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제주특별자치도/버스, 제주특별자치도/버스/시외버스 노선 목록
파일:YXnxRkU.jpg
노선 번호가 분리되기 전의 모습. 동진여객 소속 2008년식 BS106 차량.
width=100% | width=100%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 현대 뉴 슈퍼에어로시티 F/L. |
1 노선 정보
제주특별자치도 시외버스 781번 | |||||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3동(제주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06:15(서귀포중앙로터리 출발)/06:25 |
막차 | 21:40(서귀포중앙로터리 행) | 막차 | 21:55 | ||
평일배차 | 출퇴근 10분/평시 12~15분 | 주말배차 | 10~15분 | ||
운수사명 |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진여객, 삼화여객, 제주여객 | 인가대수 | 24대 | ||
노선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제주시청 → 제주대학교 → 교래입구 → 성판악 → 법호촌 → 토평 → 서귀포중앙로터리 →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 → 중문 → 동광육거리 → 렛츠런파크 → 제주관광대학교 → 노형오거리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제주특별자치도 시외버스 782번 | |||||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3동(제주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중앙로터리) | ||
종점행 | 첫차 | 06:1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1:40(서귀포중앙로터리 행) | 막차 | 21:40 | ||
평일배차 | 출퇴근 10분/평시 12~15분 | 주말배차 | 10~15분 | ||
운수사명 |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진여객, 삼화여객, 제주여객 | 인가대수 | 24대 | ||
노선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노형오거리 → 제주관광대학교 → 렛츠런파크 → 동광육거리 → 중문 →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 → 서귀포 중앙로터리 → 토평 → 법호촌 → 성판악 → 교래입구 → 제주대학교 → 제주시청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2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시 시외버스터미널을 거쳐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로 돌아오는 시외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781번, 782번)
3 역사
예전에는 별개 노선으로, 각각 5.16도로 노선과 중문고속화 노선이었다. 5.16도로 노선은 동진여객이, 중문고속화 노선은 삼화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했다.
1991년에 시외버스 운영위원회가 발족하면서 금남여객, 제주여객, 극동여객이 일부 배차에 참여했지만 그래도 5.16도로 노선은 동진여객이 70% 정도 배차했으며 중문고속화 노선은 삼화여객이 70% 정도 배차했을 정도로 이 회사들의 주력 노선이었다.
2006년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이 법환동으로 이전하면서 5.16도로 노선 연장 및 중문고속화 노선이 단축될 계획이었지만 기존 수요 문제로 인해 시외버스 업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바람에 2013년 2월 28일까지 계속 서귀포 옛 터미널에서 시종착을 했다.
그러나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이 왜 2개냐는 각종 불편과 불만이 잇따랐고 드디어 2013년 3월 1일부터 양 노선을 통합하는 전제로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을 완료했다.
이후 2013년 8월 18일부터 시외버스 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서 780번으로 부여 받았다.
이후 노선 구분을 위해 2015년 10월 19일부터 5.16도로 → 중문고속화 방향은 781번으로, 중문고속화 → 5.16도로 방향은 782번으로 분리했다.
4 특징
제주시 중심지와 서귀포시 중심지를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자 제주 시외버스 노선 중에서 배차 간격이 가장 짧고 운행 횟수도 많으며, 일주도로 노선(701번, 702번) 다음으로 수요가 많다. 승객들의 이용 패턴은 보통 5.16도로 방향과 중문 방향으로 나뉘어진다. 그 이유는 역사 항목에 설명했듯이 원래 별개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주 수요지는 서귀포시에서는 중앙로터리, 동문로터리, 월드컵경기장, 중문(관광단지)이며 제주시에서는 제주시청, 제주대학교병원, 한라병원, 노형오거리 등이며 제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 통학 수요도 제법 된다.
그리고 한라산 백록담에 오르기 위한 산행객 수요도 엄청 많다. 그 이유는 성판악 코스가 한라산 백록담(정상)에 오를 수 있는 유일한 코스이기 때문에... 사실 관음사 코스도 가능했으나, 한라산 정상 부근 낙석 사고로 인해 오를 수 없다. 어리목, 영실, 돈내코 코스는 윗세오름까지만 등반이 가능하다.
4.1 사고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16도로 '성판악 - 수악교' 구간의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그만큼 제주도 버스 교통사고도 대부분 여기서 발생한다. 때문에 이 구간만큼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2016년 1월 18일, 수악교 근처에서 삼화여객 소속 차량이 도로 옆 바위와 충돌한 사고.
2014년 11월 3일, 성판악 휴게소 남쪽 1.7km 지점에서 삼화여객 소속 차량과 카렌스 승용차 추돌 사고.
2014년 6월 12일, 숲터널에서 극동여객 소속 차량이 숲속으로 추락한 사고.
2014년 2월 5일, 숲터널 근처에서 제주여객 소속 차량과 삼화여객 소속 차량이 추돌한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