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상호대차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전국 도서관 단일 대출증 서비스이다. 하나의 대출증으로 전국의 모든 도서관을 이용하게 하는게 목표이며, 2016년 4월 기준으로 전국 518개의 공공도서관이 참여중이다. 정작 운영주체인 국립중앙도서관은 이용이 불가능한 것이 함정[2]
프로젝트 자체는 2011년 부터 시행된것으로 보이나, 아직도 이 서비스에 대하여 아는 사람은 극소수이다.
자신이 가입된 도서관이 책이음 가맹 도서관이라면, 기존 회원증을 책이음 회원증으로 바꿔서 발급 받을수 있으며 이 회원증으로 다른 시/도의 가맹 도서관을 이용할수 있다. 다만 바로 이용 가능한것은 아니고, 이용하고자 하는 도서관의 안내데스크에서 일종의 등록 절차[3]를 거쳐야하며, 1개 도서관에서 5권[4], 모든 가맹 도서관을 합쳐서 최대 20권을 빌릴수 있다.
책이음 대출증은 RFID와[5] 바코드가 결합된 방식으로 발행되며, 또한 기존의 대출증은 효력이 상실된다.
책이음 가맹 도서관의 사서도 이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경우가 많으며, 책이음 카드를 내밀면 다들 이게 뭐냐고 신기해하는 진풍경 이나 전산처리 어떻게 하냐고 전산부를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서관에 따라서는 책이음 대출증과 기존 시스템이 호환이 안되어서 대출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또한, 책이음으로 대출한 도서의 경우 대출한 도서관과 다른 참여 도서관에 반납할수도 있다*, 현재는 시범 운영중이라 부산, 대구, 광주지역 내에서만 무료로 가능하다고 하다.*
책이음 가맹 도서관의 경우 책이음 이용자에게는 해당 지역 도서관의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부천시립도서관의 경우 책이음 이용자는 이벤트에 참가하지 못한다거나, 안양도서관의 경우는 희망도서 신청이 막혀버린다 [6]- ↑ 사이트가 아직도 SHA-1 SSL 인증서를 쓰고 있어서 크롬에서 로그인이 안된다 (...)
- ↑ 단, 책이음 회원증이 있으면 별도의 중앙도서관 회원가입 없이 회원증 발급 데스크에서 바로 이용증을 발급 가능하다.
- ↑ 책이음 서버에서 인적사항을 불러와서 자관에 등록하는것, 사실상 도서관 회원가입과 동일하다. 신분증 지참 필수
- ↑ 참여 도서관의 정책에 따라 다름, 서울도서관의 경우 3권
- ↑ 쓰기방지를 위한 보호가 없어서 NFC태그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회원ID가 소멸되어 재발급 받아야하니 주의
- ↑ 책이음으로 전환하면서 전산에 주소지가 적히지 않아 시민인지 구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