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
극심한 도심의 교통난속에서 스트레스 받으며 출퇴근하느니 자전거를 타고 기분좋게 달리며 덤으로 운동도 하자~ 는 취지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정부에서 자전거 이용을 권장하면서 자출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실패하는 경우가 만만치 않게 많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최소한 다음의 항목을 어느 정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 집에서 직장까지 어느 정도 가까울 것[1]
- 자전거가 다니기 좋은 자전거 도로가 갖춰져 있을 것
- 자전거를 도난당하지 않도록 보관할 만한 여건이 갖춰져 있을 것
아니면 싸구려 하이브리드나 철티비를 탈 것 - 출근 뒤에 직장내 혹은 근처에서 샤워를 할 수 있을 것[2]
- 비가 오지 않을 것. 이게 상당히 중요하다. 비가 오면 아예 시행할 수 없으니까. 그리고 비 온 다음날에도 그리 추천하지는 않는다. 물이 튀어서 등 뒤에 묻는 경우가 꽤 많다: 그래서 장마가 끼어 있는 6월 말 ~ 7월은 시행하기가 심히 곤란하다. 이는 겨울에 눈이 오는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내린 눈이 얼어 빙판이라도 되면 생명을 보장하기 힘든데다, 설령 녹는다해도 제설용 염화칼슘등으로 인해 자전거를 부식시키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봉인하면 대신 엔진이 녹슬겠지만 - 자출에 대한 직장 상사나 동료의 인식. 말도 안되는 소리 같지만, 일부 자출족의 경험담에 따르면 회사에서 자전거로 출퇴근하지 말라는 말까지 들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자전거용 져지
쫄쫄이입고 회사에 오는 것이 보기 안 좋다거나[3] 자출하느라 체력을 소모해서 업무에 소홀해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고(...) - 펑크에 대응할 수 있을 것. 도로사정이 좋지 않은 한국에서는 자전거 펑크는 자출족의 주적중 하나이다. 잦은 펑크에 지친 일부 자출족은 아예 노펑크 타이어 등을 끼워서 출퇴근 하는 이들도 있을 지경...
이 조건을 어느 정도 만족시키고 본인의 의지가 충분하다면 즐거운 자전거 라이프를 즐길수 있겠지만... 과연 전체 직장인의 몇퍼센트가 이 조건에 모두 해당될지는 미지수. 일단 위의 조건을 그럭저럭 만족하는 직장으로 조선소가 있다.
자전거 이용을 권장하고 있는 정부이지만 정말 자전거 이용을 늘리고 싶다면 4대강 자전거도로 운운보다는 저런 조건들을 해결, 내지는 보조할만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 성싶다.
일단 자전거 도로부터 자전거 탈 만한 환경으로 조성해 줘야 한다. 대개 자전거 도로는 보도블럭도 엉망이고 그 위에 온갖 것들이 다 있어서 자전거가 알아서 차도로 내려가게 만들어 준다.
그리고 보관 장소 문제의 경우 자물쇠로 해결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제대로 된 보관장소에 있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특히 대학교 같은 경우 자전거 도둑이 정말 많다. [4] 덤으로 싸구려 락은 파손이 정말 쉽기 때문에(길가에서 흔히 볼수 있는 짱돌, 심한 경우 맨손으로 풀리는 것도 있다) 물론 자물쇠의 문제는 4관절 자물쇠로 간편하게 해결 가능하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접이식 자전거를 이용해서 그냥 자기 옆에 자전거를 놔두는 것.
출근길이 자동차가 많은 루트라면 비추천한다. 일단 출근시에 위험하고 불편한 건 둘째치고, 매연을 매일 아침마다 산뜻하게 들이마셔서 얼굴빛이 안 좋아진다...
또한 매우 높은 확률로 자동차 운전자와 시비가 붙게 된다. 자전거 탑승자의 과실 유무와는 상관이 없다. 자동차 운전자에게 차도위의 자전거는 원래 인도로 가야 마땅한 자전거 따위가 한눈 팔다가 잘못 들어온것으로 밖에 인식되지 않는다.[5][6]
자신을 칠 뻔한 자동차 운전자에게 다음 신호에 다가가 이야기를 했다가 시큰둥한 반응 보는것은 예사일이고, 되려 "어쩌란 말이냐"라고 역정 내는것은 양반, 온갖 쌍욕을 들어먹고 인격적 모욕감을 느끼는것이 한달에 한번정도라면, 그래도 할만하다. 그러나 2주동안 5번이상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7] 번화가의 길 한가운데서 멱살 잡힐뻔한[8]경험을 하게 된다면 누구나 포기하고 말 것이다.
그래도 할만한 이유들은 다음과 같다.
- 일단 자전거 타기는 꽤 좋은 운동이다. 코스에 따라 다르지만 코스가 좀 험할 경우 덩달아서 자기 자신도 건강해 진다. 언덕이 있으면 심하게 괴롭고, 특히 여름이면 고문수준. 그러나 적당한 언덕 2~3개 정도면 한달안에 익숙해 지는 게 보통이다. 처음에는 정말 힘들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쉽게 갈수 있게 된다. 험한 코스를 계속 다니다보면 짐승 레벨에 올라와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 교통상황에 별로 얽매이지 않는 출퇴근이 가능하다. 뭔일 있으면 남들은 차 막혀서 화내지만 이쪽은 여유롭게 지나갈 수 있다. 막힌 구간에서 상사의 잔소리 등을 생각하며 짜증낼 필요가 없다. 게다가 몇몇 상황과 구간에서는 자전거가 차보다도 빠르다!
- 출퇴근 교통비 0원.
다들 그렇게 자덕이 되는거야오로지 두 다리와 자전거만 있으면 된다. 해보면 알겠지만 별거 아닌 거 같은 이게 생각보다 엄청 짭짤하다.그러나 지름신이 강림하면 자전거 유지관리비가 출퇴근비보다 더 나가는 이상현상이 발생한다.
- 재미있다. 사실 자전거는 상당히 재미있는 레포츠 가운데 하나이다. 출퇴근과 동시에 취미활동을 하는 셈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도 해소 된다.
단점들도 많지만 회피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기본적으로 완전 회피는 어렵다. 일단 위의 단점의 상당수는 길을 잘 고르면 해결 할 수 있다. 꼭 고정된 루트를 고집하지 않고, 도로옆만 피해도 제법 쾌적해 진다. 자전거 타는 입장에서 큰 도로옆, 특히 자전거 도로가 깔려 있는 곳이 반드시 지름길 이라는 보장도 없다. 도로가 일직선이라고 해서 그 일직선이 직장과 집과 일직선이라는 이야기는 당연히 아니다. 루트를 잘 고르고 싶다면 지도 펴보고 고심해 보는 것도 좋고, 아니면 많은 경험이 쌓이면 알아서 찾아 가게 된다. 차가 적고 가까운 길을 몸으로 부딪혀 가며 찾게 되기 때문에... 요령을 얘기 하자면, 정줄 놓은 운전자가 아닌 다음에야, 어느 정도 좁고 차도와 인도 구분이 없는 곳에서는 좀처럼 속력을 내지 않는 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적없는 한가한 곳은 자동차도 적다. 단련을 바란다면 말리지는 않지만 언덕을 오르는 것 보다 그냥 평지로 돌아가는 게 더 빠를 수도 있다. 자전거는 엔진이 아닌 두 다리로 가는 거다. 하지만 단련된 뒤로는 언덕이 훨씬 빠르다.
이것이 대한민국 자출의 현실이다. 하고 싶으면 일단 자신의 출퇴근길 상황과 지리등을 잘 살펴보고 생각 하는 게 좋을 것이다.- ↑ 짧게는 수 km 내외. 긴 경우 편도 30~50km를 자출하기도 한다. 이 때 출근 시 소요시간은 1.5~2시간 수준으로 평속 18~25km/h 이 수준의 자출을 하는 인간들은 거의 짐승레벨.
- ↑ 이게 없는 경우는 진짜 직장까지 다리로 달려서 10분 이내에서나 탈 만하다. 실질적으로 자출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요소 중 하나.
- ↑ 물론 회사에 가서 정장이나 평상복으로 갈아입었겠지만, 높으신 분들 눈에는 그것마저 보기 싫었던 모양이다.
- ↑ 학교내에 경찰이 함부로 못 들어와서 그런가 정말 많다.
- ↑ 그나마 다행인건 이런 인식이 2010년 들어서면서 부터 많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 과천, 성남쪽에서는 버스나 택시기사들이 적절히 비켜주기도. 타 지역 보다 운전자들의 인식이 상당히 우호적이다.
- ↑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차에 해당하기 때문에 인도로 가는 것이 오히려 불법이다. 원래는 차도의 가장 바깥차선에서 1/2 우측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 ↑ 단순히 위협을 느낀 정도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피하지 않았다면 정말 치이고 말았을 상황을 겪는것
- ↑ 치일뻔 한건 자전거인데 자동차 운전자가 화내며 멱살잡이를 시도했다. 자출사에서 이런 경험담이나 사고관련 게시물들이 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