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타이 고속공로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중국의 고속도로
수도방사선(G1) 징하 고속공로(G2) 징후 고속공로(G3) 징타이 고속공로(G4) 징강아오 고속공로(G4W) 강아오 고속공로
(G5) 징쿤 고속공로(G6) 징짱 고속공로(G7) 징신 고속공로
남북종관선(G11) 허다 고속공로(G1111) 허하 고속공로(G1112) 지솽 고속공로(G1113) 단푸 고속공로(G15) 선하이 고속공로
(G15W) 창타이 고속공로(G1511) 르롼 고속공로(G1512) 용진 고속공로(G1513) 원리 고속공로(G1514) 닝상 고속공로
(G25) 창선 고속공로(G2511) 신루 고속공로(G2512) 푸진 고속공로(G2513) 화이쉬 고속공로(G35) 지광 고속공로
(G45) 다광 고속공로(G4511) 룽허 고속공로(G55) 얼광 고속공로(G5511) 지아 고속공로(G5512) 진신 고속공로
(G5513) 창장 고속공로(G65) 바오마오 고속공로(G75) 란하이 고속공로(G7511) 친둥 고속공로(G85) 유쿤 고속공로
(G8511) 쿤모 고속공로
동서횡단선(G10) 쑤이만 고속공로(G1011) 하이퉁 고속공로(G12) 훈우 고속공로(G1211) 지헤 고속공로(G1212) 선지 고속공로
(G16) 단시 고속공로(G18) 룽우 고속공로(G1811) 황스 고속공로(G20) 칭인 고속공로(G2011) 칭신 고속공로
(G2012) 딩우 고속공로(G22) 칭란 고속공로(G30) 롄훠 고속공로(G3011) 류거 고속공로(G3012) 투허 고속공로
(G3013) 카이 고속공로(G3014) 쿠이아 고속공로(G3015) 쿠이타 고속공로(G3016) 칭이 고속공로(G36) 닝뤄 고속공로
(G40) 후산 고속공로(G4011) 양리 고속공로(G42) 후룽 고속공로(G4211) 닝우 고속공로(G4212) 허안 고속공로
(G50) 후유 고속공로(G5011) 우허 고속공로(G56) 항루이 고속공로(G5611) 다리 고속공로(G60) 후쿤 고속공로
(G70) 푸인 고속공로(G7011) 스톈 고속공로(G72) 취안난 고속공로(G7211) 난유 고속공로(G76) 샤룽 고속공로
(G78) 산쿤 고속공로(G80) 광쿤 고속공로(G8011) 카이허 고속공로
지역순환선(G91) 랴오중 순환 고속공로(G92) 항저우 만 순환 고속공로(G9211) 용저우 고속공로(G93) 청유 순환 고속공로(G94) 주강 삼각주 순환 고속공로
(G9411) 관포 고속공로(G98) 하이난 순환 고속공로(G99) 타이완 순환 고속공로
징타이 고속공로
총연장2,030km(계획상)
1,857km(실제)
개통년미정
기점베이징 직할시
주요 경유지톈진 직할시
허베이 성
산둥 성
장쑤 성
안후이 성
저장 성
푸젠 성
종점타이완 성 타이베이 시

1 개요

징타이 고속공로(京台高速公路, 경대고속공로) 혹은 베이징-타이베이 고속도로는 수도인 베이징 시푸젠 성의 푸저우를 잇는 고속도로로 전체 계획상으론 베이징과 타이완 성(현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를 이을 예정인 고속도로이다.

중국국가고속공로망의 제G3호 고속공로로 지정되어 있다.

2 구상 중

현재 이 고속공로는 완전 개통되지 않은 고속공로이다. 베이징부터 푸저우 사이의 구간은 현재 개통 완료되었으나, 이 도로의 건설에 있어서 타이완 문제와 연관되어 논쟁에 놓여있다는게 문제... 양안관계를 고려하면 이게 실현될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양안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장래계획으로 남을 가능성이 큰데다 양안관계가 개선된다 해도 후술하는 문제까지 겹치는지라....

3 타이완 해협 횡단 문제

상술한 양안관계 문제 말고도 100km가 넘는 타이완 해협을 횡단하는 문제에 있어서 해저터널이 거론되고 있지만, 해협을 사이에 둔 두 지역 간의 기후 차와 기상 조건이 서로 다른데다가 공사 난이도가 천문학적일 것으로 보여 난항을 거듭하는중.

우리나라의 가덕해저터널이야 그나마 거리도 짧고 수심도 얕은 편이라 수월했지만...

결론은 징강아오 고속공로처럼 사실 상 본토 부분인 베이징~푸젠 성 샤먼만 연결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고, 타이완 섬으로 갈려면 출입국 수속을 하고 페리를 타야 할 것이다. 차는 당연히 대만 넘버로 바꾸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