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년체

編年體

사서의 편집방법에 따른 분류법 가운데 하나. 기전체와 대비된다. 실질적으로 연대기와 의미가 같다.

편년체는 연도에 따라서 각 연/월/일에 일어난 사건과 그 전말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오래된 사건에서 새로운 사건 순서대로 계속해서 늘어놓아 기록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편년체 역사서로 자치통감이 있고, 고려사절요도 편년체 사서이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조선왕조실록도 기본적으로는 편년체를 썼는데, 세종실록처럼 임금의 재위 기간이 길고 사료가 너무 방대해서 편년체로는 도저히 다 수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다른 방식을 조금씩 혼합하긴 했다.

여러 문서에 사건이 분할되어 실리게 되므로 여러 기전을 대조해봐야 사건의 윤곽을 그리고 시대의 순서를 알 수 있는 기전체와는 달리, 편년체 사서는 단지 한 번 읽는 것 만으로 사건의 전후 관계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크게 중요하지 않고 언급할 필요가 없는 사소한 사건은 편집해서 싣지 않는다.

물론 다루는 시기가 몇백년 단위가 되면 분량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알기 쉽게 예를 들면, 위키위키가 기전체라면 블로그는 편년체이다.(응?)

[1]
  1. 기전체라기 보다는 강목체에 가깝고 블로그도 주제별 서술일 경우 시간 흐름과 관계없이 기술한 경우가 많아 편년체 라고 표현하기엔 어폐가 있다 일기 향식의 글 정도만 편년체로 봄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