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

350px

DBpia 6.3 : Smart Knowledge Platform

1 개요

논문을 쓴다면 반드시 한번쯤은 들어가볼 사이트
누리미디어에서 운영하는 토종 학술정보 통합지원서비스.

1998년에 국어국문학회지 CD를 개발한 것을 시작으로, 이듬해 "Bookrail for Web" 이라는 이름으로 24종의 간행물을 서비스하는 웹 서비스를 처음 개시하였다. 그러던 것이 다시 2000년에 정식으로 DBpia라는 이름을 달고 브랜드를 런칭했으며, 2016년 6월에 이르러서는 DBpia 7.0까지 버전업을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내 1,000개 이상 학회 및 연구단체에서 발간하는 2,000여 종의 간행물, 200여만 편의 논문을 검색할 수 있으며, 서비스 규모로 따지자면 국내 업계에서는 1위라는 듯. 정보량을 A4용지에 인쇄해서 수직으로 쌓으면 1,950m 에 이른다고 한다. 2015년 한 해 동안 다운로드 건수는 2,000만 건, 2015년 연간 방문자 수는 1800만 명이라고. 매월 업데이트되는 논문들의 수는 1만여 편.

2 이용 방법

학술DB들이 다 그렇듯 기관을 통해 로그인하거나 기관에서 부여받은 ID를 통해 로그인해야 한다. 2010년부터는 모바일 지원도 가능해졌는데, "누리미디어 지식서비스" 라는 앱을 설치하거나 DBpia 모바일웹으로 접속하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대개의 학술DB들처럼 상세검색으로 들어가면 검색 필드를 설정하고 조건을 걸어주는 게 가능하다.

유독 공학 분야에 서비스가 특화되어 있다. 전체 콘텐츠의 40% 이상이 전부 공학 쪽으로 치중되어 있다. 그래서 사회과학이나 스포츠, 예체능 등의 다른 분야들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다.

대학교 도서관들에 가면 매뉴얼을 얻거나 사용설명을 들을 수 있다.

2016년 1월에 가격모델이 변경되면서, 필수품목만 구독한 대학에서는 이용에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고. 관련링크

3 논란

2016년 2월 24일, 중앙도서관이 디비피아의 구독료 인상에 대하여 예산 부족등을 이유로 학술지 일부를 구독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따라,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경희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도 일부 학술지 구독 중단을 발표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은 아예 계약 자체를 중단하였다. 이것은 해당 대학교 대학원생들도 동의한 구독 중단이며, 많은 학생들에게서 "돈 없으면 논문도 못보냐" 는 반발이 터져 나왔다. 이에 따라서, 현재 보통 학교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디비피아 논문들이 무료이나, 디비피아와의 계약을 중단한 학교의 경우 학교 아이디로 로그인 할 경우 일반인과 똑같이 논문을 돈 내고 결제해야만 볼 수 있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