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차

特次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처음 실시된 1994학년도부터 2001학년도까지 실시했던 한국의 대학입시 제도.

1 개요

특차 선발 전형의 약자. 수능이 끝나고 수시 모집[1]정시 모집 사이에 수능 고득점자들을 미리 유치하기 위해 내신은 거의 보지 않고 수능만 반영한 제도이다. 이는 수능 위주라는 점에서 정시모집과 유사하나, 당시 기준으로 정시보다도 더욱 극단적으로 수능의 비중이 높았던 제도였다.

본고사가 존재하던 1994학년도부터 1996학년도까지는 본고사 없이 수능 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라는 의미를 갖고 있었으나, 본고사가 폐지된 1997학년도부터는 수능 외에도 내신이나 논술, 면접 등의 전형 요소를 가미하는 정시 모집에 앞서 수능 점수가 우수한 학생을 먼저 선발하기 위한 제도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위에서 서술한 대로 당시 기준으로도 수능 위주였던 정시보다도 더욱 수능의 비중이 높아 수능 100%, 혹은 논술이나 면접 없이 형식적으로 지극히 적은 비중의 내신만을 부가하는 전형을 시행하여 실질적으로 수능만으로 학생을 선발하였다.

정원의 일부만을 수능만으로 뽑는 제도인지라, 서울대학교 같은 곳의 특차모집은 그야말로 수능 굇수들의 향연이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따라서 법학부나 의예과 같은 서울대 인기학과의 경우 말도 안 되게 높은 점수(전국등수 두자릿수대)로도 떨어지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정시로 다시 원서를 넣어 가면 되긴 했지만, 예나 지금이나 내신이나 면접 등 수능외적 요소의 비중이 커 수능 고득점자도 합격을 장담할 수 없는 서울대 정시 입시의 특성 및 초고득점자도 특차에 탈락[2]해 버리는 상황이 다음에 이어지는 정시에서의 하향지원 경향을 유도하여 정시 경쟁률이나 커트라인은 당초 예상보다 낮아지는 일도 간혹 있었다.

2 폐지

결국 특차모집은 수능 지상주의와 입시 과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에 부딪쳐 2002학년도부터 폐지되었다. 비록 제도 자체는 사라졌지만, 현행 정시모집 중 수능 100%의 전형을 시행하는 곳의 경우 과거의 특차와 유사한 면이 있다고 봐도 될 것이다.

3 대학원에서의 특차

대학원에서도 학부과정과 마찬가지로 학생을 미리 선발하기 위해 특차 전형이 있다.

4 여담

김태희가 이 전형을 통해 서울대학교 의류학과에 합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정시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1997학년도부터.
  2. 심지어 특차 마지막해였던 2001학년도(수능이 매우 쉬었음)에는 만점자도 탈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