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저드(트리 오브 세이비어)

이 문서에는 독자연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신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독자연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사실과 상식에 기초하여 문서를 편집하여야 하며, 정당한 반론이 있을 경우 내용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출처 제시는 논리를 강화하며 내용을 풍성하게 하므로 되도록 출처를 제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에 각별히 주의하여 틀 아래의 내용을 읽어 주세요.

imc 게임즈가 개발한 PC 온라인 게임 트리 오브 세이비어의 등장 클래스 '위저드'를 소개하는 문서.

|금색은 공개된 히든 클래스|
<#504d48><-3><:>height=27
x20px마법사 계열 클래스||
1 Rank
위저드
2 Rank
파이로맨서
크리오맨서
3 Rank
사이코키노
링커
4 Rank
쏘마터지
엘리멘탈리스트
5 Rank
크로노맨서
소서러
6 Rank
네크로맨서
알케미스트
룬캐스터
7 Rank
워록
페더풋
8 Rank
세이지
인챈터
미확인
미믹
음양사
섀도우맨서
x20px 전사 계열 x20px 궁수 계열 x20px 성직자 계열

1 소개

2001.png
마법사 계열 1 Rank
위저드
Wizard
타입: 공격
2001_F.gif2001_M.gif
마법을 사용하여 상대의 공격을 저지하거나 자신을 보호하는 위저드는 광역 공격을 하는 클래스로, 하나의 대상에 강력한 공격을 퍼붓거나, 다수의 적에게 광역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위저드는 모든 마법의 기본에 가장 충실한 마법사에요.

더 강한 마법을 탐구하려면 역시 기본으로 돌아오는게 제일 아니겠어요?
- 위저드 서브 마스터

위저드 계통의 기본 직업군. 초반에 힘을 발휘하는 하하맨, 쿼삼맨, 파링걸과는 대비되는 대기만성형 직업이다. 쓸만한 공격스킬이라곤 3서클의 매직 미사일 하나지만 3서클에서 습득하는 퀵캐스트의 특성 중 지속시간동안 마법 데미지 증가(최대 50%) 효과가 있기 때문.[1] 특히 엘리멘탈리스트를 3서클까지 올린 일명 위엘 트리는 레인져나 겨우겨우 따라갈 수 있을 정도로 최상급의 광역딜을 자랑한다. 이 퀵캐스트 때문에 후반에 딜링으로 간다면 누구나 위저드를 3서클까지 배워야 한다.

다만 위자드 2서클까지가 워낙 암울하고 힘겨우며, 100레벨이 넘어가고 4~5랭크에서 효율적인 공격 스킬을 습득하지 못하게 된다면 매직미사일 하나로는 몹 처리하기가 힘겨워지면서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가령 쏘마터지나 링커, 혹은 엘리멘탈리스트 1랭크에 불과하다면 매직 미사일 이외에 쓸만한 공격기가 없어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될 것이다..

공격 타입이면서 이렇다할 공격 스킬이 3서클의 매직 미사일 뿐이라는 게 문제로 꼽힌다. 클레릭은 보조 타입답게 힐, 세이프티 존 등의 밥줄 보조스킬이 자리하고 있고 아처도 멀티샷, 오블리크 샷 등을 후반에도 주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반면 에너지 볼트와 어스퀘이크는 나중에는 차라리 안 찍는게 좋을 수준의 저질스런 데미지와 극악의 SP 소모량을 자랑한다. 그래서 리플렉트 쉴드나 슬리프를 찍는다. 게다가 위저드 2서클엔 캐스팅 안 끊기는 것 외엔 아무런 효과도 없는 '후반용 버프'인 슈어스펠 하나만 던져준다. 위저드에서 슈어스펠의 효과를 받는 것은 보조 마법인 슬리프와 레써지 뿐. 이미 위저드가 아니고 그냥 버퍼/디버퍼다. 클래스 설명을 읽으면 위저드가 아니고 엘리멘탈리스트가 먼저 떠오를 지경.

2 스킬과 특성

2.1 1 서클

2.1.1 에너지 볼트

에너지 볼트
Energy Bolt
1서클 / [종류] - [마법]
강력한 마법 에너지를 모아 적에게 발사합니다. 에너지를 모은 량에 비례하여 피해량도 증가합니다.
스킬 영상 첨부란
스킬 상세 정보
레벨공격력광역공격비율SP소모에너지 볼트 : 슬리프 추가대미지 활성시 SP소모오버히트재사용 대기시간
1444152339
2564182639
3684212939
4804253339
5934283639
61054324039
71174354339
81294384639
91424425039
101544455339
111664495739
121784526039
131904556339
142034596739
152154627039
  • 에너지 볼트: 강화 적에게 입히는 [에너지 볼트]의 대미지가 특성 레벨당 1% 증가합니다. / 에너지 볼트: 슬리프 추가대미지 [슬리프]에 걸린 적에게 [에너지 볼트]로 공격 시 특성 레벨당 마법 공격력의 50%만큼 추가 대미지를 줍니다.
힘이여...

에너지 볼트.


마법 에너지를 모아 발사한다. 9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지며 총 3번을 연달아 사용할 수 있다. 단일 공격같지만 범위 판정이며 히트할때마다 몹을 넉백시킨다.
다른 공격기가 없어서 습득 이후 2랭크까지 밥줄 스킬이지만 3랭크나 다른 클래스로 전직시 활용도는 0에 가깝다. 대미지도 저질, SP소모도 저질, 효율성도 저질, 특성도 저질이다. 딱 쪼렙 법사 느낌을 내는 스킬.

2.1.2 어스퀘이크

어스퀘이크... 핫!

어스퀘이크... 읏!

지진을 일으켜 공격한다. 그냥 미적지근한 범위 공격기. 초반에는 몰라도 후반에는 쓸만한 범위 스킬들을 습득하게 되거나 혹은 어스퀘이크 자체의 위력이 크게 강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묻히고 만다. 맞은 몹을 높이 띄우기 때문에 CC기 용도로 1을 찍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나마도 몹을 모조리 다 흩뿌려놓기 때문에 파티플레이엔 봉인스킬이나 마찬가지이다.

2.1.3 레써지

무기력해져라, 레써지!

적을 무기력 상태로 만들어 물리공격력, 마법공격력, 회피를 감소시킨다. 보스에게도 적용되는 디버프. 타격계통 공격에 추가데미지를 받게하는 특성이 있는데 레벨당 20% 총 5레벨 100%의 추가데미지를 준다.
파티에 몽크가 있다면 꼬박꼬박 보스에게 써주자. 몽크의 스킬과 공격은 대부분 때리기 속성이다.
때리기 속성이 아닌 것 같지만 의외로 때리기 속성인 스킬들이 몇몇 있는데, 보코르의 에피지, 슈바르츠라이더의 후퇴사격 등이 이에 해당된다.

2.1.4 슬리프

잠들어 버려라, 슬립!

어둠이 내려와, 슬립!

적을 잠재워 일정 횟수의 공격을 받을 때 까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에너지볼트로 공격시 추가 피해를 주는 특성이 존재한다. 현재로는 에너지볼트를 사용하는 유저 자체를 찾기 힘들다. 버려진 특성. 퀘스트 오브젝트를 처리할때 귀찮게 들러붙는 선공몹들을 잠시 재워두는 용도로도(솔플땐 이쪽이 주이다.)쓸만하다. 파티플에는 몹을 몰아 놓고 슬립을 걸어주면 몰이,탱커의 부탐을 덜 수 있고, 몹이 흩어지는 걸 방지할 수도 있다. 자동매치에서 파티에 성직자계열이 없다면, 이 스킬을 올릴수록 파티와 자신의 생존에 유용하다. 현재는 대지의 탑 때문에 최소 14레벨은 찍어줘야 한다.

PVP에서 위저드의 광역메즈를 담당하는 중요한 스킬이기도 하다. 캐스팅이 끝난 후 약1초 후에 시전 지점에 효과가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어 예측을 잘 해야 한다. 일단 한번 잠들면 공격횟수가 다 채워지거나 시간이 지나지 않는다면 긴 시간동안 가만히 멍때리고 있다가 행낫에 끌려간다거나 캐터한테 납치된다던가 자이바스에 전기구이가 된다던가 하는 온갖 다양한 방식의 죽음을 경험 할 수 있다.

잘 응용하면 더 많은 몹을 모을 수 있다고 한다. 참고

2.1.5 리플렉트 실드

리플렉션!

적의 공격을 반사하는 방패를 생성한다. 스킬 레벨이나 정신 능력치가 올라가면서 반사하는 양과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양이 증가한다. 레벨이 3자릿수가 되면 적에게 받는 데미지가 많이 아파지는데 조금이나마 덜 아프게 되는 스킬. 기준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피격모션을 사라지게하는 기능이 있어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파티플레이에선 점점 쓰지 않게 된다. 성직자와 위자드계열의 버프수는 증가하는데. 기본 받을 수 있는 버프는 5개뿐이며, 버프 수를 늘리는 다이노를 찍은 성직자가 있다는 보장이 없고, 있다고 해도 더 중요한 버프가 많기 때문이다. 취향따라 찍어보자.

2.2 2 서클

2.2.1 슈어스펠

스킬 시전 시 공격받아도 캐스팅이 취소되지 않게 한다. 설명과는 달리 채널링 스킬도 안 끊기게 해준다. 다만 넉백 맞으면 채널링이나 캐스팅이나 끊긴다.
현재로는 지속시간과 쿨타임이 같아지는(15초) 5레벨 정도까지만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스킬 캐스팅이 긴 스킬이나 채널링 스킬을 사용할 때 써주자.

2.3 3서클

2.3.1 매직 미사일

마법 탄환을 쏘아낸다. 최초에 3발을 발사하며 이후 탄환이 적에게 적중하면 새로운 탄환이 생성되어 근처의 적을 공격한다. 최초에 쏘아내는 마법 탄환들은 하나의 적에 집중되기보다는 분산되려는 특징이 있으며, 새롭게 생성되는 탄환은 스킬 레벨에 따라 1~5개이다.

현재 위저드 3랭크의 주력기. 하지만 스킬 특성상 보스보다는 그렇게 바글대지 않는 수준의 잡몹을 처리하는 데 요긴하다. 보스들이 대부분 트랩을 깔기 때문에 보스를 트랩 가까이 오게 해서 쓰면 트랩도 같이 처리할 수 있다.
링커랑 조합하면 꽤나 좋은 광역기가 된다. 가끔 행낫으로 묶인 적에게 엄청난 연타가 들어가는 현상이 있다. 딜링이 두 배 이상 증가하므로 요긴하게 써먹도록 하자. 행낫의 광역방어감소 특성과 연관이 있는 현상으로 추정된다. 자세한 것은 실험바람.

2.3.2 퀵 캐스트

위저드의 꽃, 위저드 3랭크를 가는 이유. 마법사계의 스테디 에임

스킬 시전 시간을 감소시킨다. 특성을 습득해 지속시간동안 자신의 마법 데미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엘리멘탈리스트 3랭크까지 가서 메테오 등과 연계해 강력한 딜링을 노리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관련 특성- 퀵캐스트: 마법피해 스킬 [퀵캐스트]가 활성화 되어 있는 동안 마법 피해가 특성 레벨당 10% 증가합니다.

이 마법 피해 특성을 마스터하면 딜이 50% 증가하므로, 다른 스킬들이 대부분 합연산 위주인 트오세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정신나간 OP가 될수밖에 없는 스킬이다. 더 무서운 건 이 정신나간 뎀뻥이 캐스팅시간 감소에 부가적으로 딸려오는 기능이란 점..

2.4 일반 특성

무기 스왑, 천 마스터리, 판금 마스터리를 지니고 있다.
  1. 거기다 14일자 패치로 퀵 캐스트의 지속시간/쿨타임이 같아져서 무한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