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유

1 개요

슈타인즈 게이트에 있어서 "편지", "지하철" 과 함께 3대 트라우마씬의 하나로 꼽히는 이벤트다.

명칭에 약간 혼란이 있는데, 해당 항목은 '게르'마유 라고 서술돼있으나 영어표기나 실 발음은 겔마유에 가깝다. 마찬가지로 젤바나가 아니고 겔바나다. 원래는(…) 그리고 그 이름에 걸맞게 실제 진행스토리와는 약간 거리가 멀고, 덤으로 발생조건이 까다로워서 그냥 스쳐지나가기 쉽다. CG 수집률 100%를 달성했습니다 [1]

그리고 이 이벤트는 시이나 마유리의 이벤트이니만큼 겉으로 보기에는 별로 위험해보이지 않지만, 내용을 알고나면 섬뜩해지기 딱 좋다. 그래서 사람에 따라서 호불호가 매우 갈리는 이벤트다.

그러므로 열람하기 전에 일단 게임을 끝마치던지, 아니면 애니메이션을 끝까지 보던지 한 후에 열람하도록 하자. 스포일러가 다 그렇듯이 일단 보면 감상하던 작품의 재미가 떨어진다. 이렇게 하더라도 꼭 볼 사람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꼭 보실 분에게는 치명적인 스포일러니 주의하라.

2 실상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게임 CG화상으로 나오는 이벤트. 게르시이라고도 불린다.

야나바야시 신사에서 마유리를 이끌고 도망치다가 오카베 린타로는 잠시 마유리를 숨겨두고 길을 찾는다. 그러나 그 몇 분 사이에 마유리는 사라져있고, 어쩔 수 없이 돌아온 오카베에게 키류 모에카로 부터 오카베 군에게 잠시 할 얘기가 있다. 찾아간다는 메일이 온다. 그리고 그 메일의 첨부 파일을 열어보면 나오는 어딘가의 1961년 2월 28일 자 신문기사에는…….

파일:Attachment/게르마유/gelmayu.jpg

SERN의 미완성 타임머신의 실험체가 되어 초반의 녹색 바나나마냥 겔로 변해버려 죽어버린 시이나 마유리의 충격적인 최후가 보인다.
영상보기. 6분부터 나온다.
그림만 보면 별로 잔인해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상황에 의한 정신적인 데미지는 지하철 이상의 트라우마를 유저에게 선사하며 이 씬에서 주인공인 오카베 린타로가 절규하는 것과 동시에 비명을 지른 플레이어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스토리 진행상 필수는 아니라서 모르고 지나갈수도 있는 이벤트지만 문제는 달성률 100%를 노릴 경우. 이 CG를 회수할 수 있는 곳은 게임 시스템상 굉장히 알기 힘든 곳에 있어서(6장 초반, 타임리프 2회차에서 마유리한테 전화해야 할 부분에서 루카한테 전화하면 발생한다. 정말 모르고 지나치기 딱 좋은 조건. 게다가 처음 연락 넣을 수 있는 부분은 스킵해야 한다.) 그냥 플레이하면 거의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기에 이 이벤트로 CG 수집률 100%를 달성하게 되는 피해자가 속출했다. 특히 오리지널인 Xbox 360판과 나중에 이식된 PS3판, PSVita판의 경우는 CG 달성률 100%에 따른 도전과제/트로피가 존재하기 때문에, 멘붕 이벤트와 함께 들려오는 도전과제/트로피의 경쾌한 달성음에 뭐라 말로 형용하기 기분을 느끼게 된다. 따콩~☆ or 띠롱~♪/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악!

이 부분에서 마유리에게 전화를 걸면 바로 지하철 이벤트가 나온다. 공략대로 루카코에게 전화를 걸면 본 이벤트 이후에 자동으로 지하철 이벤트가 등장한다.

파일:Attachment/게르마유/gelmayu ani.jpg

또한 게임판 오프닝에선 이 CG가 자연스럽게 아주 잠깐 지나가며, 애니메이션에서는 반대 분기인 지하철 이벤트로 가버린 것을 참작해서인지 오카베의 루프 회상 중 하나로 단편적으로만 보여주었기 때문에[2] 충격은 비교적 덜하다.

약간 설정 논란이 있는 이벤트이기도 한데, 게르마유가 될 경우 사망 시간은 8월 13일 오후 7시 53분이 아니기 때문. SERN 본부까지 끌려가서 타임 트래블 실험체가 되려면 당연히 최소 며칠은 소요되지만, 어트랙트 필드의 수속에 따르면 마유리는 타임머신을 타기 전에 죽게 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다.

그런데 사실 이것이 세계선 수렴의 구조에 대한 커다란 힌트이자 진엔딩으로 가는 중요 복선이다. 정확히 말해서, 슈타인즈 게이트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소재인 양자역학에서의 '관측'의 문제와 관련된 이벤트다. 어트랙트 필드가 수속되는 오후 7시 53분이라는 시간은 오카베라는 '관측자'가 마유리의 죽음을 관측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실제로 플레이해보면 모에카로부터 메일이 오는 시간이 오후 7시 53분. 다시 말해, 어트랙트 필드에 의해 결정된 운명은 '시이나 마유리가 죽는다'는 것이 아니라 '오카베 린타로가 시이나 마유리의 죽음을 관측한다'는 운명이라는 것. 즉, 설정구멍은 아니다.

오히려 진 엔딩에 대한 중대한 복선이다. 만약 진 엔딩을 봤다면 이게 무슨 소린지 바로 감이 잡힐 거다. 물론 장면 자체의 충격과 이어지는 오카베의 절규 때문에 이걸 눈치채기는 정말 힘들겠지만.

3 관련 항목

  1. 사실 처음 보기 쉬운 엔딩이 스즈하 엔딩인 것과 같은 이유이다. 발생조건이 해당 상황에서 루카에게 전화하기인데 바로 전의 상황을 생각하면 조금만 생각해도 당연히 나오는 결론이지만 "전화하면 된다는 사실 자체를 몰라서" 못보게 된다.
  2. 십수 번의 사망씬(…) 중 하나로 아주 잠깐동안만 나온다.
  3. 단무지양 눈썹을 모두 떼면 겔 상태가 된다는 설정꿈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