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사이드 2/서버


1 해외 서버

1.1 데이브레이크 서버

제작사이자 유통사인 SOE[1]데이브레이크 의 서버.
서버 상황마다 차이는 있지만 아무래도 유저수도 많고 24시간 전장활성화가 잘 되어있는 많큼 우리나라 서버와 비교했을때 유저수가 많은만큼 인증포인트(CERT) 모으기가 수월한편이다.

각 서버 상황은 아래 참조.

1.1.1 코너리

ConneryBadge.png
서버스매시 로고[2]

한국시간 기준 낮=아시아 서버, 새벽~아침=북미 서버

미 서부 서버. 한국에서 플레이할때 가장 쾌적하게 플레이할 수 있는 서버[3]이며, 중국인들과 일본인들도 많이 플레이하고 있어 24시간 내내 전장형성이 계속 이루어지는 편.

평균적으로는 600 ~ 1000명, 휴일 시간대에는 최고 1500명 이상이 접속하는 서버이지만, 아시안 타임[4] 의 경우 과투입이 지속되는 진영을 제외하고는 진영 당 200명만 나와도 많이 접속하는 것. 2015년 1월부터 집계한 실시간 최다 접속자 수는 1624명. [5]

다만 한국 서버와는 달리 기지와 기지 사이에서의 기갑 라인전이 자주 일어나는 편이기에 기갑에 대한 투자를 좀 해두는것이 좋다.

2015년 2/4분기를 필두로 한국 플래닛사이드2 서버 종료를 앞두고 북미 접속 잠금이 해제되면서, 가장 많은 한국인들이 플레이하고 있는 서버이다. [6] 그 이유로는 자체 서버인구가 많은점도 있지만, 한국서버가 생기기 이전부터 한국사람들이 있던 서버기도 하고 VPN 우회하거나 애초에 계정이 있던 사람들이 했던 타 서버보다 핑이 낮기 때문.[7]

물론 미국인 유저진리의 양형들 따라 뛰어다니는것도 재미있지만 이쪽은 언어장벽이 문제. 하지만 미국인 유저들도 코너리에 아시아인들이 많이 몰린다는것을 알아 명령은 간단하게 내리는 편이니 알아듣는데 크게 불편함은 없다[8].

이전에는 테란과 바누의 양강지세 속에서 신흥이 견제하는 2강1약 구도에서 게임이 진행되었었지만, 2015년 2/4분기부터 바누가 아시안 타임에서 아시아 유저들을 모두 보듬으며 사실상 최강 팩션으로 일어섰었고, 이 것으로 인해 TR, NC의 기존 영어권 유저들이 Race War (인종 전쟁)으로 증오 논란이 있었다.[9] 그러나 2015년 9월을 전후로, 중국의 비공식 서버 호신도 없었던 13년도 말의 패치내용을 사용했다카더라 가 서비스 종료되면서, 기존의 중국인들이 코너리 서버, 특히 테란 공화국 진영으로 극심히 몰리었다. 결국 10월 29일 PDT 03시[10] 경, 테란 공화국 인원이 일시적으로 전체 서버 접속의 55%를 차지하면서 3세력 간 균형과 견제라는 게임 콘텐츠 자체의 대전제를 해치고 있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 아메리칸 타임엔 미세하게 신흥, 아시안 타임엔 넘사벽급으로 테란, 그 사이 쿨링타임엔 바누가 우세하는 편.

여담으로 코너리는 테란 공화국의 전 대통령 독재자 명이라고 한다.

아시안 타임에 핑이 급격하게 튀는 현상이 계속해서 발생해 인구수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핑 문제에 대해선 데이브레이크 측에서 장기적으로 꼭 개선할 것이고, 인내를 부탁드린다라고 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시간대만 되면 핑이 폭발하는 것으로 보아 인원이 적은 시간대에는 서버를 적게 가동한다는 설도 설득력을 얻고 있는 편.

몇몇 유저들은 핑이 높지만 안정적이고 유저들의 수준이 높은 에메랄드나 기존 코너리와 비슷하게 핑이 낮았던 브릭스로 이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브릭스 좋겠네

1.1.2 에메랄드

EmeraldBadge.png
서버스매시 로고

미국의 크라운서버
미 동부 서버. 24시간을 매 시간으로 하여 평균 700 ~ 1000명 이상의 접속자가 접속하고 있으며, 유저들의 질도 매우 높은 편이다.
구 워터슨, 그리고 매터슨 서버가 합쳐진 사례로, 사실상 한국 크라운 서버의 아버지.
이 곳도 합병빨 시너지가 다 한 건지 2015년 4월 이후로 접속자 수가 천천히 줄고 있다. [11] 데쟈뷰!?
[12]
이 곳의 레딧을 보면 실력의 상향평준화로 인해 신규 유저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한다는 류의 글이 많은 편.
그래서 미국 동부 유저들도 애꿎은 서부 서버인 코너리로 접속한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가 많다.
물론 바누의 약한 강세가 돋보이지만, 신흥과 테란도 만만히 볼 정도는 아닌 곳이다.

전통적인 서버스매시 강호국중 하나다.
유저들 하나하나가 괴물급 실력을 지녔고, 작전 퀄리티도 상당히 우수한 편.
1패 전승의 전설로 유명했었다. 챔피언을 밀러 서버에 넘겨주는 등 상술한 시너지가 다 된듯.참고
한국 서버와 처음으로 서버스매시를 연 서버.

이들의 많은 Montage Video를 외국 동영상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서커스급 퍼포먼스를 보고 싶다면 말리지 않겠지만, 다 보고 나서 멘붕 터진다.

하지만 상술했듯 서버 스매쉬 토너먼트 2015년의 챔피언은 밀러 서버다... 초장에 어긋난 작전과 밀러의 말도 안되는 실력이 에메랄드를 밀었다. 어디까지? 본진 워프게이트까지. 실력이 떨어진듯.

1.1.3 코발트

CobaltBadge.png
서버스매시 로고

유럽 서버.

1.1.4 밀러

MillerBadge.png
서버스매시 로고

동유럽 서버. 최근 에메랄드에게 빅엿을 2번이나 먹이며 선전중. 심지어 2015년 서버스매쉬 챔피언까지 먹었다.

최근 크라운 서버(라고 하기엔 서버가 없지만)와 서버스매시를 붙었는데 크라운을 영혼까지 털었다고 한다. 아 참고로 크라운은 한국 서비스 당시 마지막 서버 이름이다.

1.1.5 브릭스

BriggsBadge.png
서버스매시 로고

오스트레일리아 서버. 데이브레이크 직영 서버들 중 인구수가 가장 적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때문인지 대륙 점령을 통한 대륙 잠금이 2개인 다른 서버들과는 달리 최대 3개의 대륙이 잠긴다. 그래도 한국서버보다 인구가 많다고 한다
간혹 핑폭이 발생하고, 사람에 따라선 핑 자체는 꽤 높긴 높지만[13] 플레이하기 다소 큰 문제는 없으며, 우리나라랑 시차가 1시간밖에 안 나기 때문에, 서버 피크타임은 우리나라랑 조금 유사한 편이다[14].
인수 수가 적은 서버여서 그런지 호주형들브릭스서버유저들은 내심 한국인들이 브릭스서버로 와주는걸 기대하는눈치다. 심지어 브릭스로 오는 한국인들에게 3달짜리 전설부스터(......)를 지급해줘야한다는 글도 올라왔다.
자국 노동력 문제를 외국인 노동자로 해결하자!

바누가 강세이고 신흥은 다소 약세, 테란이 크라운서버의 바누의 역할을 하고있다.

한국 서버와 최초의 공식 대전(아웃핏간의 전쟁)을 벌인 서버이기도 하며, 최근엔 유저 대부분이 접은건지 코너리로 빠진건지 동접자 수가 300을 넘는 경우가 없다...

1.1.6 테스트 서버

일명 PTS(Public Test Server)라고 불리는 서버. 플래닛사이드 2에 적용될 패치를 최우선적으로 적용하는 서버로, 앞으로 할 패치를 미리 선보이는 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서버에 적용된 패치 대부분은 다른 데이브레이크 직영 서버로 적용되지만 적용되지 않는 패치도 많다.
근데 신 장비 신 무기 신 디자인이 적용할 기미가 안보인다 카더라

1.2 예거

미 동부 서버. 특이하게도 데이브레이크 직영 서버가 아닌 개인 서버이며, 서버 스매시 용도로 사용된다. 그래서 캐릭터를 못 만들도록 잠겨 있고, 서버스매쉬 용으로 예거 서버 캐릭이 만들어진 계정을 여럿 만들어 보유중.

1.3 중국 서버

한국보다 일찍 오픈되었지만 업데이트가 수개월 이상 밀리고 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등 심각한 문제로 개판이 된 이후 한국서버 테란진영과 신흥진영에 중국인이 꽤 들어왔는데, 북미출신 한국 유저들은 학살을 하지 않기로 하고 초보자를 최대한 포용하려 했으나 짱깨들은 그런거 없이 학살하고 다니는 중역시 중국이야!우리가 못 하는 일을 태연하게 해내지! 안그래도 강한 테란의 제공권에 중국인 공중전 부대가 투입되면서 더욱 강력한 제공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다음이 해외아이피를 차단하기 시작했으므로 중국인들은 줄어들었다.
결국에는 업뎃도 밀리고 운영도 썩 좋지 않게 흘러가다가 이쪽도 한국서버급 막장 헬게이트를 겪었다[15] 해당 서버도 서비스 종료가 결정되고, 코너리 서버 레딧에서 한창 한국유저의 바누 대규모 유입으로 시끌시끌한 것을 중국서버 이주 유저들이 코너리 서버 테란 공화국에 대규모 이동을 하는 것으로 종식시켰다(...) 테란인구 42% 어떤 때는 50

2 한국 서버

플래닛사이드 2/한국 서버 항목 참조.

3 플레이스테이션4 서버

플레이스테이션4에서 지원되는 서버이며, 당연히 PC로는 접속할 수 없다.

3.1 Genudine

미국 서버. 이름은 신흥 연합의 군수 회사 제뉴다인 다이나믹스에서 유래.

3.2 Palos

미국 서버. 이름은 팔로스 태양열 발전소에서 가져온 듯.

3.3 Ceres

유럽 서버. 이름은 세레스 수경재배소 등의 세레스에서 유래.

3.4 Lithcorp

대출도 쇼핑처럼 쉽고 빠르게 하는 그 곳이 아니다.

유럽 서버. 이름은 리스코프 중심지 등등을 소유한 리스코프 사에서 유래
  1. 현재는 데이브레이크 사여명사에게 인수되었다
  2. 멋져보이는 로고와 달리, 코너리는 서버스매쉬 토너먼트 2015년 현재 전패를 기록하는 희대의 굴욕을 안고 있다. 코너리 혼자 승률이 참담하다...이걸 쓰는 코너리서버 위키니트가 다 부끄럽다.
  3. ISP에 따라 브릭스가 오히려 핑이 낮거나 접속이 잘 될 수 있다.
  4. PDT (미 서부 기준)으로 자정부터 이른 아침까지의 시간, 즉 한국 기준 오후 4시부터 자정까지를 말한다.
  5. 출처 : http://www.therebelscum.net/world-population/?world_id=1&zoom=4&daterange=1419977716370,1435375500000&totalpop=true
  6. 추가적으로 한국 서버에서의 비매너 유저, 팀킬러 등이 같이 이주하여 한국인의 이미지 추락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래도 다음은 정밀조사한다고 뒤로 미뤄두다 영정 3일주는 반면, 코너리는 아이피 우회해도 1시간에 7번 밴하는 클라스!
  7. 코너리 서버는 130~180. 평균 150정도 핑을 가지지만, 타 서버는 200~500까지 튄다. 이것도 ISP가 누구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맹신하지 말고, 직접 플레이해보면서 나은 서버로 가면 된다.
  8. 맥스크러시 준비, 웨이포인트 확인, 워프게이트에서 갤럭시 뽑고 갤드랍 가자 정도. 복잡한 명령이라봤자 스쿼드 목표지점에서 기갑뽑고 대기 정도다.
  9. 태극기나 일장기 데칼을 단 아웃핏 탈것에 대한 지속되는 트롤링 또는 팀킬이 대표적이다.
  10. 소위 말하는 아시안 타임이다. 한국 기준 저녁 7시
  11. [1]
  12. 그래도 주말에 들어가보면 2000명이 넘는다.
  13. 지역이나 컴퓨터에 따라서 다소 다르다. 혹자는 100~200대라 생각보다 쾌적한 편
  14. 6시~10시 정도가 피크타임이다. 심지어 이 시간대에는 북미 24시간 서버최고 인구를 자량하는 코너리보다 많다고 한다.
  15. 카더라에 의하면, 다음이야 호신 업뎃 등은 약간씩은 해줬지만 중국은 호신도 없던 2013년 말 패치를 한섭 종료 몇 달 뒤 2016년 3월 경 서비스를 종료할 때까지 써먹었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