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호

웹툰 미호이야기의 등장인물로 담당 성우이자명.

1 소개

구미호의 딸로 어머니는 무당이다. 이복형제인 수호와는 이미 가까운 사이로 보인다.
단행본에서는 정씨로 나왔다.

2 작중행적

구미호를 피해 오게 된 절 뒤켠에서 호랑이 피로 구미호를 쫓는 부적을 그리면서 자신도 구미호의 피를 받은 반요이기 때문에 심장의 고통을 느낀다. 부적을 그리다 방에서 잠시 나온 이복형제 화호와 마주친다. 화호가 심장의 고통을 느끼고 쓰러지자 수호와 함께 화호를 연우 스님에게 데리고 온다.

어느 새 남자 아이들의 방에 들어와 화호의 이야기를 들은 뒤, 화호가 부적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호랑이 피를 먹은 적이 있어서라고 이야기해준다. 그리고 갑자기 화호가 가장 의심스럽다고 말한다. 귀신과 도깨비를 쫓는 데 쓰이고 특히 여우와는 상극인 호랑이 피를 먹고 나서 동물과 소통하는 능력을 갖게 되고, 평범한 인간은 반응하지 않는 호랑이 피에 반응하게 된 것으로 볼 때, 호랑이 피가 자각제가 되어 화호는 이미 완전한 구미호가 된 것일 수 있다는 이야기.

어린 시절 구미호의 피를 받은 반요이기 때문에 신을 받을 수 없는 몸이라 무당으로 살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를 어머니에게 들었다. 그 때문에 완전한 인간이 되어 무당 일을 세습하는 굴레를 쓰고 살아가느니 완전한 구미호가 돼서 자유롭게 살아가려는 생각을 하고 있는 듯하다. 5일째 아무 사고도 없이 지루한 나날이 계속돼 무료해하고 있는 아이들을 모아놓고 도깨비는 심장이 없는 대신 도깨비구슬이 심장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깨비구슬이 깨지면 죽는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구미호의 도깨비구슬을 아홉 조각으로 나뉘어서 태어난 것이 자신들이니 구미호는 이미 죽었을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3 결말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하지만 헛다리를 짚은 것. 구미호는 아이들 곁에 있던 연우 스님이었다.[1] 연우 스님은 일호에게 쓸데없는 짓만 저질러놨다고 하며 일호가 그렸던 부적도 도깨비를 막는 부적이 아닌 사람을 막는 부적이었다고 이야기한다.[2] 결국 구미호의 손에 끔살당한 것으로 보인다. 자신은 구미호가 되는 것이 두렵지 않으니, 자신은 다른 구미호의 아이들과 다르다고 우쭐댔겠지만 결국엔 다른 구미호의 아이들과 다를 것이 없이 처참한 최후를 맞았다.

한줌물망초 67화의 임나누리가 중학생 때에 만난 용하다고 소문난 남자 무당 유진으로 환생했다.
  1. 그러나 사실 연우 스님은 구미호가 아니었고, 진짜 구미호는 과거회상 장면을 제외하면 등장하지 않는다. 일호 말대로 정말로 죽어버린 것일지도...
  2. 그런데 왜 부적이 바뀐 것인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단순한 착각이었는지, 이것도 뭔가 음모가 관련되었던 것인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