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G

1 3세대 이동통신 규격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인증 이동통신 기술
구분3GPP 계열3GPP2 계열IEEE 계열기타
0세대(0G)MTS (1946)
IMTS (1964)
1세대(1G)AMPS (1983)
2세대(2G)GSM (1991)cdmaOne (1995)D-AMPS (1990)
2.5세대(2.5G)GPRS (2000)
EDGE(E-GPRS) (2003)
CDMA2000 1x (2000)
3세대(3G)WCDMA (2001)
UMTS(2001)
TD-SCDMA
EV-DO (2002)
EV-DO rev. A·B (2006)
3.5세대(3.5G)HSDPA (2005)
HSUPA (2007)
TD-HSDPA
TD-HSUPA
EV-DO rev. C
(UMB)
WiBro (2006)
4세대(4G)HSPA+ (2009)
LTE-FDD/TDD (2010)
LTE Advanced (2013)
(Carrier Aggregation)
Mobile WiMAX (2008)
WiBro Evolution (2013)
4.5세대(4.5G)LTE Advanced Pro (미정)-

1.1 개요

전화와 문자뿐 아니라 영상통화와 인터넷 등 멀티미디어 통신까지 원활히 가능한 통신규격을 일컫는 말. 사실 정확한 규격은 ITU의 IMT-2000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ITU 규격에서는 EV-DO(Rev. 0)부터 3G로 규정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를 2G로 분류하며, 한국에서 3G라 부르는 것은 WCDMAEV-DO Rev. A부터이다.

이 규격부터는 영상통화를 일반적으로 지원[1]하나 정작 커플을 제외하면 사용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국내에서는 2007년부터 3G 서비스가 보급되기 시작하여 이미 2009년경에 2G 가입자를 앞질렀음에도,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된 2011년 이전에는 3G라는 개념이나 용어를 보통의 사람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다 스마트폰 보급 후에는 "3G"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걸 쉽게 볼수 있게 되었는데, 대부분은 스마트폰 상단 상태바의 『3G↑↓』가 의미하는 '3G 데이터'(셀룰러 데이터)를 뜻하는 것으로서 좁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데이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음성통화 위주의 휴대전화인 피처폰을 보고 2G폰이라 부르는 오개념이 생기기도 했는데, 2007년 이후 출시된 폰은 피처폰이라 할 지라도 3G폰이 훨씬 더 많다. 이러한 3G 피처폰들은 데이터망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것일뿐, 음성통화와 SMS는 이미 3G(음성)망을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3G의 등장이 우리나라에 가져온 가장 큰 변화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거의 전국민이 전화번호를 010으로 바꾸게 된 것으로, 이는 기술적 문제가 아닌 정책에 의한 것이다. 010번호의 등장자체는 2004년이지만, 당시에는 신규가입자에게만 010을 배정하였고 기존의 01X 번호 사용자는 계속 번호유지가 가능한 관계로 그다지 여파가 크지는 않았다. 그러다 3G라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면서 3G에 가입하려면 번호를 무조건 010에 전용 국번[2]으로 바꾸어야만 했다. 이후 3G 상용화를 앞둔 2006년말 정보통신부 고시로 3G로의 번호이동[3]을 허용하되 식별번호가 010인 가입자만 가능[4]하며, 01X 번호 사용자는 010으로 바꾸어야만 3G로 갈 수 있게끔 사실상 010으로 강제통합을 유도시킨 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2013년 하반기 기준으로 95% 이상의 가입자가 010 번호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1.2 종류

1.2.1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br>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세대 이동통신 중 절대 다수가 이용하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한국에선 SK텔레콤KT가 서비스 중이다.

1.2.2 CDMA & EV-D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발전형
</br>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Evolution-Data Optimized(only)

CDMA의 3세대 발전형 기술이다. 한국에선 SK텔레콤LG U+가 서비스 중이다. KT는 2012년 3월 19일에 서비스 종료했다.

1.2.3 TD-SCDMA

시분할 연동코드 분할 다중 접속
</br>Time Division-Synchron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국제 표준은 국제 표준인데 차이나모바일의 독자 규격이면서, 아무도 안쓰는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 한국에선 사용하는 이동통신사가 없다. 빼고 안쓴다니까?

  1. SK텔레콤의 극히 일부 SKY 2G폰 중에서는 영상통화가 되는 기종도 있었으나, 후기 2G망인 EV-DO가 전국망이 아니어서 제대로 쓰기는 힘들며, 반대로 3G폰인데도 영상통화가 안 되는 폰도 많다.
  2. IMT-2000 전용 국번인 20xx국(SKT), KT29xx국(KT). 물론 현재는 사업자별로만 국번이 할당되어 있을 뿐, 서비스 세대(G)별로 구분되어 있지는 않다.
  3. 흔히 번호 그대로 통신사만 옮기는 것을 생각하기 쉬우나, 번호이동의 정확한 의미는 번호가 (바뀌지 않은채로) 다른 통신사 또는 다른 통신 서비스 규격으로 이동(2G↔3G↔4G)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신사를 옮기지 않더라도 세대(G)만 바뀌는 것도 제도권에서는 번호이동으로 간주된다.
  4. 고시 이전에는 010 번호라도 2G 가입자는 3G로 가려면 번호를 바꾸어야 했다.

2 란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3G(란스 시리즈) 항목 참조.

3 1박 2일 3기의 김주혁, 김준호, 김종민으로 구성된 팀(...)

잘 정리되어 있는 영상

2014년 1박 2일 3기 첫 여행인 경기 북부 투어에서 결성된 팀으로. 여기서 G는 몸에 가 나는 것을 말한다. 테마곡은 소녀시대의 Gee 김종민은 빙벽타기 도중 다리에 쥐가 났고, 김주혁과 김준호는 원팔이 쟁탈전 허벅지 씨름을 하다가 다리에 쥐가 났다. 셋다 쥐가 나는 공통점 때문에 팀 이름이 3G가 되었다. 반대로 차태현, 데프콘, 정준영LTE팀이 되었다.[1]

김종민은 평소에도 바보끼와 고통에 매우 민감한 면이 있고, 김준호는 잔머리 외의 모든 면에서 최약체이다. 그나마 멀쩡한 김주혁도 복불복에는 극악의 불운승률을 보여준다. 사실 김주혁은 운과 멀미에 약한것을 빼면 그렇게 못하지는 않는데 워낙 둘이 최약체여서 계속 진다. 다른 멤버들이었으면 김종민,김준호와 계속 같이 팀을 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나[2] 김주혁이 3G가 이기는 것을 보고 싶다는 이유로 뭉쳤다. 그리고 그때마다 처절하게 패배했다. 결국 나중에는 김주혁도 포기한다... 여기에 가끔씩 김주혁이 빠지고 다른 멤버들이 들어갔을 때도 있었는데, 역시나 매번 거의 패배한다. 얍쓰+신바는 사실상 승률 0 그래서 나중에는 김종민과 김준호를 각각 다른 팀에 넣어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하지만.. 2015년 12월 6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김주혁이 출연을 종료하면서 다시 볼 수 없는 조합이 될 듯하다.
  1. 경기 북부 투어 당시에는 똘똘이 팀.
  2. 심지어 본인들도 원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