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하오

중화권의 만년필 회사
영웅영생금성공작
진하오크로커다일피카소트위스비

1 개요

진하오(金豪, Jinhao) (Shanghai Qiangu Stationery Co.,ltd) - 1988년 Jiangxi 에 회사가 설립 되었으며 2003년에 상하이로 옮겨 현재까지도 계속 존재하는 학용품 전문 회사이다. 주요 생산품은 만년필과 볼펜이며 현재는 주로 만년필을 메인으로 생산하고 있다. 중국의 전통 디자인을 서양의 스타일과 접목시킨다는 프레이즈를 내세워 물건을 만드니만큼 서양의 클래식한 느낌이 많이 들어있는 물건이 많은 편이고 그래서인지 중국 내에서의 인기보단 서양권에서의 인기가 더 많은 편이다.

2 특징

이 특징들은 포럼들과 리뷰들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정보들을 토대로 작성이 되었기에 사실이 아닌 것들이 서술될 수도 있다. 만약 서술된 정보중 옳지 않은 정보들이 있을 경우, 즉각 수정바람

라인업은 다양하지만 무게가 무겁고 서양풍의 디자인을 지닌 펜들이 많은편이다.[1] 의외로 저가형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품질은 괜찮은 편이다. 다만 가격이 가격인지라 마감이 아쉽다는 평도 적지않다. 159나 599 같이[2] 대놓고 타 브랜드의 특정 모델의 카피를 하는 제품을 제외하면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클래식한 디자인의 만년필을 많이 만들며, 중국 특유의 섬세한 디자인을 가진 제품도 많이 내놓는 편이다.[3] 대신 무게는 무겁다..

만년필의 경우 중국산 중에선 드물게 F 보단 M 닙 제품이 많이 나오는 브랜드이며, 상술했듯이 디자인의 화려함이 눈에 띄는 펜들이 많다. 가격대가 올라갈수록 용이 조각되거나 하는식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나오기도 한다.

무게의 경우 무거운 펜은 보통 40g대에서 80g까지도 가는편이라 실사용엔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무거운펜을 선호하는 이들에게는 오히려 애용할만한 브랜드이다.

전반적으로 평가는 좋은편, 특히 가성비가 좋은 평가를 받는다. 10달러 이내면 일본의 저가형 펜들은 물론 영웅보다도 더 퀄리티가 월등한 펜들이 많이 나온다. [4], 거기에 M촉 특유의 부드러운 필기감은 한국 내에서도 그렇고 외국에서도 10만원 내외의 타 브랜드 만년필과 견주어 보아도 꿀리지 않는다는 평이 많다. 오히려 그보다 더 낫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다만 캡의 금속 링 코팅 부분이라던가 마감 같은 경우 약간씩 잘 벗겨지고 아무래도 저가형의 한계 라고 불리는 문제들[5][6]이 약간씩 있기는 한지라 디자인및 마감을 까다롭게 보는 사람이라면 구입하지 않는편이 좋다. 그래도 사무실이나 자주 밖에 다니면서 일명, 전투용 으로 사용을 하기에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가성비의 최강자라 불러도 좋을 물건. 저가의 펜에게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것도 양심불량이다(..)

3 제품 목록

본 항목은 진하오에서 나오는 제품 중 포럼이나 넷상에서 유명한 제품을 중심으로 작성하기에 더 많은 제품군을 찾아보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http://www.jinhaopen.com/en/indexen.asp (영문)

  • 볼펜

추가바람

  • 만년필

이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하자면 엄청 저렴한 가격[7]과 닙 품질의 안정성이다. 물론 뽑기도 존재하고 흔히 말하는 "짝퉁" 도 은근히 돌아다닌다고 하니 구매시 주의할 필요는 있다. 믿을만한 셀러에게 구입하자.

- 159 - 몽블랑 마이스터튁 149를 본떠 만든 펜이며 진하오의 만년필들 중 최상위권의 인기를 자랑하는 제품군중 하나이다. 몽블랑 149와 (당연히) 흡사한 디자인에 다양한 색상이 존재하며, 50g이라는 엄청난 무게를 자랑하는 만년필이다. 캡은 스크류 타입이며 바디에 끼웠을때 무게 균형이 잘 맞는다고. 닙은 표준적인 #6호 닙을 사용하며 또한 펜촉 분해도 쉽기에 세필(EF, F)이나 더 굵은 글씨(B나 스텁닙)를 원하는 사용자는 교환용 #6호 닙(대부분 독일산)을 사서 교체해서 쓰기도 한다. [8]이는 159를 포함한 후술할 X450과 X750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성능은 엄청나게 낮은 가격의 펜 임에도 상당히 매끈거리는 필기감을 보여준다. 무게와 필기감이 괜찮은 균형을 보이는편, 다만 무게가 호불호의 원인이 된다. 특히 캡을 뒤에 꽂고 쓸 경우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걸릴것이다. 속필시 잉크 끊김이 있다는 의견이 있긴 하나[9]사용기 자체는 우수한 평점을 받고있다. 컨버터는 일반적인 스크류 컨버터이기 때문에, 펜의 크기대비 잉크 용량이 상당히 적은편이라는 비판이 있다.

다만 클립에 방패 모양 로고가 붙어있는 디자인에 호불호가 갈리고, 닙에 써져있는 18K GP 는 왜 써져있는지 이유를 모르겠다는 평이 있다.[10] 상술한 무게도 호불호의 원인.

- X450 - 진하오의 최고 인기 제품군들 중 하나이며 클래식한 디자인으로 유명한 제품이다. 색상은 클래식한 색상부터, 화려한 패턴무늬까지 다양하다. 무게는 159보다 약간 더 가벼운 43g 내외로 알려져 있으며 닙은 재질이 다른 것이 아닌 색깔만 다른 투톤닙을 채용하는것으로 보인다. M닙이며 잉크의 흐름이 괜찮은편.

159와 마찬가지로 역시 결코 가볍지 않은 무게와 클래식한 디자인 특유의 두꺼운 펜의 두께가 호불호가 갈리며 특히 몇몇 제품에서는 피드와 컨버터가 맞지 않아 잉크의 누수가 있다는 평이 있다.[11]

디자인 면에서는 159 보다는 호평인데 마감도 좋고 색상도 나쁘지 않고, 브랜드 로고도 캡링에 위치해서 적절하다. 가격도 159보다 더 저렴하기에 대형기에 입문하려는 이들에게 추천되기도 한다.가격대가 3달러냐 12달러 내외냐의 차이지만

캘리그라피에 주로 사용되는 딥펜 촉들중 스테노 촉이 호환된다는 점에서 개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X750 - 역시 진하오의 최고 인기 제품군들 중 하나이며 X450 보다 살짝 더 크고 각진 느낌이다. 무게는 약 45g에 굵기는 M닙이다. 하지만 닙의 디자인은 159의 그것과 동일한 것이 대부분이다. [12]

디자인은 X450보다는 조금 더 모던한 느낌의 물건이 많다는 평.

마감은 역시 좋고 가격은 X450보다는 조금 더 비싼편이나 10달러를 넘기진 않는다.

- 599 - 영웅 359를 이은 또 하나의 라미 사파리 카피작인 진하오 599를 내놓았다. 하지만 영웅과는 달리 클립 모양이 오리지날 사파리와 다르며, 캡이나 닙의 호환이 불가능. 부품 크기가 미묘하게 이쪽이 더 작다. 가성비는 원본 사파리보다 더 좋은편. 하지만 닙과 피드의 정렬은 기대하지 말자..그래도 필기하는데 문제는 전혀 없지만 알고나면 스트레스 받는다(..) 평은 나쁘지 않다. 가격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펜. 곡률이 들어간 진하오599와 사파리처럼 평평한 닙인 진하오599A가 있다. 후자의 경우 황동배럴을 사용한다.

한자루에 2달러를 안넘기다 보니 컨버터를 구입하기 위한 희생양이 되기도 한다.펜을 샀는데 컨버터가 딸려왔어요

이외에도 80g대의 육중한 무게를 가진 SLXZ, 650 등 엄청난 펜들이 있고 나무 베럴로 이루어진 제품군이나 41 시리즈처럼 실사용보단 조각품으로서의 역할을 지닌(..) 다양한 제품군이 있다. 15와 126과 같은 후디드닙으로 된 만년필도 시도해볼만하다. 매우 매끄럽고 부드러운 필감이 인상적이고, 디자인도 현대적으로 예쁘다. 가격은 배송료를 포함해도 3불을 넘지 않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1. 몽블랑 계열의 유선형 디자인 펜- 흔히 생각하는 서명용 펜의 컨셉이다. 다만 중국풍의 화려한 디자인이 강조된 펜도 많은편.
  2. 전자는 몽블랑 149, 후자는 라미 사파리를 카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제품을 카피한다. 워터맨 세레니떼 카피의 후드닙 버전을 만든다던지.
  3. 대표적으로 SLXZ 시리즈가 유명하다.
  4. 영웅에 비해 재료 단가가 높고 생산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라 가격대비 퀄리티가 더 좋다는 의견이 있다.
  5. 피드와 컨버터가 미세하게 맞지 않아 잉크의 누수가 생긴다던가, 캡의 링 부분이 헐거워 유격이 발생하거나 밀폐력이 떨어지는드으이 마감의 미흡함
  6. 다만 X450, X750등의 인기제품군은 점차 마감이 괜찮아지고 있다는 평이 있다.
  7. 값은 이베이에서 중국 셀러들로부터 구입해도 발송료까지 포함해서 미화 5달러도 안되고,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살 경우도 같다. 물론 배송료는 무료
  8. 평이 좋은 닙으로는 굴렛 펜 (gouletpens.com) 에서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닙이 있다. 가격은 15달러. 물론 누들러 닙은 하나에 2달러도 있고 여러가지 닙을 판매하기에 한 번 정도 둘러보기에는 좋은 사이트.
  9. 피드 품질이나 컨버터가 원인일것으로 보인다.
  10. 사실 금도금은 훼이크고 그냥 스틸닙이다(...)
  11. 다만 QC문제가 점차 해결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12. 159는 올 실버, X450는 투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