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기관

解析機關
Analytical Engine

파일:2XcQ2Sm.png
↑ 일단은 이렇게 생겼다.(미완성 모형, 찰스 베비지는 일부만 완성한 채로 1871년 세상을 뜨게 된다.)

영국의 수학자 찰스 배비지가 제작한 기계식 계산기. 50자리 숫자 1000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은 천공 카드를 이용했다.

동력은 증기기관이며, 톱니바퀴와 기어를 움직여서 계산을 수행한다. 보통 톱니바퀴 계산기는 손으로 핸들을 움직여서 계산하는데 이 물건은 너무 톱니바퀴가 많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일 수가 없어서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쓰는 것이다.

하위 버전인 차분기관(差分機關)은 다항식을 계산해서 로그값을 계산하는 용도로 설계했는데 해석기관은 설계를 더 일반화시켜서 범용적인 계산을 가능하게 했다. 차분기관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예산이 부족하여 결국 완성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에이다 러브레이스 백작부인은 당대에 실존하지도 못한 이 컴퓨터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천재성을 보였다. [1]

일단은 튜링 기계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계이기 때문에 현대의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위키은 해석기관도 전부 가능하다.[2]

해석기관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적은 없다. 해석기관의 바로 직전 모델이랄 수있는 차분기관 No.2 가 1991년 런던 과학박물관에서 19세기 당시의 기술로 제작되어 제작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 바 있다. 최근 2010년 영국의 John Graham-Cumming이 해석기관 제작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일단 버추얼 머신을 만들어서 검증한 뒤 실기를 제작하자는 계획인데 공공모금으로 진행되는 만큼 실현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1]

자매품으로 독일인 뮬러가 제작한 미분기관이 있다.

창작물

2009년 집필된 죽은 자의 제국이 2015년에 극장판으로 영상화되면서 영화 속 연산장치로서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차분기관해석기관
  1. 사실 예산이 충분했다고 쳐도 당시의 공업기술로는 애시당초 부품 제작이 불가능했다는 지적도 있다.
  2. 다만 이 글을 읽는 모든 사람이 알겠지만 현대 컴퓨터에 비해서 매우매우 느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