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jxasder | |
표준 타이하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 타이하 연방, 카오림 보호국 |
원어민 | 약 5억 7100만명 |
어족 | 아라트어족 오룬-타이하어파 서부 타이하어군 중앙 타이하어 |
문자 | 로마자, 아랍문자 |
다른 명칭 | |
표준 타이하어[1] | Dcenýsuc Taichasder |
연방어[2] | Ëwinumsder |
우리말[3] | Hansder |
다른 언어 명칭 | |
영어 | Taechish Language |
중국어 | 泰和语/泰和語 (Tàihé yǔ) |
러시아어 | Тайхский Язык |
독일어 | Taechische Sprache |
페르시아어 | زبان تیخی |
오룬-자이크어 | Taixa‘ai nber |
목차
1 개요
사용자 linuxlovemin이 만든 대체 역사 세계관의 인공어이다. 타이하어라고 하면 십중팔구 중앙 타이하어를 기반으로 표준화된 "표준 타이하어"를 의미하며, 표준 타이하어는 Tajxasder, 기타 타이하어는 Taichasder로 지칭한다. [4] 한국어와 같은 교착어이지만 주변 지역의 인도유럽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인도유럽어의 문법적 특성과 유사한 부분도 나타난다.
2 글자 및 음운
공인된 표기는 로마자와 아랍문자이며, 대체로 일상에서는 남서부 지방에서는 아랍문자가, 그 외 지역에서는 로마자가 많이 쓰인다. 문학 작품의 경우 대다수가 아랍문자이니 중급 이상의 타이하어를 위해서는 아랍문자 해독능력은 필수이다.
사전 순서에 사용되는 기본 글자는 다음과 같다.
로마자 | 이름 | 로마자 | 이름 |
A a | a | O o | o |
B b | bë | P p | pë |
C c | cë | Q q | qain |
Ch ch | xe | R r | ër |
D d | dë | Ŕ ŕ | Xakram ër |
Dc dc | dcë | S s | ës |
E e | ë | Sz sz | ësz |
Ė ė | carum ë | Š š | ëš |
F f | ëf | T t | të |
G g | gë | U u | u |
Ġ ġ | ġe | V v | uë |
H h | hë | W w | tór uë |
I i | i | X x | xa |
J j | bëgam i | Y y | ÿpe |
K k | kë | Z z | zë |
L l | ël | Zs zs | zsë |
M m | ëm | Zš zš | zšë |
N n | ën | Ž ž | žë |
Ņ ņ | ëņ |
- 두 글자의 합자로 이루어진 글자[5]들은 항상 그 묶음을 독립된 다른 글자로 취급한다. 즉, 예를 들면 ch는 c의 다음 순서인 글자로, ce(c+e)는 che(ch+e)보다 앞에 온다. 다만 글자 "수"를 셀 때만 두 글자로 센다. (che는 세 글자)
모음조화 및 장단음을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부호를 모음 글자 a, e, i, o, s, u, y, z[6] 위에 붙인다. (ė에는 붙지 않는다.)
부호 | 역할 | 붙는 글자 |
´ | 해당 모음이 장음임을 표시한다 | á, é, í, ó, ś, ú, ý, ź |
¨ | 어근의 첫 모음에 붙어서 해당 어근의 모든 모음이 전설모음임을 나타낸다 | ä, ë, ö, ü, ÿ |
˄ | 어근의 첫 모음에 붙어서 그 모음이 장음이며 해당 어근의 모든 모음이 전설모음임을 나타낸다 | â, ê, ô, û, ŷ |
이 때 부호가 붙는 규칙 및 모음의 종류 판별은 다음과 같다.
- ¨ 와 ˄ 는 어간의 첫 모음에만 붙는다. 다만 첫 모음이 ė, i, s, z 또는 여기에 부호가 붙은 형태이면 두 번째 모음에 붙는다.
- ¨ 와 ˄ 가 첫(두 번째) 모음에 붙지 않고 어근의 마지막 모음이 ė, i가 아니면 해당 어근의 모든 모음은 후설모음이다.
- ¨ 와 ˄ 가 첫(두 번째) 모음에 붙지 않고 어근의 마지막 모음이 ė, i이면 해당 어근의 마지막 바로 앞 모음까지 모든 모음은 후설모음이다.
모음조화가 존재하며 단어를 양성, 중성, 음성으로 나눈다.
- 양성: 성절자음을 제외한 단어의 마지막 모음이 후설모음, 또는 모음이 성절자음밖에 없음
- 중성: 성절자음을 제외한 단어의 마지막 모음이 ė 또는 i
- 음성: 성절자음을 제외한 단어의 마지막 모음이 전설모음
대부분의 접사와 어미는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으며 양성의 경우 후설모음이, 중성 또는 음성일 경우 전설모음이 된다.
자음의 음가는 심음(깊은 소리, 연구개음 계열)과 천음(얕은 소리, 경구개음 계열)로 나뉜다.
글자 | 심음 | 천음 | 글자 | 심음 | 천음 |
b | /bˠ/ | /bʲ/ | p | /pˠ/ | /pʲ/ |
c | /θˠ/ | /θʲ/ | q | /ʕ/[7] | |
ch | /x/ | r | /ɾˠ/ | /ɾʲ/ | |
d | /dˠ/ | /dʑ/ | ŕ | /rˠː/ | /rʲː/ |
dc | /ðˠ/ | /ðʲ/ | s | /sˠ/ | /ɕ/ |
f | /fˠ/ | /fʲ/ | sz | /ɬˠ/ | /ɬʲ/ |
g | /g/ | /ɟ/ | š | /ʂ/ | |
ġ | /ɣ/ | t | /tˠ/ | /tɕ/ | |
h | /h/ | /ɕ/ | v | /w/ | /ɥ/ |
j | /j/ | w | /vˠ/ | /vʲ/ | |
k | /k/ | /c/ | x | /x/ | |
l | /lˠ/ | /j/ | z | /dzˠ/ | /dʑ/ |
m | /mˠ/ | /mʲ/ | zs | /tsˠ/ | /tɕ/ |
n | /nˠ/ | /n̠ʲ/ | zš | /ʈʂ/ | |
ņ | /ŋ/ | /ɲ/ | ž | /ɖʐ/ |
기본적으로 자음 글자가 써 있으면 심음으로 발음하고, 뒤에 i, ü, ÿ(u, y의 음성 소리), j(표기 변화에 따른 i, e도 포함)가 오면 천음으로 발음한다. 예외로 g, k는 모든 음성 모음 앞에서 천음으로 발음한다. 위 표에서 심음 또는 천음이 공백인 문자는 항상 한 소리만을 가진다.
j는 앞 또는 뒤[8]에 자음이 오면 그 자음이 천음임을 표시[9]하며 자체의 발음은 없어지고, 앞에 자음 없이 뒤에 모음이 오면 온전하게 발음된다. 주변 환경에 따라 모양이 바뀐다.
- a, ä 앞에서는 e 또는 ė로 표기한다. 원칙적으로는 ė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대부분 e로 표기한다.
- 기타 모음 앞에서는 i로 표기한다.
문장 부호는 다음과 같다:
: | 마침표 | · | 쉼표 |
3 명사
주로 접사에 의해 문법적인 성질을 부여받으며 접사는 다음과 같이 붙는다.
접두사 | 어간 | 기타 접미사 | 수·한정 접미사 | 인칭 접미사 | 격 접미사 |
예를 들면, trëmesyte (내가 가진 그 집들을, the houses of me)은 다음과 같이 분리된다.
trëm(어간: 집) - es(수·한정 접미사: 한정복수) - yt(인칭 접미사: 1인칭) - e(격 접미사: 대격)
수·한정 접미사를 붙여서 명사의 한정 여부나 단수/복수 여부를 나타낸다. 형태는 다음과 같다.
단수 | 복수 | |
비한정 | - | -rt / -ert |
한정 | -zs / -ezs | -s / -es |
비한정은 말 그대로 대상이 한정된 대상이 아닌 일반적인 것을 나타낼 때, 한정은 대상이 한정된 것을 나타낼 때 쓰는 것이다. 영어와 같이 고유명사나 유일한 존재처럼 이미 어간에서 한정된 것을 알 수 있으면 수·한정 접미사는 비한정 형태로 사용한다.
특별한 것은, 수식어를 통해 대상이 복수인 것을 알 수 있으면 수·한정 접미사는 단수 형태를 쓴다. 예를 들면 수사(數詞)가 수식어로 오면 수사를 통해 대상이 복수인 지 알 수 있으므로 단수 형태를 쓴다.[10]
인칭 접미사는 명사, 동사에 붙을 수 있으며 명사에 붙으면 그 명사를 소유하거나 그 명사를 수식하는 대상의 인칭을 나타낸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yt / -syt | -ut / -mut |
2인칭 | -yz / -syz | -uz / -muz |
3인칭 | -yr / -syr[11] |
위에 나온 예시인 trëmesyte는 인칭 접미사 -yt에 따라 "내가 가진"이라는, 소유의 의미가 붙어서 해석된다.
1인칭과 2인칭은 대부분 소유의 의미로 해석되며 3인칭은 소유 뿐만 아니라 단순히 수식하는 대상의 인칭을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예: Seol benaryr: 서울시
격 접미사는 말 그대로 격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한국어의 격조사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설명 | ||
주격 | -y / -ny | 말 그대로 주어 한국어의 ~이/가에 해당 |
대격 | -e / -ne | 직접 목적어. 한국어의 ~을/를에 해당 |
여격 | -er / -t | 간접 목적어. 한국어의 ~에게에 해당 |
속격 | -a / -na | 명사를 관형어 또는 소유하는 주체로 만듦. 한국어의 ~의에 해당 |
피명격 | -om / -nom | {주격 명사 A - 피명격 명사 B - C} 구조로 A가 B에게 C하도록 하다라고 해석됨 |
동격 | -aw / -naw | {동격 명사 A - 명사 B} 구조로 A와 같은 B라고 해석됨 |
처격 | -yn / -n | 단독으로 쓰이면 ~에서, ~에와 같이 해석되며 후치사를 동반할 수 있음 |
탈격 | -ur / -nur | 단독으로 쓰이면 ~부터, ~로부터와 같이 해석되며 후치사를 동반할 수 있음 |
향격 | -el / -nel | 단독으로 쓰이면 ~로, ~까지와 같이 해석되며 후치사를 동반할 수 있음 |
조격 | -ym / -m | 단독으로 쓰이면 ~로써, ~와 함께 등으로 해석되며 후치사를 동반할 수 있음 |
위격 | -og / -nog | 단독으로 쓰이면 ~로서와 같이 해석되며 후치사를 동반할 수 있음 |
호격 | -gàs | 감탄사 역할을 해 누군가를 부를 때 말하는 형태. 순서대로 자신보다 높은 사람을 부를 때, 같은 위치거나 아래 있는 사람을 격식을 차려 부를 때, 격식 없이 부를 때 쓴다. |
-dàn | ||
-à |
3.1 복합 명사
두 개 이상의 명사가 모여서 하나의 뜻을 이루는 경우이다.
수·한정 접미사, 인칭 접미사, 격 접미사는 복합 명사를 이루는 모든 명사에 공통적으로 붙인다. 단 문어체에서는 마지막 명사를 제외한 다른 명사에서 공통된 접미사는 종종 생략되며 대신 (s)ò를 붙인다.
(예: ânsboch klódram 무선 통신→ ânsbochertyre klódramertyre / ânsbochò klódramertyre (3인칭 수식받는) 무선 통신들을 )
복합 명사는 크게 4가지로 나뉜다.
- 이름: 여러 성분으로 이루어진 이름(성, 가족명, 이름)의 경우 구성 성분을 모두 띄어 쓰고 복합 명사 취급한다. (예: Anartozs Morchawa Szachoisxo 아나르토츠 모르하바 흘라호시호)
- 고유명사 + 종류: ○○산, ○○강과 같이 대상의 이름과 대상의 종류가 같이 붙은 형태일 경우 두 부분을 띄어 쓰고 복합 명사 취급한다. (예: Däram Mois 다람 산)
- 일반명사 + 일반명사: 명사 여러개를 모아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하는 경우 복합 명사가 된다. (예: ânsboch klódram 무선 통신)
- 외래어: 기존의 외국어에서 두 단어로 사용되던 명사를 통째로 하나의 의미로 가져올 때 복합 명사 취급한다. 해당 복합 명사를 이루는 두 구성 성분은 독립된 뜻을 갖지 않는다. (예: rė públik 공화국)
3.2 명사 묶음
형용사, 관형사, 명사(또는 복합 명사), 후치사, 한정사 네 개가 순서대로 모여서 하나의 명사 묶음을 형성한다.
4 관형사
명사 묶음을 구성하는 품사 중 하나
5 동사
명사와 마찬가지로 동사도 접사에 의해 문법적인 성질이 결정되며 붙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접두사 | 어간 | 기타 접미사 | 시제 접미사 | 주어 인칭 접미사 | (목적어 인칭 접미사) | 문형 접미사 |
시제 접미사는 동사의 과거, 현재, 절대 시제를 나타낸다. 영어와 달리 보편적인 동작·상태나 절대적 진리를 나타낼 때의 시제인 절대 시제가 있다. 미래 시제가 없고 대신 현재 시제의 추측 형태를 조동사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과거 | 현재 | 절대 | |
형태 | -s | -n | -m |
주어 인칭 접미사는 주어의 인칭을 나타낸다. 1, 2인칭의 경우 주어가 단수일 때, 3인칭의 경우 주어가 일반적인 사람들을 나타내는 복수일 때 주어를 생략하여 인칭 접미사로 주어를 유추하게 한다.
1인칭 | 2인칭 | 3인칭 | |
형태 | -o | -a | -u |
목적어 인칭 접미사는 목적어의 인칭을 나타낸다. 타동사이면서 1인칭 또는 2인칭인 목적어에 큰 비중을 두지 않을 경우 목적어를 생략하며 대신 동사에 목적어 인칭 접미사가 붙는다. 목적어가 3인칭인 경우는 앞에서 언급한 목적어를 되풀이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 외의 경우는 목적어 인칭 접미사를 넣지 않고 앞에서 명사의 목적격으로 직접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인칭 | 2인칭 | 3인칭 | |
단수 | -ba | -ta | -ša |
복수 | -báne | -táne | -šáne |
문형 접미사는 해당 동사를 포함하는 절의 전체적인 종류를 나타낸다.
종류 | 형태 | 예시 | 해석 |
평서형 | -n | Trëmur danon: | 나는 집에서 나온다. |
판정의문형[12] | -ea | Trëmur danaea? | 너는 집에서 나오니? |
설명의문형[13] | -nd | Nëdanur danand? | 너는 어디에서 나오니? |
청유형 | -le | Trëmur danolte:[14] | 우리, 집에서 나가자. |
명령형 | -rna | Trëmytur danarna: | 너, 내 집에서 나가라. |
관형형 | -c[15] | Trëmur danoc de: | 집에서 나가는 나. |
명사형 | -m | Trëmur danom: | 집에서 내가 나감. |
예: koismotan = kois(사랑하다) + m(절대시제) + o(1인칭 주어) + ta(2인칭 단수 목적어) + n(평서형), 나는 너를 사랑한다.
5.1 종속 부사
동사 바로 앞에 와서 의미를 보충한다. 한 동사에 하나만 올 수 있다. 다음 5개가 전부이다.
- ân: 동사의 의미를 부정하며 그 상태가 스스로 야기한 것임을 나타낸다.
- myz: 동사의 의미를 부정하며 그 상태가 의지와는 반대로 일어난 것임을 나타낸다.
- mi: 동사가 진행상이 되게 한다.
- nėmi: mi의 단순 부정. ~하지 않고 있다.
- míz: mi + myz. ~하지 못하고 있다.
각각의 종속 부사가 쓰인 예문은 다음과 같다.
- Xaeare ân särson: 차를 안 탔다.
- Xaeare myz särson: 차를 못 탔다.
- Xaeare mi särson: 차를 타고 있었다.
- Xaeare nėmi särson: 차를 안 타고 있었다.
- Xaeare míz särson: 차를 못 타고 있었다.
6 동사의 관형형 및 관계사
동사의 관형형은 다음 두 가지 용도가 있다.
- 동사 단독으로 쓰여서 명사를 수식함
- 동사를 포함하는 절을 관형절로 만들어서 명사를 수식함
특히, 형용사가 따로 없기 때문에 동사의 관형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동사의 관형형을 이용해 관형절을 만들어서 명사 묶음을 수식하지만 해당 명사 묶음을 강조하여 앞으로 보낼 때는 동사의 관형형 대신 관계사를 사용한다. 관계사에는 ki 한 가지만 존재하며, 페르시아어에서 온 외래어로, 고전적인 글에서는 관계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계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일반적인 인도유럽어의 관계사와 유사하니 관계사 참조.
1. Seadamerty ëwynumezsyn asmun: (사람들이 연방에 있다)2. Wünk seadamy nën Tajxameìemun: (모든 사람들은 타이하인이다.)
두 문장을 관형형을 이용하거나 관계사를 이용해서 한 문장으로 합칠 수 있다. 1번 문장을 이용해 2번의 "사람들"을 수식하면 다음과 같다.
1) 관형형
- 1번 문장과 2번 문장에서 겹치는 구성요소(주어)를 1번 문장에서 제거한다.
- 동사의 종결형 접사를 관형형 접사로 바꾼다.
- 변형된 1번 문장을 2번의 명사 묶음 앞(즉, 형용사인 wünkec 앞)에 둔다.
Ëwynumezsyn asmuc wünk seadamy nën Tajxameìemun:
2) 관계사
- 1번 문장과 2번 문장에서 겹치는 구성요소(주어)를 1번 문장에서 제거한다.
- 명사 뒤에 관계사 ki를 두고 그 뒤에 변형된 1번 문장을 둔다.
Wünk seadamy ki ëwynumezsyn asmun nën Tajxameìemun:
7 자주 쓰이는 접미사
7.1 사람 이름에 쓰이는 접미사
8 문형
아래는 주의해야 할 문형을 정리한 것이다.
1. A는 B이다
세 가지 문장 구조가 가능하다. 예문은 de(나)와 seadam(사람)을 이용한 "나는 사람이다"라는 문장이다.
- 접사 -ìe를 이용: 접사 -ìe[16]는 명사 어근에 붙어서 해당 단어를 ~이다라는 뜻을 가진 자동사로 바꾼다. A를 주격으로 하고 B에 해당 접사를 붙여서 A는 B이다라는 문형을 만들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표현. (예: Dy seadamìemon:)
- 한정사 nën 이용: A(주격) nën B(격 없음) 형태를 이용하여 관용적으로 A는 B이다라는 표현을 만들 수 있다. 원래는 B에 접사 -ìe가 와야 되지만 한정사 nën 뒤에 바로 명사가 오면 주어를 설명하는 명사인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굳어진 표현. 주로 글에서 B가 처음 등장하거나 처음 이름을 알려줄 때 사용한다. 특히, 이 용법으로 쓰인 한정사 nën은 글로 쓸 때 줄표 —로 대체해서 쓴다. (예: Dy — seadam:)
- 동격 이용: 동격이 수식하는 명사가 뒤에 오는 예외적인 용법으로, A에 격을 붙이지 않고 B에 동격을 붙인다. 간결하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정상적인 구조의 문장은 아니므로 의문형이나 관형형 등 다른 형태로 바꿀 수 없으며 혼자 쓰인다. (예: De seadamaw:)
- ↑ 주로 학문적으로 사용함
- ↑ 주로 공문서에서 사용함
- ↑ 모국어인 사람들이 구어체에서 사용함
- ↑ 타이하어 철자에서 Tajxa는 타이하 연방을, Taicha는 타이하 연방의 구성국 중 하나인 타이하 제국과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타이하 민족을 지칭한다. 표준 타이하어는 연방 전체의 언어라는 의미로 Tajxasder로, 기타 타이하어는 타이하 민족이 쓰는 언어라는 의미로 Taichasder라고 구분해서 쓰는 것. 발음은 둘 다 똑같고, 역사적인 철자는 모두 Tajxa지만 철자법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이미 타이하 연방 스케일이 커져 오래 쓰인 Tajxa를 바꾸기에는 너무 표기가 정착됐기도 하고, 연방이 Taicha 위주라는 느낌을 지우고 중립성도 나타낼 겸 연방을 나타낼 때 한정 기존 표기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 ↑ ch, dc, sz, zs, zš
- ↑ 이때 쓰이는 s와 z는 성절자음으로, 문법 상 모음 취급한다.
- ↑ 어두 및 자음 뒤에서는 /ʔ/, 어말에서는 /ʔ̚/로 변함
- ↑ 즉, sj나 js 모두 s는 천음으로 발음한다.
- ↑ 해당 자음이 심음밖에 없으면 심음으로 발음한다.
- ↑ 정확히는, 비한정은 한정이 아니라는 것이 아니라 한정 여부가 없는 것으로, 단수도 마찬가지로 보면 된다.
- ↑ 3인칭은 단/복수 구별을 하지 않는다
- ↑ 대답이 예/아니오인 의문형
- ↑ 대답이 무엇, 어디 등 미지의 정보에 대한 설명인 의문형
- ↑ 1인칭은 우리, 2인칭은 너(희들)로 해석된다.
- ↑ 발음은 /ð/이다. 과거 표기법의 흔적.
- ↑ 발음은 iė([je])와 같다. 타이하어 표기에서 의미 구별을 위해 부호를 달리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