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1 원작
한글판 명칭 | RUM(랭크 업 매직)-퀵 카오스 (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RUM(ランクアップマジック)-クイック・カオス | |||
영어판 명칭 | Rank-Up-Magic Quick Chaos | |||
속공 마법 | ||||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엑시즈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보다 랭크가 1개 놓은 "C(카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엑시즈 1장을,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선택한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
최초의 속공 마법 랭크 업 매직. 낫슈가 사용해 CNo.73 격롱폭신 어비스 수프라를 불러내 벡터에게 피니쉬를 날린다.
2 OCG
한글판 명칭 | RUM(랭크 업 매직)-퀵 카오스 (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RUM(ランクアップマジック)-クイック・カオス | |||
영어판 명칭 | Rank-Up-Magic Quick Chaos | |||
속공 마법 | ||||
①:"CNo."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No."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몬스터보다 랭크가 1개 높고, 같은 "No."의 숫자를 가진 "CNo." 몬스터 1장을, 대상 몬스터의 위에 겹쳐 엑스트라 덱에서 엑시즈 소환한다. |
Dragons of Legend / 컬렉터즈 팩에서 등장. No. 한정에 같은 No.로만 랭크업할 수 있도록 너프를 받았다.
그러나 너프를 먹었음에도 추가타를 먹일 수 있는 속공 마법 카드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CNo.들이 원본을 엑시즈 소재로 할 때 얻는 이득이 많은 것을 상기하자. 이 카드는 잘만 쓰면 흉악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 No.106 거암장 자이언트 핸드를 꺼냈는데 상대가 사이버 드래곤 같은 걸로 깨부수고 메인2에 전개를 하려고 하면 바로 CNo.106 용암장 자이언트 핸드 레드로 바꿔 몬스터도 못 깨고 메인2의 전개를 틀어막을 수 있다.
-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의 효과 사용 뒤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로 랭크업 해서 한 턴에 특소된 몬스터 둘을 먹고, 파괴될 시 라이프 2800 회복과 동시에 부활하는 몬스터가 필드에 남는다. 혹은 소재를 2개 남긴 채로 바로 랭크업 한 뒤 흡수하면 소재가 4개 (아크 나이트 + 아크 나이트 소재 2 + 흡수 1)가 되므로 CX 기망황 바리안 소환 시 공격력 5000 (소재 4 + 다크 나이트)이 된다.
- 배틀 페이즈에 기습적으로 발동하여 추가타를 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 퀵 카오스 →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으로 바꾸면 최대 데미지 7500을 우겨넣을 수 있다.
- 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No.88 기믹 퍼핏-데스티니 레오로 공격하고, 퀵카오스로 CNo.88 기믹 퍼핏-디저스터 레오를 소환해 다시 공격, 메인 페이즈 2에 추가로 번데미지 1000을 먹이는 것으로 총 7700의 데미지를 먹이는 것도 가능하다.
- No.39 유토피아, SNo.39 유토피아 ONE의 경우는 V와 빅토리의 두 가지 선택지가 있고 특히 빅토리의 경우 자체적으로 높은 공격력을 얻을 수 있어 상성이 좋다. 호프로 한 대 치고 바로 빅토리로 바꿔서 때리면 상대 필드는 높은 확률로 박살.
- 그 외에 CNo.만 있으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용으로 사용도 가능.
참고로 이 퀵 카오스에는 텍스트적 문제가 존재한다. 텍스트로만 언뜻 봐서는 정규 엑시즈 소환으로 보이지만, 다른 RUM과 마찬가지로 비정규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되는 것.
본래 이전의 RUM 카드에는 "엑시즈 소환 취급으로 특수 소환한다"로 적혀 있어, 효과 도중에 특수 소환하는 비정규라는 것을 알기 쉬웠는데, 왠지 이 카드만 정규 엑시즈 소환의 표기법으로 나왔다.[1]
일단 이 카드의 경우에는 그 소환의 절차를 처음부터 끝까지 오해할 여지 없게 구구절절 설명되어 있기에[2] 다른 정규 엑시즈 소환들과는 다르다는 점을 그나마 유추해볼 수는 있지만, 어째서 이 카드만 이렇게 적었는지는 알 수 없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