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우아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대한민국의 중학교 목록
서울
경기강원인천세종
충남충북대전대구
경남경북부산울산
전남전북광주제주
교명전주우아중학교
한자全州牛牙中學校
영문Jeonju Woo-a Middle School
개교1983년
유형공립 중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공립
소재지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호성로 6
홈페이지[1]

1 개요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에 있는 중학교이다. 호성동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미 전주호성중학교가 있으므로 길 건너편 우아동의 이름을 가지고 왔다.
교화이자 교목은 석류. 석류를 심으면 자녀들이 현명하게 자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1]

2 역사

1983년 개교하였다. 그 당시 이름은 전라여자중학교로 18학급으로 시작하였다.
그 뒤 2000년 3월 1일, 현재의 이름인 전주우아중학교로 바뀐뒤, 처음으로 남자 학생이 입학하면서 남녀공학으로 변하였다.

큰 공사가 4번 있었는데, 처음엔 서쪽 날개 건물, 그 뒤는 동쪽 날개와 4층 증축[2], 세 번째는 강당 겸 급식실, 마지막으로 미술실/음악실로 쓰이는 동쪽 날개 2차 확장공사가 이루어졌다.
현재 학생 수는 2015년 9월 11일 기준 1,2,3학년 각으로 168명, 159명, 224명이다. 2015년 현재 교장은 김대식 교장선생님.

3 시설

3.1 본관

본관은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총 4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날개 쪽에는 특별 교실들이 들어가 있다.
4층은 위에서 서술했듯이 나중에 증축한 것. 가장 더운 교실들은 죄다 4층에 있다.
특별 교실로는 무용실, 가사실, 음악실, 역도부실, 영어학습실, 도서관, 특별학습실, 미술실이 있다.

3.1.1 방송실

본관 동편 3층에 위치해 있다. 기자재는 심히 낡았다. 소니 캠코더를 사용하는데, 방송부원이 기자재 관리를 잘 하지 않는지 방송조회를 할 때마다 항상 한 두번은 꺼진다.
다만 실내는 리모델링을 해서인지 나쁘지 않은듯. 복도 외벽에는 구 교복을 입은 방송부원 사진들이 크게 붙어있는데, 참고로 이 사진은 2005년에 찍은 사진이다.

3.1.2 영어학습실

2000년대 초부터 있었다. 2005년 3층 도서관이 완공되면서 도서관-영어학습실-방송실이 순서대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다만 시설은 꾸준히 개선되어 2016년 현재에는 영어 학습용 장비와 환경이 처음 신설되었을 때와는 상당히 다르다.
2008년 당시, 200만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터치식 칠판을 들여왔다고 자랑했는데, 지금도 같은지는 의문이다.

3.1.3 도서관

10802550_350053305169419_1146742911_n.jpg
지금의 위치로 옮겨오기 이전, 본래 위치는 2층 서편 (무용실 위층) 날개동에 컴퓨터실과 절반씩을 분할하고 있었다.[3]
그러던 2005년 여름, 학교 도서관 지원 사업에 따라 리모델링 예산과 3층 동편 날개동의 학교 기준으로는 초대형 공간을 배정받으면서 환골탈태 수준의 리모델링을 하였다.

당시 리모델링 과정에서 소장 장서도 매월 수백권을 사들이며 기존 도서실 장서 규모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의 엄청난 뻥튀기를 하였다. 이렇게 도서관이 완공될 당시 도서부 인원은 대략 학년 골고루 합쳐 약 15명 정도로 추정. 남녀 성비는 대략 4:6. 그리고 이 시기부터 바코드를 통한 전자식 도서 대여 시스템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는 도서 대출 명부에 직접 손으로 일일이 작성하던 옛날식이었다. 사실 그 당시 도서부원이 지금 위키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카더라


열람실에는 컴퓨터 5대가 놓여 있지만 어디까지나 개설 당시인 2005년 사양의 컴퓨터.

3.1.4 무용실

학교 체육 시간에 이루어지는 무용 수업 전용 교실. 1990년대 말부터 계속 서편 1층 자리에 위치해 있다.

3.1.5 역도부실

주차장에 있던 자재 창고를 리모델링하여 역도부실을 차렸다. 매일 점심시간에 역도부 연습을 한다.

3.1.6 화장실

2013년만 해도 더럽고 전형적인 90년대 화장실이었지만 2015년 현재 모든 화장실이 현대적으로 개조되었다! 다만 학생들이 더럽게 사용한다. 심지어 비데도 있다!

3.2 급식실 겸 강당

1998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2층 건물로, 1층은 급식실, 2층은 강당으로 쓰인다. 동편 출입문과 급식실 입구가 지붕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담으로 아직도 전라여중 시절 의자가 강당 창고에 있는데, 가끔씩 학부모 총회를 할 때 나오기도 한다.


급식의 맛은 전주 기준으로는 평이 좋지 않은 편에 속한다.
1층 식당 로비의 체육실 맞은편 기자재실은 본래 매점 자리였으나 2000년대 초 패스트푸드 금지 열풍과 함께 사라졌다. 그 이후 탄산음료 자판기는 몇 년 더 버텼지만 결국 철거.

4 기타

  • 이름이 우아이다보니 옆 학교 학생들부터 동네 주민까지 우아한 학생이 되라고 드립을 친다. 다니는 학생 입장으로썬 괴롭다.
  • 승마장 방향 정문에서 220m 떨어진 곳에 올해 2015년에 전주시립도서관 건지분원이 생겼다. 여러모로 편리하다. --시험기간에 와서 떠들고 가지만 말아다오...-

-

  • 예전에 여중이었다 보니 운동장이 상당히 작다.
  • 체육복과 명찰이 학년마다 색깔이 다르다. [4]
  • 2005년 도서부 재결성 당시의 성비는 남/여 4:6이었으나, 점점 남학생의 수가 줄고있다.
  • 2003년(2004년?)까지 여자 겨울 교복이 세라복이었다. 그 이후로 지금의 교복으로 바뀌었다.
  • 아파트쪽 교문으로 이어지는 울타리가 2007년까지는 철조망이 쳐져있지 않았다. 그 쯤 음악실 뒤에 변압기가 생기면서 철조망을 쳐놓았다. 말로는 안전문제로 인해 철조망을 쳐놨다고 하지만, 점심시간 탈주를 막기위해 쳐놓은게 틀림없다.
  • 2006년~2008년 사이에 일진들이 자주 바로 앞 신동아1차에서 담배를 피는 바람에 학교에 자주 구청 및 교육청에서 양해공문과 금연교육 안내 공문이 내려왔고, 결국 아파트측에서 CCTV를 설치하여 그 이후에 소란은 없었다.
  1. 그런데 석류나무는 딱 한 그루, 강당 옆에 있다. 열매를 맺는 순간 학생들에게 던져지는 운명. 맛은 없다. 정말 없다.
  2. 그래서 위 사진에서 4층에 베란다로 보이는 것이 있는 것. 쓰레기 천지다
  3. 현재 사회실로 쓰이는 곳
  4. 2015년 기준 3학년은 체육복/명찰 모두 노란색(3학년 명찰만 유일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2학년은 체육복 주황색/명찰 녹색, 1학년은 체육복 보라색/명찰 흰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