중에서도 유일한 강남 지역 출신이다. 공자 사후 고향인 장강 남쪽으로 돌아가 유교를 퍼뜨렸기 때문에 유교의 외연을 넓히는데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래서 훗날 남방부자(南方夫子)라고 불리게 되는데, 공자가 공부자(孔夫子)라고 불린 걸 생각하면 상당한 경칭이다. 그래서 당나라 때는 오후(吳侯)로, 송나라 때는 오공(吳公)으로까지 칭호가 상승한다.

자유학파의 경우 예와 악을 중시한 것으로 보이는데, 무성의 재상으로 있을 때 백성들에게 거문고타는 법과 시를 가르쳐주기도 하였다. 공자는 지나가다가 그걸 보고 "뭔 닭 잡는데 소 잡는 칼 쓰냐?"는 드립[1]에 자유는 "군자가 도를 배우면 남을 사랑하게 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가 쉽다고 하시는 말씀을 들었습니다."[2]라는 말로 공자를 데꿀멍시키기도 했다. 정치에 있어서도 예와 악의 중요성을 알아채어 다스린 것이다.

자주 비교되어 거론되는 인물은 자하(복상)이나 자장(전손사) 정도로, 자하와는 공문십철에서 함께 문학에 뛰어난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런데 워낙 자주 비교가 되었는지 자하의 제자들을 예절만 가르쳐서 그 근본을 모른다고 디스하기도 했다. 자하는 이에 대해 "예절도 가르치면서 근본도 가르치는 건데 그게 둘 다 되면 성인이게?" 정도로 대답하기도 했다. 자장에 대해서도 어려운 일은 잘하는데 인한 경지는 아니라면서 디스하기도 했다.

자유가 효도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가 잘 먹이는 건 개나 말도 다 하는거니까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각 인물의 특성에 맞게 교육한 공자의 교육방법으로 볼 때는 물질적인 효를 중시했었을 수도 있다.
  1. 즉 "선비한테나 가르치라고 내가 가르쳐준 걸 소인들한테도 가르쳤네?" 정도의 뜻이다.
  2. "선생님이 소인들한테도 가르치면 다스리기 좋다면서요?"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