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벌레

사슴벌레과
Lucanidae이명 : 집게벌레, 돼지집게벌레[1]
Lucanidae Latreille, 1804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언어별 명칭
한국어사슴벌레, 집게벌레
영어Stag beetle[2], deer bug
일본어クワガタ(ムシ)[3]

1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하는 곤충들의 총칭


사진은 1시방향에서 부터 넓적사슴벌레(Serrognathus titanus castanicolor), 왕사슴벌레(Dorcus hopei), 톱사슴벌레(Prosopocoilus inclinatus)
딱정벌레목(Coleoptera) 풍뎅이상과(Superfamily Scarabaeoidea) 사슴벌레과(Family Lucanidae)에 속하는 딱정벌레들의 총칭. 생김새가 간지나서 애완용으로도 인기가 좋고 표본으로도 가장 많이 판매되는 곤충이다.[4]

분포는 거의 전 세계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사슴벌레가 속하는 Lucanus속, 왕사슴벌레, 애사슴벌레 등이 속하는 Dorcus속, 넓적사슴벌레가 속하는 Serrognathus속,[5] 톱사슴벌레, 두점박이사슴벌레[6]가 속하는 Prosopocoilus속, 다우리아사슴벌레가 속하는 Prismognathus속, 꼬마넓적사슴벌레가 속하는 Aegus속, 원표애보라사슴벌레가 속하는 Platycerus속, 꼬마사슴벌레가 속하는 Figulus속, 뿔꼬마사슴벌레가 속하는 Nigidius속 등 다양한 사슴벌레가 살고 있다.

수컷 개체에는 사슴벌레과의 트레이드마크인 한쌍의 비대해진 큰턱이 있어 인기가 좋은 곤충이다. 덕분에 메카닉이나 특촬 히어로의 모티브로도 많이 쓰였다.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는쿠우가, 가탁크, 갸렌등의 모티브가 되었다. 보통은 장수풍뎅이와 라이벌구도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야생에서도 그렇기도 하다. 예: 디지몬의 쿠가몬 vs 캅테리몬, 포켓몬의 쁘사이저 vs 헤라크로스. 장수풍뎅이와 같이 나올 때는 대부분 장수풍뎅이에 비해 뭔가 밀리는 역할로 많이 나온다. 콩라인?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가 싸우면 잡는 힘이 딸리는 사슴벌레가 장수풍뎅이의 내던지기에 던져진다는 이야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7] 다만 장수풍뎅이 종류들은 같은 장수풍뎅이와의 싸움에 특화된 반면 사슴벌레는 기본적으로 무는 방식이라 구조가 이상하지 않는 이상 왠만한 곤충들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고, 실제로 다른곤충을 잡아먹는 사슴벌레가 존재한다. 충왕전에서 단치형 알키데스 사슴벌레(Dorcus alcides)가 장수말벌을 반토막으로 잘라버린 일도 있다(...)

딱정벌레목 곤충이니만큼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로의 완전변태를 한다. 집에서 애벌레를 기를 때는 참나무 발효톱밥에 기르게되는데, 이때 긴수염버섯파리가 많이 꼬인다. 많이 길러본 사람들은 균사병을 쓰고 이게 더 크게 자라므로, 균사빨을 잘 받는 개체는 균사를 먹인다. 대한민국에서는 자생하는 사슴벌레의 종류가 장수풍뎅이 종류보다 많다. 한국에서 가장 큰 사슴벌레는 넓적사슴벌레이며 60mm가 넘는 개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으며, 70~80mm역시 조금만 노력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반대로 왕사슴벌레는 이름은 왕인데 60mm 넘기는 야생산은 거의 유니크 수준의 희귀함을 자랑한다. 이는 야생개체의 최대크기이기때문.[8] 하지만 70mm이상의 한국산 왕사는 이종과의 교잡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희귀한건 매한가지이지만..

장수풍뎅이와는 달리 성충 시기를 오래 보내는 편이다. 잘 기르면 마법사인 상태로 약 1년 이상 생존 가능하며 먹이 없이는 약 2주정도 버틴다.[9]

사슴벌레를 처음 보는 애들이 신기하다고 괜히 집게에 손가락을 가져다 대보는 경우가 있는데 보거든 반드시 말리자. 손가락이 잘려나갈 정도는 아니지만 물리면 무진장 아프며 피 보기도 쉽다. 특히 암컷은 더더욱. 나무 속에 알을 까기 때문에 나무 껍질을 파내기 위해 집게가 볼품없게 생겼지만 작고 날카로운데,[10] 이런 집게에 물렸다가는 다시는 사슴벌레랑 상종도 하기 싫을 정도로 아프다. 한 번 물렸다가 바로 또 물리면 아픔과 동시에 연속으로 물린 자신을 욕하게 된다. 쉽게 말해서 핀셋과 쪽가위의 차이.

여담으로 암컷의 생태가 잘못 알려져 있었는데, 20년 전 정도만 하더라도 암컷은 바로 알을 낳고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사례
그러나 지속적인 브리더들의 연구로 암컷의 영양상태가 좋으면 알을 낳고 즉사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고 실제로 이 과정에서 사슴벌레 암컷이 잡식성인 것이 알려졌다.

일본 그룹 페니실린의 보컬 하쿠에이가 사슴벌레를 기르고 있으며, 페니실린의 노래 중에는 사슴벌레를 주제로 한 남자의 로망이란 곡이 있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스탠드 타워 오브 그레이는 대형 사슴벌레의 형태이다.

VOCALOID 오리지널 곡 중에 사슴벌레에게 춉을 먹였더니 타임슬립했다. 약칭 사슴벌레 춉이라는 곡도 있다.

디시인사이드잉여인간이 이걸 먹었다. 화질은 좋지 않으나 상당한 혐짤. 이 귀한 걸 한입에![11] 턱 모양으로 봤을 때 넓적사슴벌레이다. 지못미...

성충이 되면 곤충계에서의 천적은 없다. 곤충계의 폭군 장수말벌을 상대로도 튼튼한 껍질과 집게 때문에 밀리지 않을 정도.[12][13] 다만 사슴벌레가 튼튼하기는 해도 곤충들 정도 체급에서나 통하는 수준인지라 다람쥐비둘기 이상급이면 어렵잖게 잡아먹는다. 주요 천적은 다람쥐나 청설모 등 소형 야행성 포유류. 그 외에도 새, 올빼미, 부엉이, 족제비, 여우, 멧돼지, 자동차[14], 인간[15]등이 있다.[16]

1.1 대한민국에서 자생하는 사슴벌레

1.2 사슴벌레가 모티브인 메카 및 연관된 캐릭터

2 좁은 의미의 사슴벌레

대한민국에서 자생하는 사슴벌레 목록
넓적사슴벌레왕사슴벌레톱사슴벌레
애사슴벌레홍다리사슴벌레다우리아사슴벌레
참넓적사슴벌레사슴벌레#s-2두점박이사슴벌레
사슴벌레
이명 :투구사슴벌레, 걍사슴벌레, 참사슴벌레
Lucanus dybowskyi dybowskyi [22]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사슴벌레속(Lucanus)
사슴벌레(L. ddybowskyi)
아종
사슴벌레'(L. d. ddybowskyi)

이 종의 수컷의 큰턱 모양과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국내 사슴벌레 무리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는 사슴벌레이다. 국내에서는 '그냥' '사슴벌레'[* 애완곤충 커뮤니티에서는 줄여서 '걍사슴벌레(걍사)', '참사슴벌레'라고도 한다 또한 충청도지역에서는 암컷을 "돼지 집게벌레" 라고도 부른다. [걍사나 참사는 모두 가칭이므로 혼동하지 말자.][23] 대개 높은 산에 서식하는 사슴벌레로 주로 강원도에 서식하며, 강원도와 인접한 경상도나 경기도 지역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자연상태에서는 높은 산에 사는 만큼 서늘한 곳에 서식하기 때문에 사육시 환경의 온도가 높으면 쉽게 죽고 몸이 뒤집혀져 바둥거릴때도 물 밖으로 나온 고등어마냥 성질이 급해 다른 사슴벌레보다 빨리 죽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문에 사육시에는 자연사보다는 제 분에 못이겨 돌연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주 건드리거나 만질수록 스트레스에 못이겨 더 빨리 죽는다.[24] 유충 사육도 어려운 편으로 다른 사슴벌레와는 달리 저온에서 사육해야 하며, 유충 기간도 길고 예민한 탓으로 사육 초보자에게는 그다지 추천할 만한 종은 아니다. 꼭 사슴벌레 기를 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외모만 보고 무턱대고 키운다고 나섰다가 엄한 목숨 하늘로 보내지 말고, 전문자의 조언을 철저히 숙지하고 잘 키우자. 강원도의 경우 집 근처의 야산이나 공원에 나무진을 먹고 사는 벌레들이 좋아하는 수종의 나무가 많으면 가끔 보인다. 실제로는 야산 수준이 아니라 꽤 깊은 산의 높은 곳까지 올라가야 잡을 수 있는 저온에서 사는 종이다.[25]

몸길이는 큰턱을 포함하여 수컷이 4~7cm 정도인데 애벌레 때의 영양상태에 따라 개체간의 차이가 많이 나는 편으로 대형개체일수록 큰턱이 크고 이빨의 모양이 뚜렷하다. 또한 루카누스속(Lucanus) 답게 머리 뒤쪽에 코끼리 귀 모양이나 투구를 연상시키는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는데, 대형 개체로 갈수록 더 발달해 있다. 몸 색은 갈색이고 수컷은 온몸이 짧은 황금색 털로 덮여있다. 또, 넓적다리쪽에 노란 반점이 있다. 구 종명이었던 maculifemoratus라는 학명은 이 반점 때문에 붙은 것. 현재의 종명은 폴란드 학자 Dybowsky를 기린 것이다.

보통 사슴벌레들은 암컷이 비슷비슷하게 생겨 구분하기 어려운데, 이 사슴벌레의 암컷은 구분하기 상당히 쉬운 편이다. 사슴벌레의 암컷은 다른 종의 사슴벌레들보다 머리가 길고 턱이 조금 큰편이라 투박한 인상을 준다. 간혹 비슷한 색상의 톱사슴벌레 암컷과 헷갈리는데 이 경우에는 넓적다리 배면의 황색 반점과 등면의 광택으로 구분 가능하다. 애시당초 다리의 황색 반점으로 구분하는게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이다. 수명은 대략 3개월 내외, 길게 살면 6개월 간다[26]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여러 아종이 분포하는데, 근연종 Lucanus maculifemoratus[27]는 일본에 서식한다.


울트라리스크

유럽에서는 같은 사슴벌레속 중 더 큰 몸과 집게를 자랑하는 유럽사슴벌레(Lucanus cervus)가 발견된다.

  1. 보통 암컷 사슴벌레를 부르던말. 요즘은 쓰이지않는다.
  2. stag는 사슴, 한국 이름과 비슷하다.
  3. 'くわがた'는 '투구의 앞면 양쪽에 뿔처럼 세운 장식물'을 의미한다. 즉 사슴벌레의 턱이 투구 장식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
  4. 무엇보다 큼지막해서 표본 제작, 관리가 쉽다.
  5. 2016년 현재까지도 왕사슴벌레속으로 대하는 경우가 있으나 최근에 연구에따라 재정리되어 분리시켰다.
  6. 환경부 보호종, 제주도 반출은 불법... 허나 제주도에선 넓적사슴벌레 다음으로 차이는 종이라고 한다
  7. 다만 팔라완 넓적사슴벌레 같이 크면서 난폭한 종은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랑 맞짱 뜰정도로 대형인데다가 무는 힘도 장난 아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tMMabb_F3A, https://www.youtube.com/watch?v=RbYiqQ0kBrY. 크기와 힘이 장난 아닌 헤라클레스와 코카서스장수풍뎅이까지 발라버릴 정도로 크고 쎈 놈이다. 사슴벌레 무시하지 말자.
  8. 암컷의 최대 크기는 왕사가 넓사보다 크다.
  9. 동면기 제외
  10. 더욱이 영양분이 부족하면 애벌레를 잡아먹는다! 정확히는 물어뜯어서 체액을 빨아먹는다. 사슴벌레 기르는 사람들중엔 암컷에게 단백질을 주기위해 죽은 애벌레나 밀웜을 주는경우도 있다고한다.
  11. 사실 여느 곤충들이 다 그렇듯 못 먹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저렇게 애써서 먹을 필요까지는 없다(...).
  12. 집게 구조가 이상하지 않는 이상 대부분 발리거나 죽는다.
  13. 다만 사슴벌레가 너무 작거나 장수말벌이 다구리로 달려들면 얄짤없이 쫒겨난다.
  14. 헤드라이트 불빛을 보고 날아든 사슴벌레가 로드킬당하기도 한다.
  15. 서식지를 파괴하는 인간도 사슴벌레의 천적...
  16. 심지어 곰이나 호랑이도 먹을 게 엄청 없을때나, 간식으로 갑충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17. 아종으로 북한에 서식하는 머클애보라사슴벌레가 있다.
  18. 사마귀, 메뚜기도 포함.
  19. 강철전기에서만 등장
  20. 주인공인 츠마미는 인간과 사슴벌레의 혼혈이며, 아빠는 거대한 사슴벌레다.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인지라 국내에선 거의 알려지지 않은 캐릭터지만, 넨도로이드 7번으로 발매된 적이 있다.
  21. 23화 A파트 참조
  22. 원래 학명은 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로 일본종인 Lucanus maculifemoratus maculifemoratus 사슴벌레의 아종으로 분류했었으나 외부형질과 생식기 형질에 일본종과 차이가 있어 원명아종으로 승격되면서 학명이 바뀌게 되었다.
  23. 이렇게 수식어를 붙여서 부르는 이유는 다른 사슴벌레 종류는 사슴벌레나, 넓적사슴벌레, 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사슴벌레 등 종명 앞에 수식어가 붙지만 이 종은 이름 앞에 아무 수식어가 없이 종명이 '사슴벌레' 인데 보통 사슴벌레라 하면 사슴벌레 무리에 속하는 모든 곤충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른 종과의 혼동을 막고 의미 전달을 명확히 하기위해 구별지어 부르는 것이다. 비슷한 예로 하늘소(=미끈이하늘소, Massicus raddei)와 말벌(=참말벌, Vespa crabro), 가재(=참가재, Cambaroides similis), 전갈(=극동전갈, Mesobuthus martensii), 사마귀(=참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가 있다. 네이버나 다음, 구글 같은 검색포털사이트에 사슴벌레를 검색하면 '사슴벌레' 보다 넓적사슴벌레나 왕사슴벌레가 더 많이 검색된다. 결국 걍사나 참사슴벌레로 검색해야 검색결과에 이 종이 많이 나오게 된다..
  24. 이건 어느 애완곤충이나 마찬가지다.
  25. 실제로 이 사슴벌레의 속인 Lucanus속 중에는 무려 5'c 밖에 안되는 곳에서 유유히... 살고 있는 사슴벌레도 있다 출처: For the love of stag beetles and Rhino
  26. 왕사슴벌레속(Dorcus)이나 넓적사슴벌레속(Serrognathus)이 아니면 웬만한 개체는 겨울잠을 자지않고 사망하며 명이 짧고, 큰 사슴벌레가 오래 산다
  27. 일본에서 'ミヤマクワガタ' 라고 부른다. 사실 ミヤマクワガタ라는 말 자체가 사슴벌레속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기도 하지만 한국에서 종종 사슴벌레를 '산사슴벌레', '깊은산사슴벌레'라고 부르는 것도 일본어를 직역한 것이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padding:12px;border-top:5px solid #1266FF"
{{{+1 align=left&width=30px 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조해 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를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