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1 사전적 의미

Traffic.

1. (특정 시간에 도로상의) 차량들, 교통(량)
2. (특정한 루트를 이동하는) 운항
3. 수송

2 인터넷 용어

파일:Traffic.gif
사전적 의미에서 따온 컴퓨터 용어. 서버의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한다.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을 많이 시도할 수록 트래픽이 증가한다. 트래픽이 서버가 버틸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들어올 경우, 서버는 버티지 못하고 다운되어 버린다. 이 점을 이용하여 상대방 서버를 마비시키는 것을 서비스 거부 공격(DoS) 이라고 한다. 또한 서비스 거부 공격을 병렬 처리[1] 한 것이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DDoS이다.

서버 관리자 및 각종 호스팅 업체 입장에서는 지나친 트래픽이 발생하면 이를 커버하기 위해 수백 수천만원이나 되는 회선을 새로 끌어와야 하기 때문에 많은 트래픽을 발생 시키는 프로그램을 CPU 점유율이 높은 프로그램[2]과 함께 악의 축 취급하고 있다. 성능이 좋은 CPU 수십개를 써서 컴퓨터 자원이 남아돌지라도 회선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3], 회선 관리도 충실히 해주지 않으면 이용자가 떨어져서 그 호스팅은 곧 망하게 되기 때문이다. 같은 공유기를 쓰는 동생이 매일같이 토렌트 돌리면 나는 인터넷을 느려서 못하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종 호스팅 업체에서는 일정 주기당 트래픽 용량 제한[4]을 걸어 해당 고객과 계약한 트래픽 용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 해당 주기가 끝날때까지 고객의 사이트 접속을 막음으로써 사이트의 경량화를 유도한다. 다만 회선이 널널한 구미권에선 트래픽 제한 같은 것을 걸지 않고 최소 속도 보장까지 얹어주기도 하니 호스팅 업체의 트래픽 정책을 필히 숙지하도록 하자. 단시간에 이용량이 과다한 사이트는 용량 내에서 사용하더라도 계약해지나 서버 호스팅으로 옮길 것을 업체로부터 제의받기도 하는데[5], 가끔 막지 않고 나중에 요금 폭탄을 선사해주는 곳도 있으므로 호스팅을 받는 위키러라면 호스팅 업체 사이트 내 트래픽 초과 시 자동 차단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꼭 확인하도록 하자.

그렇기 때문에, 특정주소에 대한 링크를 걸때 특히 링크의 대상이 트래픽에 민감한 개인홈페이지나 호스팅받는 사이트인 경우 직링크를 하는건 사이트 주인 입장에서 민폐인 경우가 많다. 2ch등지에서 주소에 h같은 글자를 뺌으로써 직접 반복붙해야하는게 정착된 이유도 수동적인 역링크 추적 방지와 이러한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6]

대한민국에서는 트래픽이 많다는 것은 사이트에 사람들이 많이 찾아온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일종의 유명세로 인식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트래픽이 많으면 일부 사용자들을 의도적으로 차단하여 트래픽을 줄인다.

대한민국에서 일반 유저에게 트래픽이라는 개념은 위에서처럼 호스팅 할 때만 직접적으로 다가오게 되지만, 실제로는 인터넷 그 자체가 트래픽이고 트래픽은 돈과 직결된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대한민국, 유럽 등지에서는 인터넷 무제한이 당연한 일이지만 회선 비용이 비싼 호주,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인터넷 종량제 혹은 광고가 붙는 인터넷[7]이 성행하고 있다.

또한, 기업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에도 트래픽에 대한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이를테면 가게를 열 때 임대료, 도로를 사용하면 도로요금, 택배를 보내면 택배요금 등이 붙는 것 처럼 말이다. 그러니까 홈페이지를 보여주는 것도 돈, 게임 클라이언트를 전송하는 것도 돈, 패치를 하는것도 전부 돈이라는 소리. 외국에 글로벌 서비스를 하는 것은 돈 부담이 막심해서 '해외유저는 안와도 좋다 차라리 오지마' 라고 하는 것도 그 때문. 수십 수백만 가입자를 가진 프로그램의 경우 패치를 한 번 잘못하면 막대한 트래픽 비용을 무는 수도 생긴다. [8] 혹시 이용하는 서비스가 패치를 너무 자주 한다고 욕하지 말자. 다만 최근에는 트래픽 비용이 많이 저렴해져서 해외 유저들을 받아주는 곳도 생겨나고 있고, 트래픽에만 너무 큰 비용 부담을 할 필요는 없어졌다.

3 컴투스에서 제작한 모바일 게임 트래픽!

해당 항목 참조.
  1. 이때 쓰이는 컴퓨터가 악명높은 좀비PC이다!
  2. 이 경우는 주로 호스팅 업체가 CPU 자원을 서버 성능을 한계 이상으로 할당하는 경우에 한정. CPU를 단독으로 할당시켜 주는 가상서버업체 일부, 서버호스팅업체 전체는 그런거 없이 다 쓸 수 있도록 해준다.
  3. 한국, 일본, 싱가폴 등을 포함한 아시아권은 개인 인터넷은 싸고 빠른 편인데도 불구하고 서버 업체의 회선비 부담이 무거운 편이다. 주로 유럽권이 가장 싸고, 그다음은 북미.
  4. 시간당 2GB, 일간 100GB, 개월당 30TB등등, 해외 호스팅은 대부분 월 단위로 명시한다.
  5. 짧은 시간 동안 접속이 과다하게 몰리면 그 시간대에 같은 서버를 쓰는 다른 이용자가 힘들기 때문, 물론 일일 트래픽 1기가도 안되는 소액 호스팅을 받는 사람이나, 그 호스팅 업체의 메리트 자체가 회선 상시 남용 가능인 경우 이로 인해 계약 잘릴 걱정 할 필요 없다.
  6. 2ch 용어집의 H抜き 참조.
  7. 말 그대로 돈 주고 접속한 사이트 위에 통신사가 하이재킹해준 광고도 봐가야 하면서 쓰는 인터넷이다! 이것을 실현하고 있는 악명 높은 곳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의 Telkom speedy가 있다. #링크 사이트 운영자를 위한 광고 제거 프로그램
  8. 때문에 블리자드처럼 클라이언트나 패치 다운로드를 토렌트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