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은 Daktulosphaira vitifoliae.
진딧물의 일종으로 형태나 습성이 유사하다고 한다. 농황색의 1mm 내외의 일반적으로 날개가 없고, 기생한 뿌리 상태에 따라 색이 다르다. 1년에 6-9회 발생하여 알, 유충 상태로 땅 속, 뿌리에 기생하여 겨울을 나고 봄이 되어 10도 이상이 되면 활동을 시작한다. 유충과 성충이 뿌리와 잎에서 양분을 섭취하기 시작하면 유독성의 액을 뿜어 황갈색의 혹을 만드는데, 이 때부터 뿌리는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없어 생장이 정지된다. 때문에 나무는 영양장애로 시들해지고, 개화가 안 되며 포도알이 성글게 달리며 고자씨없는 작은 포도알이 많이 달리게 된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유럽 와인 재배 시장에 대 재앙을 가져온 충공깽의 기생충.
포도나무 뿌리와 잎에 기생하는 진딧물로, 이 때문에 유럽, 특히 프랑스의 포도는 씨가 마르다시피 했다.
이 해충으로 인해 세계 주류의 역사가 뒤바뀌었는데, 보르도에 퍼진 필록세라로 사람들이 스페인으로 이주, 리오하 와인이 탄생하였으며 넓게는 유럽 와이너리들의 신대륙 이주가 이루어졌다. 와인 대신 맥주 소비를 증가시키고 브랜디 대신 위스키를 소비하게 만든 원인이기도 하다.
또한 이로 인해 유럽의 기존의 포도나무들이 전멸한 반면에[1], 남미, 특히 칠레의 경우는 필록세라가 창궐하기 전인 1851년에 비니페라 품종을 수입하였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프랑스를 비롯한 구대륙이 아니라 이들이 순수 비니페라 품종을 재배하고 있는 셈이 되었다. (유럽이야 당연히 인정할 리 없지만...) 그리고, 미국산 포도나무 덕에 명맥을 이어놓고서는, 그 과거도 잊은 채 미국 와인을 까다 초절정 자폭을 벌이는데... 그 미국산 포도나무의 품종은 진판델로 추정된다.다만, 테루아가 다르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다고는 하기 어렵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필록세라의 원산지는 북미대륙이다. 필록세라가 유럽에 퍼지게 된 것은 포도나무의 품종 개량을 위해 북미 자생종 포도나무(Vitis labrusca 계열의 콩코드 포도 계열)들을 유럽으로 들이는 과정에서 북미산 포도나무에 묻어서 유럽으로 유입된 것이다. 북미 자생종 포도나무들은 오랜 세월간의 필록세라와의 전쟁(?)을 통해서 필록세라 유충이 들러붙는 것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도록 진화했지만, 유럽에 자생하던 유럽포도(Vitis vinifera)에는 당연히 저항성 따윈 없었던 탓에 필록세라에게 그야말로 무방비 상태로 초토화 된 것이다. 어떻게 보면 유럽에게 있어서 미국 포도는 병주고 약주고의 원수같은 존재인 셈(···)근데 그런 식으로 말해봤자 들여간 건 니들이잖아...
- ↑ 이를 막기 위해 미국산의 종이 다른 포도나무에 기존 유럽산 포도나무의 가지를 접붙이는 방식을 사용해 명맥을 잇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계속 변종이 나타나기 때문에 아직 완전 퇴치는 아니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