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번호판/일본

1 개요

대한민국과 비교하면 차종기호가 100번대로 되어있다.
그리고 끝의 두 자리가 42, 49인 것은 별도로 요청하지 않으면 나오지 않는다.[1] (주둔 미군 차량은 제외)

2 종류

대한민국과 비교하면 번호판을 배기량별로 구분하는데 번호판으로 경차를 구분할수도 있고 이륜차(오토바이, 바이크) 배기량의 높고낮음을 구분할수도 있다.

2.1 육운국 발급 번호판

  • 일반 승용/승합/화물차: 개인용은 흰색 바탕에 녹색 글자, 영업용은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
  • 경차: 개인용은 노란색 바탕에 검정색 글자, 영업용은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 글자
  • 250cc 초과 이륜차: 바탕색과 글자색은 개인용 승용/승합/화물과 똑같고 테두리 부분에 녹색띠 있음
  • 126cc~249cc 이륜차: 바탕색과 글자색이 개인용 승용/승합/화물과 같음

2.2 과세표지

육운국이 아닌, 각 지역의 구약소나 시세사무소(市税事務所)에서 발급 받을 수 있는 번호판이다.

2.2.1 원동기 장치 자전거

  • 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갑 (90cc~125cc): 분홍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
  • 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을 (51cc~89cc): 노란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
  • 1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50cc 이하): 흰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

공관용 원동기 장치 자전거의 경우에는 배기량에 따른 바탕 색상에 빨간색 글자. 이 경우에는 경자동차세를 낼 필요가 없다.

2.2.2 미니카

  • 20cc~49cc의 3륜 이상 1인승 자동차: 하늘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

윤간 거리가 50cm 이하인 트라이크의 경우에는 일반 원동기 장치 자전거로 분류되어 미니카 번호판을 달지 않는다.

2.2.3 소형 특수 자동차

  • 최고속도 35km 미만의 농업용 자동차(트랙터 등), 혹은 최고속도 15km/h 미만의 특수 자동차(골프카트 등): 녹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

3 번호

3.1 지명

번호판에 적힌 지명은 차량주소지의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차량주소지를 관할하는 차량등록사무소의 이름이다. 대체적으로 차량주소지가 소속되어있는 도도부현의 이름과 일치하나 복수의 차량등록사무소가 있는 대형 자치단체의 경우에는 같은 도도부현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차량이라도 서로 다른 지명이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쿄 23구 지역의 경우에는 관할등록사업소에 따라 시나가와(品川), 아다치(足立), 네리마(練馬)의 세가지 번호판이 돌아다녔으며[2] 예전에 강남구에서 등록된 차량인 서울 52 번호판이 우대를 받았던 것 비슷하게 저 세 번호판 중에서 도쿄의 중심부인 주오, 지요다, 미나토, 시나가와 등을 관할하는 시나가와 번호판을 다른 두 곳보다 더 쳐준다는 얘기도 있었다. 그렇다고 한국처럼 다른 곳에 사는 사람이 차량등록만 시나가와 차량등록사업소에서 해서 시나가와 번호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자기의 주소지가 시나가와 차량등록사무소의 관할에 있어야만 시나가와 차량등록사업소에서 등록을 할 수있다. 오사카부의 경우에는 나니와(なにわ)[3]와 오사카(大阪) 등이 돌아다니는 데 특이하게도 오사카 번호판이 아니라 나니와 번호판이 오사카의 중심인 오사카시를 관할하는 번호판이다. 그래서 여기도 도쿄와 마찬가지로 나니와 번호판이 진퉁 오사카이고 오사카 번호판은 짭(...)이라는 식의 인식이 암암리에 퍼져있다.

3.2 숫자

한국처럼 기본적으로 4자리 숫자이나 위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두자리 씩 끊어서 가운데에 대쉬(-)가 들어간다 즉 12 - 34 이런 식. 그리고 숫자의 앞자리가 0으로 시작할 번호라면 0이 들어갈 자리에 0 대신에 가운뎃점( ·)을 쓰고, 대쉬가 없어진다. 예를 들자면 한국에서는 0123이라고 쓸 번호는 일본 번호판에서는 ·1 23 이런 식으로 표기한다. 극단적으로 한국에서 0002로 표기될 번호는 · · ·2 식으로 쓰게 된다. 0이 아닌 다른 숫자의 뒤에 나오는 0은 그대로 0으로 표기한다. 즉, 한국에서 7890으로 표기될 번호라면 일본에서는 78 - 9 · 이 아니라 78 - 90 으로 표기가 되는 식. 마찬가지로 0이 숫자의 사이에 들어오는 경우, 이를테면 1023 같은 경우에는 1 · - 23 이 아니라 10 - 23 식으로 표시된다.

4 특수한 경우

4.1 자위대

자위대는 자위대법 114조에 의거 도로운송차량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01-2345와 같이 숫자 두 자리-네 자리의 번호판을 부착한다. 앞의 두 자리는 차량의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01-03육상자위대소형 트럭
04구분되지 않은 차량
05-08중형 트럭
11오토바이
20-37대형 트럭
38초대형 트럭
39-43해상자위대
44-49항공자위대
50-59육상자위대견인차
60-69, 88트레일러
70-77, 83-85, 87굴삭기, 불도저 등
78-79레이더 탑재 차량
80세탁/정수차
81방제 차량
82구급차
86항공부대 차량
90-98장갑차
99기술연구본부[4]

4.2 외교관

대사관 차량은 外・1234, 그 중에서도 대사의 차량은 外⃝[5]・1234 형식으로 되어 있다. 영사관 차량은 領・1234, 대표부 차량은 代・1234 형식.
  1. 왜냐하면 42는 일본어로 '죽음에'를 뜻하는 시니(死に)와 발음이 같고, 49는 '죽을 만큼 괴롭다'라는 뜻의 시쿠(死苦)와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죽을 사자와 발음이 같다고 4를 피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2. 최근에 세타가야와 스기나미가 추가 되었다. 세타가야, 스기나미는 전에는 도쿄의 중심부를 관할하는 시나가와, 네리마에서 받았다. 스기나미쪽은 '자랑스러운 스기나미구민이 네리마 번호를 달고 다닌다는 건 말도 안 된다'라고 하면서 찬성하는 쪽이 많았으나 세타가야쪽은 시나가와 넘버를 받기 때문에 스기나미와 같은 의견이 있는가 하면 '시나가와로도 충분하다. 오히려 촌스럽다.'라며 반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3. 나니와는 한자로 浪速, 浪華 등으로 표기되지만 번호판에서는 히라가나로 なにわ로 표기한다
  4. 방위성 산하의 연구기관이다.
  5. 外자 밖에 동그라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