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표범


593268-big-black-leopard.jpg

1 개요

흑표범은 멜라닌 색소 과다증인 멜라니즘(Melanism)으로 인해 검은색 털을 지닌 표범을 의미하며, 흑표범과 마찬가지로 멜라니즘으로 인해 검은 털을 지닌 재규어 또한 흑표범으로 지칭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본 문서에서는 검은 표범과 검은 재규어를 모두 설명한다.

검은 표범, 검은 재규어 모두 이름답게 검은 털을 지니고 있지만 이 검은 털의 진하기는 개체마다 달라 본래 지니고 있는 무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검은색이 진한 개체가 있는가 하면, 얼핏 보더라도 무늬가 보이는 개체도 있다.

영명에서는 Black Panther, Black Leopard등으로 불리지만 Black Panther는 흑표당, 블랙 팬서동음이의어가 많기 때문에 동물 흑표범만을 지칭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2 상세

2.1표범

1280px-Black_leopard.JPG

흑표범의 검은 털인자는 열성으로 유전된다. 검은색 털은 정글의 우거진 수목사이에서 몸을 숨기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흑표범들은 대단히 번성하고 있으나, 아프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표범들 중 흑표범은 중앙아프리카의 열대우림에서나 관찰되는데, 이는 남아프리카의 탁 트인 넓은 사바나지대에서는 검은색이 눈에 잘 띄어 표범의 먹이사냥에 영향을 주어 흑표범의 생존률을 떨어뜨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표범의 아종 중에서는 아프리카표범, 인도표범, 인도차이나표범, 자바표범에서 흑표범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2.1.1 거미줄 표범

사진과 내용의 출처.

Cobweb+panther+of+Glasgow+Zoo+1,+Graham+Law.jpg
글래스고 동물원과 더블린 동물원에 전시되었던 거미줄 표범

거미줄 표범(Cobweb Panther)은 1980년대 초, 글래스고 동물원과 더블린 동물원에서 전시했던 한 암컷 흑표범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 흑표범은 검은 털 사이로 점점히 흰 털이 분포했는데, 일부에서는 이를 백반증으로 추정했지만 백반증은 피부에 흰 반점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이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아직까지도 흰털이 생긴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고 한다.

해당 흑표범은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았는데, 새끼들은 흰 털을 가지지 않았다고 한다.

2.2재규어

파일:NyvHMGl.jpg

흑표범과 구분하기 위해서 영명에서 Black jagure라고 불려야 하겠지만 국내에서 검은 재규어도 흑표범으로 지칭되는 것처럼 자주 사용되지는 않고, 대부분 흑표범과 마찬가지로 Black panther, Black leopard등으로 불린다.

표범과는 달리 재규어의 검은 털인자는 우성으로 유전된다. 재규어의 서식지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주를 이루는 만큼 검은 재규어는 그 숫자가 많으며, 아마존의 원주민들에게 검은 재규어는 일반적인 재규어와 다른 종으로 여겨져 왔다고 한다.

2.2.1 흑재그라이온

베어 크릭 야생동물 보호 구역의 자하라와 쓰나미 남매에 대한 글과 사진들.

Bkzcpv_CAAEKF8Q.jpg
자하라(좌)와 쓰나미(우)

2006년 4월 9일, 캐나다의 베어 크릭 야생동물 보호구역(bear creek sanctuary)에서 의도치 않게도 '디아블로'(Diablo)라는 이름의 흑재규어와 '롤라'(Lola)라는 이름의 암사자 사이에서 '쓰나미'(Tusnami)라는 수컷과 '자하라'(Jahzara)라는 이름의 암컷 재그라이온(Jaglion) 남매가 태어났는데, 이 중 자하라가 아버지인 디아블로의 형질을 물려받아 검은 털을 지니고 있다.


2016년 4월 9일에 쓰나미와 자자라 남매의 10번째 생일 기념으로 베어 크릭 야생동물 보호 구역이 촬영한 동영상.

3 대중매체

  1. 때문에 모글리를 man cub으로 부르는 말장난이 나온다. man cub은 인간의 새끼라는 뜻이지만, cougar(1. 퓨마 2.어린 남자와 데이트하는 중년 여자)와 데이트하는 어린 남자라는 뜻도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