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 인터 148편 추락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ir_Inter_Airbus_A320-111_Gilliand-1.jpg
1991년 1월 6일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고 기체. 현재 에어 인터는 에어 프랑스에 인수합병되었다.

1992년 1월 20일에 발생한 비행기 추락사고이다.

1 사고 과정

1992년 1월 20일, 에어 인터 148편(기종:A320)은 프랑스 리옹에서 이륙해 스트라스부르로 가는 길이었다. 탑승객 중 대부분이 출장객이었고, 강한 바람과 날씨 때문에 기존에 설정한 활주로 가 아닌 다른 곳에 착륙해야 했다. 관제소는 5번 활주로에서 3대가 이륙준비 중이니 대기하라고 말했고, 기장이 불만을 토로하자 관제사가 착륙을 돕기로 했고, 5방향 활주로는 전자동 상륙 접근 허용이 안되어서 기장이 직접 하강각도를 계산해야 했다. 각도는 3.3도였고, 비행 시간은 약 40~50여분이 소요될 예정이었다. 관제사는 공항까지 25km 남은 지점에서 마지막 선회를 지시했고, 이때 부기장이 항로를 벗어났다는 것을 알아채고 관제사도 항로를 벗어났다는 것을 알아채지만 착륙을 허가했고, 기장은 착륙을 시도했다. 속도가 너무 빠르자 기장은 속도제어장치를 켰고, 부기장은 활주로와 수평위치를 결정했다. 항로에 조정하려던 순간 비행기가 산 측면에 추락했다.

148편이 레이더에서 사라지고 무선교신이 끊기자 공항에서는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목격자도 없고, 추락지점도 못 알아내는 상황이었다. 레이더 장비에는 기록되지 않아서 수색지역을 평방 20km가 넘는 외곽지역으로 설정한뒤 조사하기 시작했다.

한편 추락지점에는 생존자가 있었으나 화재가 너무 강해 생존자들에게 위기가 처했고, 비행기로 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뒤 구조를 기다렸지만, 1시간이 지나도록 구조대는 어디에 추락한지조차 감을 잡지 못해 오지 못했다. 그런 와중에 프랑스 항공 보안국은 수석 수사관으로 장 파리에스를 파견해 1,000명에 가까운 인력이 수색하게 했고, 방송국 보도팀은 수색 지역을 돌아다니다가 산에서 내려온 생존자를 만난 뒤 처음엔 안믿다가 기름 자국을 본뒤 믿고 따라갔다. 탑승객 96명 중 9명만 생존하고 87명이 사망한 상황에서 블랙박스가 경찰에게 인도되기 전에는 수사관의 접근이 금지되었다.

2 사고 조사

자정이 지나서야 블랙박스가 회수되었다. 당시 조난위치발신장치는 추락당시 충격으로 파괴되어 신호가 안나던 상황이었는데 이는 비정상적으로 세게 충돌했다는 증거였고 당시 비행기는 실속상태가 아니었다는 증거였다. 디지털 비행기록장치는 고열로 인해 파괴되어서 신속 접근 기록기(QAR)을 살피기로 했다. 그러나 QAR에는 보호장치가 없어 추락 이후 화재로 인해 테이프의 마지막 부분이 20cm가량 늘어난 상태였다. 정밀조사가 필요해 복구를 했다. 다행히 조종실 음성기록장치는 온전해 조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기장은 5방향 활주로에 착륙하려면 비정밀접근이 필요했는데 비정밀 접근 시도시 수평비행위치인 좌우로만 전자식 유도를 받고 고도에 대한 유도는 없어서 불안해 하고 있었다.[1] 거기다 기장은 12,000시간의 경력 중 A320 비행시간은 겨우 162시간, 부기장은 61시간으로 매우 부족했다.

거기다 관제사는 마지막 레이더 방위를 잘못 알려줬었다. 조종사들에게 우측으로 향한다고 경고하였는데 조종사 관점에서는 활주로의 좌측이어서 혼란이 가중되었다.[2] 결국 항공기가 산을 끼고 선회하다가 2.5배 빠르게 하강했고, 기장은 추락 60초 전에야 급강하 사실을 깨달았고, 구름 아래로 내려와 시계비행을 하려다가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항공기는 분당 3,300피트의 속도로 하강했고 하강각도는 11도였는데 A320은 하강각도와 분당 하강속도가 같은 표시차에 나오고 조절 손잡이 하나로 조절했는데 기장이 실수로 모드선택 손잡이를 누르지 않았다.

또한 A320의 자동비행장치는 신속히 방향전환을 해야하는 긴급상황에서는 평소속도의 2배로 방향전환을 하도록 설정되었는데 하필이면 이때 난기류를 만나서 0.5초간 분당 600피트의 속도로 상승했는데 이때 자동비행장치가 이후 내린 하강명령을 비상사태로 착각했고, 에어인터사에서 GPWS를 빼기로 결정하는 바람에 경고도 못듣고 사고를 당했다.

3 사고 이후

사고가 발생하고 2달 후 에어버스 A320에서 같은 문제로 사고가 발생할 뻔했다. 결국 에어버스에서는 표시창을 변경했고, 헷갈리지 않도록 피트를 4자리 숫자로 표시했다. 또한 비행시간이 300시간을 넘지 않을 경우 A320을 조종하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1. 당시 에어인터사의 비정밀접근에 대한 교육이 매우 짧았다. 거기다 기장은 비정밀착륙으로 착륙한 경험도 없었다.
  2. 원래 방향을 알릴때는 좌우 단어를 사용해서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