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서

隸書
{{틀:수평줄}}

한자 서체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


%EC%B6%94%EC%82%AC(%E7%AB%B9%E7%88%90%E4%B9%8B%E5%AE%A4).jpg
추사 김정희의 현판. 죽로지실(竹爐止室)이라 적혀있다. 다만 이 작품은 전통적인 예서라기보다는 예서에 기반하여 김정희의 독특한 서풍이 많이 가미된 스타일.

진(통일왕조)대에 나온 소전체를 귀찮아서 다시 간추린 서체로, 드디어 현재 한자체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는 서체. 전서체를 소박하게 간추린 뭐? 글씨로, 예서에서 본격적으로 해서, 행서, 초서의 모체가 만들어진다. [1]

진시황 시대에 정막(程邈)이라는 인물이 10여년을 연구하여 3천자의 예서를 만들어 진시황에게 진상했다고 사서에 기록되어있다. 일설에는 정막은 옥리였다가 진시황의 노여움을 사서 투옥되었는데 감옥 안에서 예서를 만들어 바치고 그 공으로 사면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또 투옥된 이유가 국가공인 서체(...)인 소전을 사용하지 않고 사적으로 예서를 만들어 써서 그랬다는 썰도 있어서 좀 미묘. 정막의 예서 창제설이 사실이라고 한다면 예서와 소전은 거의 동시대에 만들어진 서체인 셈이다. '노예도 알아볼 수 있을 만큼 쉬운 서체' 뭐라고요? 라는 뜻에서 예서라고 이름붙였다는 말도 있고 진나라땐 노예도 공부를 잘했나보다 정막이 죄수 신분에서 고안한 서체라 예서라고 이름붙였다는 말도 있지만 확실한 정설은 없다.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건 전한시대. 전한시대에는 고예의 모습이 세련되게 정리되어 팔분(八分), 혹은 한예(漢隷)라는 서체가 완성되는데 이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예서체로 옛스러운 멋을 풍긴다. 전,후한 시대를 관통하는 서체이기 때문에 이 시대를 그린 영상물 등에서 예서를 자주 볼 수 있다.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등에서 예서체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도 바로 이것.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서체 중 하나이다. 서예가 가장 발달한 한중일에서 한국은 유독 서예 중에서 예서를 배우는 사람이 많다. 그 이유는 추사 김정희 이후로 예서가 극도로 예술적인 경지를 이루었고, 한반도 서예사에 큰 족적을 남겼기에, 그에 대한 영향이 아닐까 싶다.

파일:Attachment/예서/P1120543.jpg
한나라의 대표적인 예서작품인 조전비의 탁본. 후한 영제 때 만들어진 비석이다. 삼국지 좋아하는 위키러라면 눈에 익을 법한 서체.

파일:Attachment/예서/gwangaeto.jpg

광개토대왕비도 예서로 쓰여진 대표적인 작품이다. 고졸하고 강건한 멋이 있는 고예로 쓰여졌다.
  1. 참고로 행->해->초 순서대로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