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이 문서는 종교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가 다루는 종교, 종교인에 대한 내용은 읽는 이에 따라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요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문서에 쓰여진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마십시오. 편집할 시에는 문화상대주의를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작성하고, 논란이 될 수 있는 내용은 신중히 검토한 뒤 작성하십시오. 또한 문서의 사실에 관한 내용을 수정할 때에는 신뢰가 가능한 출처를 기입하시거나, 토론 과정을 거치신 뒤 하시고, 다른 종교를 비방하거나 비하하는 내용을 넣지 마십시오.

이 틀을 적용할 경우, 문서 최하단에 혹은 분류:종교의 하위 분류를 함께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平信徒 Layman 놓는 사람 , Laity

1 개요

교인 중 어떠한 종교 직책도 갖지 않은 사람을 뜻한다. 기독교에서 성직자가 아닌 경우를 뜻한다.
이 개념은 사도들을 중심으로한 초대 교회에 없었던 개념인데, 2C부터 나타나 점점 굳어지기 시작했다.
가톨릭이나 동방정교같은 경우는 성직자-평신도 구분을 엄격히 하나, 개신교루터 이후로 '만인제사장설'을 주창하므로, 평신도라는 말을 싫어하는 경우도 많다. 이럴 경우는 성도로 바꿔부르는 편이다. 하지만 따지고 보면, 성도는 거룩한 백성이라는 뜻이므로, 사실 성직자들도 모두 포함된다.

2 유래

평신도의 원 뜻의 어원은 헬라어 λαός(laos, crowd, people)에서 나왔다. 평신도를 뜻하는 layman의 lay도 λαός(laos, crowd, people)에서 나온 λαϊκός(laikos, of the people)에서 나온 말로 볼 수 있다. 초대 교회에서는 단순히 사람들(사도행전 5장 35), 또는 학문이 없는 범인(사도행전 4장 13절), 큰 무리(사도행전 11장 26절)로 나왔으나 점차 초대교회가 커지게 됨과 동시에 체계화로 인하여 나눠지게 되었다.
고린도에 보내는 편지에서 처음으로 장로, 집사, 평신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성직자와 평교인을 갈라놓았는데 로마 가톨릭과 동방정교회에서는 이 때문에 지금도 성직자와 평신도를 엄히 구분하고 있다.

3 가톨릭에서의 평신도 신학의 의미

추가바람

4 개신교에서의 평신도 신학의 의미

16세기 루터의 종교개혁 운동에 의해서 새로운 교회의 이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는 교회를 성도의 교제로서 복음이 선포되고 성레전의 집행으로서 코이노니아 공동체로 정의하였다. 동시에 그는 만인사제론을 주장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제사장, 주교, 교황으로 봉헌되었으며, 실제로 직무의 차이를 제외하고서는 성직과 평신도 사이에 아무런 구분이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햇다. 여기에서 교회에는 성직자와 평신도 사이의 구분이 사라지고 모든 신자들은 신앙 안에서 성도의 교제를 통하여 만인제사직의 동등한 자리를 설정하게 되었다. 신자의 만인 제사장 직분이 강조되었고 평신도의 지위가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나라에서 종교 개혁이 강화된 이후에는 평신도들이 다시 이면으로 돌아갔고, 비록 다양한 동기와 다양한 형태이긴 하지만 목사들이 교회를 대표하는 직무를 바탕으로 기반을 자리게 되었다.

핸드릭 크레이머(Hendrik Kraemer)는 평신도 신학(A Theology of the Laity,1958)에서 이론상으로는 교회의 전체 회중의 목회가 인정되지만, 실제는 그 과업을 이행함에 이어서 목사가 떠맡는 강력한 권위에 의해서 평신도는 이면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것은 항상 목사편에서 계획적이며 의식적인 노력으로 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평신도들이 전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목사에게 너무 기대함으로 생기는 자연적인 결과물이다. 이것은 국교회가 우세한 국가에서는 더욱 분명하게 나타나는 사실이었다고 밝혔다. 비국교파 그리고 자유로운 교회 그룹들 특히 회중 전체 그룹들은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교회 안에 전체 회중의 목회 원리를 게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평신도들의 동등한 특권도 허용하엿으나 많은 경우에는 교단에서 목회자들에게 중요한 직책을 맡고 평신도들에게는 적은 직책만 부여했다.

교회 역사에서는 평신도 활동이 활발한 적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존 웨슬리의 부흥운동, 유럽대륙의 경건운동, 미국에서의 대각성운동, 한국에서의 평양대부흥의 실례다 또한 YMCA, YWCA, 세계기독학생연맹도 이런 평신도 활동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 들어와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교회, 특히 가톨릭교회를 중심으로 평신도의 중요성과 그 위치를 재해석하려는 운동이 태동하여꼬 이것은 독일과 유럽의 개신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와 때를 같이 한 나라가 한국이었는데 우원 이호빈 목사가 평신도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1946년 '중앙신학교'를 설립하였다. 1950년대 신학자 에밀 브루너(Emil Brunner)는 이 평신도 신학과 초교파신학에 관하여 관심을 갖고 한국에 방문하였고 2년 후 평신도 신학을 체계화하였다.[1]

가톨릭의 신학자인 콩가르 (Yves Congar)와 함게 개신교의 평신도 신학은 핸드릭 크레이머가 1906년대 만인제사직의 사상에서 평신도신학의 저서인 A Theology of the Laity을 내놓게 되었다. 그의 신학은 세계를 향하신 하나님의 관심에서 출발한다는 모토를 내보내며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보여주신 하니님의 관심안에 놓여 있다는 것과, 평신도 신학의 의미를 신앙 공동체인 교회에서 찾고 있다. 다시 말해 세계를 향하신 하나님의 심에서 교회의 방향설정은 세계를 향하고 이것은 선교적이란 뜻이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영역이 교회 안에 있는 것 뿐만이 아니라 평신도들이 있는 세상-전세계도 포함되어 있다고 이해하였고 교회는 그리스도를 섬기는 종으로서 세계와 진정으로 대화를 나눠야 한다고 밝혔다.

1960년대 미국에서도 평신도의 사명이 점차 고조되었고 중반에서는 평신도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었고 각국에서 평신도 운동이 활발하게 운동되었다. 한국에서도 이런 운동이 1960년대 이어졌으나 1970년대 가서는 이런 평신도 운동에 냉담했고 보수주의 교회들조차도 지도자 훈련 제직수련회, 평신도 세미나, 평신도 강좌 등을 통하여 평신도들의 잠재력을 일깨워 교회와 사회를 향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고 그것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1. 우원기념사업회편, 「끝날의 창조와 사는 길: 우원 이호빈 목사의 생애와 사상」(1992) pp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