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란은행

1024px-London.bankofengland.arp.jpg

Bank of England

1 개요

영국중앙은행으로 1694년 왕실의 주식회사 형태의 민간 특허은행으로 설립되었다. 명예혁명 이후 집권한 월리엄 3세는 내전과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왕실재정이 고갈되었고, 그에 따라 영란은행 지주회사를 설립해서 상인으로부터 120만 파운드의 기금을 조성한 후 이 은행에 발권권한을 허가해주었다. 사실상 설립초부터 영국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은행으로 그후 여러가지 조치에 의해 사실상 영국의 중앙은행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후, 2차세계대전 이후 집권한 노동당 정권에 의해 1946년 국유화되었고, 1998년에 토니 블레 정권이 집권하자 당시 재무장관(Chancellor of the Exchequer)이던 고든 브라운의 주도하에 내각에 속한 정부기관에서 정부와 분리된 공공기관으로 변경되면서 금융 및 금리 정책의 독립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영란은행은 총재(Governor of the Bank of England)가 총괄하며 그 위에 은행 및 총재를 감독하는 이사회(the Court of Directors)가 존재한다. 총재 및 이사회는 영국총리 및 재무장관이 추천하는 인물을 영국여왕이 임명하는 체제로 실질적으로 정부에 의해 감독되는 체제이나 현재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총재는 마크 카르니로 2013년 7월 임명되었으며 캐나다 출신으로 최초의 비 영국계 총재이기도 하다. 영란은행 총재 재임 이전에는 캐나다의 중앙은행인 캐나다 은행의 총재를 역임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2 권한

여타 중앙은행과 비슷하게 주요 권한은 기준 금리를 통한 통화 정책, 금융정책 수립, 발권 정책등이다. 우리나라 금통위,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같은 최고의사결정기구로 통화정책위원회(Monetary Policy Committee)가 있으며 여기서 매달 회의를 통해서 영국의 기준 금리를 결정하고 있다. 통화정책위원회(MPC)의 구성은 총재, 부총재(2인), 임명위원(6인)의 9인으로 구성되며, 임명위원은 총재가 재무장관과 협의를 거쳐 2명, 재무장관이 4명을 임명하게 되어 있다.

3 기타사항

  • 영국의 중앙은행이니 파운드 스털링의 발권은행 하나이기도 하다. 사실 좀 의아한 표현일수도 있지만 영란은행의 발권 권한은 잉글랜드와 웨일즈로 국한되며 나머지인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는 민간은행이 발권을 할수 있게 되어있다. 사실, 역사적으로 보면 잉글랜드,웨일스,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는 별개의 국가로 여왕(왕)에 의해 통치(?)되는 연합왕국이였기 때문에 영란은행의 특허범위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국유화 된 후 실질적인 영국의 유일한 중앙은행이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의 경우 민간은행의 발권권한은 영란은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해당 사항은 파운드 스털링 문서 참조바람.
  • 특이하게 국역을 "영란은행"으로 많이 하는데, 화란의 란이 아니고 잉글랜드의 한자어 음차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영란은행 대신 "잉글랜드 은행"을 표제어로 잡아 놓았다. 이 문서도 영국은행, 잉글랜드은행으로 쳐도 들어올 수 있다.
  • 미국의 해지펀드인 조지 소로스의 파운드화 공격 때 제대로 털린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