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시(카메라)

600px-Flash_-_Speedlight_-_SLR_Flash_-_Studio_picture_2011.jpg
<니콘 스피드라이트 SB-900. 출처:위키피디어>

1 개요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내어서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로 적당한 밝기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주는 조명장치. 영화 촬영 등을 위해 연속적으로 빛을 내는 조명 전구 같은 건 플래시라고 하지 않는다. 전기나 건전지로 제논방전관을 발광시키는 전자식 플래시를 주로 말한다. 스피드 라이트(speed light)나 국내 한정으로 스트로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스트로보플래시라는 특정 회사의 상표명에서 왔다.

2 상세

일자형이나 U자형 유리관에 미량의 제논가스를 봉입하고 양 끝의 전극을 단 방전관에 고압 축전기에 연결한다. 고압 축전기에 1000볼트 이상의 고압 전기를 축적시켜 두었다가 별도의 트리거 전극으로 방전을 일으키면 축전기에 있던 전하가 수천분의 1초 이하의 일순간에 모두 방전되어 시간은 매우 짧지만 강력한 빛을 낸다. 건전지로 고압 충전지를 충전시키려면 직류를 교류로 바꿔 트랜스로 승압시켜야 하는데 카메라 플래시를 터뜨린 후 쒸잉~하는 특유의 플래시 충전음은 그 교류의 소리.

특히 발광의 색온도가 5500-6000켈빈 정도로 주광색 태양빛의 색온도에 가깝기 때문에 주광용 데이라이트 필름사진이나 디카 사진용으로 적당하다. 하지만 제논 플래시의 발광 스펙트럼에는 눈에 보이진 않지만 의외로 자외선 성분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강력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플래시는 순간적으로 발광하므로 셔터속도는 관계 없고 밝기는 플래시의 광량과 피사체의 거리와 필름감도 카메라의 조리개에만 의존한다. 빛이 발광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도 노출시간과 관계없이 거의 정지해 있는 것처럼 촬영된다. 다만 포컬플레인식 셔터를 사용하는 SLR 등 렌즈교환식 카메라는 플래시 발광 순간에 셔터 슬릿이 전부 열려있어야 하므로 1/250 초 등 최단셔터속도에 제한이 있다. 그보다 느린 셔터를 사용하면 촬영된 사진의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기타 카메라 회사별로 조광 방법이 다르며, 그에따른 연동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1]

액세서리

  • Gobo: 얇은 철을 잘라내어 문양을 새긴 뒤, 스트로브 위에 올려두면 특정 패턴이 같이 씌워져 나간다.
  • 컬러필터: 플래시 조명의 색깔을 바꾼다.
  • 적외선 플래시: 특정 현상을 촬영하거나, 아예 IR(적외선) 사진을 찍을 때.

2.1 자동 플래시

카메라나 플래시 자체에 광량 센서가 있어서 플래시의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플래시. 수동으로 플래시를 사용한 노출을 조절하는 것은 불편하므로 플래시와 카메라가 자동으로 TTL 연동이 되어야 편리하다. [2]

일반적으로는 플래시 방전관의 발광 밝기 자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방전관에 방전이 시작되면 카메라 위치에서 본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해서 그 누적 광량이 적절한 노출값에 도달하면 방전을 중지해서 플래시 발광을 중지시키는 것으로 밝기를 조절한다. 즉 조명의 밝기가 아니라 조명 시간을 순간적으로 조절하는 것.

문제는 카메라와 플래시를 연동하는 방법이 정해진 표준이 없고 카메라 회사마다 다르며 연결 단자나 연동 프로토콜도 달라서 전혀 상호호환성이 없다는 것. 따라서 같은 카메라 업체에서 판매하는 플래시만 자동으로 연동되고 다른 카메라 업체나 독립적인 서드파티 플래시 업체의 플래시 제품은 연동되지 않는다. 플래시는 복잡한 카메라 렌즈와는 달리 동작원리나 기술이 매우 간단한 제품이므로 표준을 정해 상호연동하게 하는 건 기술적으로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닌데도 업체들의 이기심 때문에 통일이 되지않아 소비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2.2 가이드 넘버(GN)

플래시를 사용하며 노출을 수동으로 조절할 때, 플래시의 최대 밝기를 나타내는 노출 기준값. ISO=100 의 감도를 가진 필름을 기준으로 하여 이 GN 숫자를 피사체까지의 미터 거리로 나누어 조리개 값을 결정한다. 값이 높으면 플래시가 밝다는것이고 따라서 플래시를 사용해 촬명을 할 수 있는 조리개 값이 크고 최대 거리도 멀다. 예를 들어 GN이 24이라면 ISO 200 감도의 필름으로 6미터 거리에서 촬영하면 = 24 * 200% / 6(미터) = 8, 즉 f=8 이 적정 조리개 값.

3 광원의 종류

3.1 마그네슘 플래시

과거에는 손잡이가 달린 반사판 같은데 마그네슘과 알미늄 가루를 올려놓고 이를 전기로 점화시키면 마그네슘 가루가 순간적으로 타며 섬광을 내는 플래시가 쓰였다. 옛날 흑백유성영화나 구식 결혼식장 풍경를 보면 사진사가 실내 사진을 찍으며 플래시를 터뜨리면 "펑" 소리와 함께 섬광이 나고 연기가 뭉게뭉게 솟는 장면을 볼수 있다.

그보다 조금더 발전한 게 플래시 전구. 달걀처럼 생긴 유리전구 안에 마그네슘 솜과 산소가 채워져 있고 스완베이스의 바요네트식 꼭지가 달린게 플래시 전구. 손잡이와 건전지가 달린 플래시 장치에 이 전구를 돌려 꽂고 플래시 코드를 카메라의 플래시 슈에 연결하고 셔터를 누르면 플래시 전구에 전기가 흘러 점화해서 순간발광시킨다. 연기는 나지 않지만 "퍽" 하는 소리가 났다. 1회용이라 사용할 때마다 갈아 주어야 한다. 투명한 텅스텐 필름용과 전구가 파란색을 띤 데이라이트 필름용이 따로 있었다. 이런 전구식 플래시도 전자식 플래시가 등장하자 모두 사라졌다.

3.2 Xenon Long Arc Lamp

제논[3]방전등인데, 포토용으로 나오는 제품이 있다. 안에 보면 뭔가 가느다란 쇠가 감긴 구불구불한, 혹은 둥그렇게 말린 유리관을 볼 수 있는데, 그게 사진용 제논 롱 아크 램프다. 색감은 대략 6400k~6500k 로 제조사[4] 고정인 경우가 대부분.

참고로 네덜란드, 독일, 스웨덴에서 나오는 유명 스트로브는 하부 서포트 하우징 유닛이 있어서 절연과 튜브보호를 한다.그리고 가이드 넘버도 이런 제품이 더 높게 나온다.[5]

3.3 LED

휴대폰의 플래시 기능 많이 써보았을 것이다. 단, 여기에는 스트로브라고 칭하지는 않는다. 스트로브는 섬광등이란 뜻으로서, 짧은 시간 번쩍여야 스트로브다.
이 LED 는 조금 특별한 구동 방법을 사용하는데(뭐 LED 제조사에서 추천하진 않지만), Turbo Boost Drive 라는 기법.

이것이 무엇이냐. LED 에는 Junction Temp 라는 파라메터가 있는데, LED 의 방열설계는 이것을 기준으로 해야한다는 것이 있다. 다르게 말하면, LED 칩의 Junction Temp 를 안넘기는 게 LED 제품 제조시 가장 유의해야 하는 부분이란 소리다. 저 온도가 특정 값을 넘어가면 휘도 감소는 물론이요, 색온도 변화와 수명 하락까지 따라온다.

다만, LED 가 꺼진 상태에서 평소보다 높은 전류를 집어넣되, 시간을 짧게 하면 Junction Temp 를 임계온도까지 올라가지 않도록 해도 평소보다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쓰는 게 저 터보부스트(...)드라이브다. 짧게 말해 LED판 오버클럭...

보통 휴대폰의 카메라는 다들 이런식이라 동영상 촬영시엔 일반 밝기, 사진 찍을 때 좀 더 밝아지는 걸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 무조건 빠른 셔터속도를 낼수있는 건 아니다. 당장 최고연동속도가 1/250근처밖에 안되기에 조리개를 강제로 조여야하는 데 HSS기능을 통해서 높은 셔터속도에서도 플래시를 쓸수 있게 할 수있지만 단점이라면 고속셔터 특성상 메카니즘이 좀 다르게 움직이기에 셔터가 움직일떄마다 플래시를 빨리 터뜨려서 쓰기때문에 배터리가 빨리 없어지며 이 기술자체가 영 불완전하다. 그리하여 리프셔터렌즈라고 중형카메라에서만 쓰이는 특수렌즈가 쓰이는 데 셔터가 렌즈안에 있고 조리개처럼 일정하게 열리고 닫히기에 굳이 HSS쓸 필요가 없으며 높은 셔터속도에도 모두 연동 가능하다. 이런이유로 스튜디오 관련쪽으로는 중형 카메라가 잡고 있다고 보면 된다.
  2. 허나 TTL이 만능인건 아니다. 더욱이 스튜디오는 오로지 수동조작이 위주다. 상황에 따라서 수동이 훨씬 편리한 경우나 같은 세팅으로 지속적으로 찍을 필요가 있을경우 수동으로 놓고 찍는다.
  3. 정확한 발음은 지논에 가깝다.
  4. 화이트밸런스관련 성능떄문에 가격차이가 큰 경우도 있다. 단지 화이트밸런스 때문에!
  5. 더 멀리까지 광량 확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