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석영이 번역한 삼국지이다. 1999년 상하이 강소고적출판사에서 나온 '수상삼국연의'을 기반으로 했다. 김구용의 번역을 이은 정역류이다.
이문열 평역 삼국지가 전문가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기에 이문열 삼국지가 지적당한 단점들을 피하려고 노력했다. 일부에선 지나치게 번역에만 충실한 것이 흠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유비를 위해 자기 아내를 죽이고 그 고기를 요리해서 대접한 사냥꾼의 일화처럼 요즘 정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사건은 평역을 통해서라도 해설을 했어야 했다는 의견이 있다.[1]
그러나 이 삼국지 판본이 중요한 것은 나관중본을 번역했기 때문에 제갈량 사후 부분에 매우 충실하다는 점이다. 무려 전체 10권 중 한권 반 씩이나 할애한다. 이문열 삼국지나 기타 판본이 제갈량 사후 부분을 아예 무시하거나 대충 설명하는 것과는 크게 대조되는 점.[2][3]
황석영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수감되었던 시절에 창작욕구를 달래기 위해서 삼국지 번역에 손을 댔었다. 후에 창작과비평사에서 삼국지 출간을 제의하자, 황석영은 노후 대책을 마련할 겸 그 제안을 받아들인다. 황석영 본인이 말하기를, 창비에게 선인세를 돌려주고 계약을 파기하고 싶었을 만큼 삼국지를 번역하는 건 지루하고 힘든 작업이었다고.
삼국지 전문가 정원기 교수가 황석영 삼국지에 있는 오류를 지적하고, 옌볜인민출판사의 출간본을 표절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리고 황석영이 정원기에게 반론함으로써 둘은 신문 지면을 통하여 몇 차례 논전을 펼쳤다. #1 #2 #3 #4
황석영의 네임 벨류 + 문학 시장에서 가장 큰 출판사 중 하나인 창작과 비평의 마케팅 파워 + 괜찮은 디자인과 중국 화백의 실감나는 삽화 때문에 대중적으로 많이 퍼진 삼국지에 속한다.
일부에서는 어중간하고 딱히 장점이 없는 판본이라는 비판이 있다. 삼국지계의 바닐라 원본에 가까운 번역을 장점으로 내세웠지만, 몇가지 오류를 지적당한만큼 크게 신뢰성 있는 판본으로 생각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4]
교수신문이 발행한 '최고의 고전 번역을 찾아서'라는 책에서 김구용 삼국지와 함께 최고의 번역본으로 선정되었다.
"오역을 최소화한 정역류이다. 그에 더해 황석영의 필력이 살아있다. 전문가의 자문을 잘 반영하였기 때문에 소설가의 번역이라도 신뢰할 수 있다. 연변본과 비슷한 부분을 들어 순수성을 문제 삼는 의견도 있다."
라고 평했다.
이 황석영판을 기초로 만화가 이충호가 만화 삼국지를 그리기도 했다. (마이러브를 그린 그 이충호. 하지만 그림체는 마이러브때와 비교해서 상당히 달라졌다.)
- ↑ 단 평역은 본래 삼국지연의에서 없던 것이기에 오리지날 텍스트를 지향하는 황석영판으로서는 오히려 안하는 것이 맞을 수도 있다.
- ↑ 그런데 지각을 밥먹듯이 하는 작가가 미쳐 날뛰면서 이 충실함에는 위기(?)가 찾아오고 있다.
- ↑ 그런데 황석영 삼국지를 읽다 보면 가정본과 모종강본의 내용상 차이점이 드러나는 부분에서 모본의 내용을 따라가는 경우가 대다수인 것으로 보아 수상삼국연의가 100프로 나관중본을 기초로 한 것이라는 점에 의구심이 생기게 한다.
- ↑ 그러나 이문열 평역 삼국지처럼 심한 오역이 다수 발견되는 정도는 아니다. 또한 정원기 교수 등이 지적한 번역에 대한 사항들이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