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Healthy Life Years(HLY), Health life expectancy
건강수명 또는 건강기대수명(健康期待壽命)이라고 하며, 일반적인 수명과 달리 건강하게 살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으로서의 수명을 의미한다.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기대수명 - 말년에 건강하지 않은 햇수인 것. 건강수명은 0세의 아기의 평균적 수명인 기대 여명에서 질병과 사고등으로 인해 일찍 죽거나 건강하고 생산적인 삶이 손상된 기간을 빼고 계산한 '건강한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기간'이라는 학술적인 의미를 지닌다. 또 이런 질병이나 사고등 건강위험요소로 건강수명이 줄어드는 정도를 건강수명손실 또는 장애보정생년 [1]이라고 하는데, 이는 질병이나 사고 등 건강수명을 줄이는 손실 요소를 모두 합한 것이다.
즉 건강수명(HLY) = 0세 기대여명 - 건강수명손실(DALY) 이다.
그리고 건강수명손실(DALY) 은 = 수명단축년수 ( years life lost, YLL) + 장애년수 (Years lost due to disability, YLD)
2 상세
동양에서 수즉다욕이라는 말이 오랜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왔는데, 서양에서 웰빙 열풍이 몰아치자 이를 재조명하여 '삶의 질'과 관련지어 정한 개념이 바로 건강수명이다. 건강수명을 저해하는 정도인 건강수명손실은 이런 삶을 질을 위협하는 각종 건강 위험요소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쓰인다.
건강수명손실은 각종 질병이나 사고, 또는 환경오염 등 위험요소나 건강유해요소들그로 인한 생명단축과 그 장애 등으로 인해 건강하고 생산적인 생애를 보내는데 얼마나 오랫동안 그리고 얼마나 심하게 저해가 일어났는지를 기간과 정도를 곱해서 판단하여 계산한다. 또 25세 정도를 중심으로 가중치가 제일 높고, 그보다 어리거나 나이가 들수록 가중치가 낮아 같은 정도로 앓아도 노인이나 아기의 건강수명손실을 적게 계산한다. [2] 환경오염이나 만성병 등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수명단축(YLL) 요소도 포함되고 또 그 병으로 인해 살아있어도 생활이 불편해지고 삶의 질이 저하되는 장애요인(YLD)도 둘다 합쳐서 반영된다. 아무리 선진국이라 해도 비만이나 당뇨 등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당연히 건강수명손실이 크고 건강수명은 낮게 잡히게 된다.
건강수명손실은 말라리아나 암등 특정 질병이나 교통사고나 강력범죄 등 사고요소가 국민건강에 얼마나 해로운지, 국민들에게 얼마나 큰 건강부담을 주고 있는지 정량적으로 비교하는데 쓰이기도 하고, 한 국가의 의료수준이나 복지수준, 환경오염 수준을 평가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의 질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생활의 질의 요소로 쓰이기도 한다. 건강수명손실은 1인당 몇년 식으로 통계를 내거나 10만명당 통계를 내는데 대체로 선진국들은 10만명당 9000년 이하, 한국 등은 16000년 이하, 인도 등은 2만이 넘어간다. 아프리카등은 3만이 넘는 나라가 대부분.
대한민국 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평균 수명이 남자 79세, 여자 85.5세. 그 중 건강수명은 평균 73세로 나와 있다. 또한 이 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은 약 10여년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한다.- ↑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약자로 DALY. 일본에서는 장해조정생명년(障害調整生命年), 중국어로는 실능조정생명년(失能調整生命年)이라고 한다. 즉 장애 때문에 조정된(=줄어든) 생애의 년수라는 뜻으로, 흔히 쓰이는 장애보정수명이란 번역은 건강수명과 혼동하여 정반대로 오해할 가능성이 높아서 건강수명손실이라고 쓰는게 적절하다.
- ↑ 참고로 여기에서 의미하는 질병이란 것은 암이나 교통사고 등의 큰 질병이나 사고에서부터 고혈압이나 고도비만, 정신병, 환경오염 등 으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는 '건강하지 않은 요소'까지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통칭 '선진국병'이 끼치는 악영향까지 전부 고려하는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