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병의 한 종류
- 뇌전증 문서 참조.
예전에 간질이라고 불렸다. 뇌파 발작에 의해 신체의 통제권을 잃어버리는 질병.
2 기생충의 한 종류
간질,거대간질
학명: Fasciola hepatica, Fasciola gigantica
온몸을 간지럽게 하는 기생충이나 질병이 아니다.
2.1 개요
기생충의 하나로 흡충류중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한다.
학명의 hepatica에서 보이듯 양이나 말 같은 동물의 간에 기생한다. 질환인 뇌전증(간질)과는 한자가 肝蛭로 다르므로 헷갈리지 말자. 본래 사람의 기생충은 아니다만 사람에게도 감염되는 사례가 있다.생각보다 기생생활을 잘 하는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그 사례가 극히 적어(논문과 실제 감염사례가 존재한다.) 모르는 사람이 많겠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생각보다 많은 감염사례가 발견된다. 간질이 인체기생충이 아니라는 무지에 이상한 이야기가 나도는데,[1] 생각을 한 번 더 해보고 믿을 걸 믿자.이소기생이 쉬웠으면 다 죽었어 인수공통감염증(Zoonosis, Zoonotic infection)으로 간질증이라고도 한다.
2.2 특징
혐짤주의.[2] 기생충 사진에 대한 면역이 없는 사람에게 대단한 혐짤이므로 클릭 주의. 엄청 크다.[3]
묘하게 자꾸 보게된다
나뭇잎 모양으로 길이가 2~3cm이다. gigantica(거대간질)의 경우 8cm정도 까지 관찰된 사례가 있다. 현재까지는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흡충중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 몸을 구성하는 대부분은 여느 기생충과 같이 당연하게도 생식기다. 주로 간 담도에 기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경로로는 "수생식물"과 "날것의 초식동물 간"을 예로 들고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감염 경로는 확인되고 있지 않다.
2.3 생활사
- ↑ 본래 사람의 기생체로 발견되던 친구들이 아닌지라 종종 길을 잃어 정상 기생부위를 벗어나 다른 장기로 이동해 말썽을 부리곤 하는데, 이와같은 경우를 이소기생(ectopic parasitism)이라 부르고 그러한 기생충을 이소기생충(ectopic parasite)이라고 부른다. 믈론 그런 경우가 없는건 아니다. 그러나 이소기생은 하나의 현상일뿐 모든 기생충들이 본래의 숙주에 기생하지 못할 경우 그 전부가 이런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절대 아니다
- ↑ 다리가 여럿 있거나 하진 않다. 흰색 거머리 또는 간디스토마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 ↑ 아이패드3 세로보기 기준으로 봤을 때 사진 크기가 별로 크진 않다. 가로보기라면 깜짝 놀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