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름(한복)

x300pxx300px
매듭을 지었을 때.풀었을 때.

1 개요

옷자락을 여미기 위해 매는 끈. 한복에서 저고리 고름, 치마 고름이란 표현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외고름이 알려져 있다. 천민은 자신 기준 오른쪽으로 고를 만들어야 했다. 형태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고리가 왼쪽을 향하는 반 리본 모양(외고름)이다.[1] 북방계 호복에 근간을 두고 있는 한복은 본래 앞섶을 여미는 허리띠가 있었으나 고려 시대를 기점으로 저고리가 점차 짧아짐에 따라 허리띠 대신 작은 고름을 달기 시작했고, 그것이 점차 크고 넓어져서 조선시대에는 옷깃의 선이 동정으로 변하게 되면서 흔히 알고 있는 조선시대 복식의 형태를 띄게 된다.

옷고름 자체는 북방계 호복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고구려 벽화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단령 형태 복식들은 앞자락에 작은 고름을 달고 있으며, 역시 호복의 영향권에 있는 한푸기모노에도 옷자락을 고정시키기 위해 작은 끈으로 만든 고름이 달려있는 경우가 있다. 모든 한푸나 기모노에 해당하는 사항은 아니나, 중국 웹에서 소개하고 있는 한나라 저고리[2]입는 법을 보면 작은 겉고름과 속고름이 달려있고, 기모노의 경우 남성이 간단한 일상복으로 입는 진베이(甚兵衛) 등에 역시 작은 겉고름과 속고름이 있고, 일부 유카타에도 옷고름이 존재하고 있다. 일본 정창원(正倉院.쇼소인)에서 보관하고 있는 의복 중 한반도 계통 혹은 한반도 복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일부 옷에서도 작은 고름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과, 애초에 옷고름을 고려, 조선 한복의 가장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옷고름 역시 허리띠만큼이나 동아시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넓고 길게 흘러내리는 고름이 겉으로 드러나는 형태는 조선의 한복에서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옷고름이 한복 특유의 멋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치마고름을 저고리 고름처럼 두껍게 만들어 늘어뜨리기도 했는데, 여기에 자수를 놓기도 했다.

2 매는 순서

  1. 겉섶(왼쪽)에 달린 게 긴고름, 앞길(오른쪽)에 달린 게 짧은고름이다.파일:LifhWdS.jpg
  2. 짧은고름이 긴고름 위쪽으로 오도록 교차시킨다.파일:65JGK5Z.jpg
  3. 짧은고름이 긴고름 밑으로 오도록 통과시킨다.파일:GZzKTkl.jpg
  4. 아래쪽으로 나온 긴고름으로 Z자 접기로 고[3]를 만든다.파일:W1lKuqn.jpg
  5. 위의 짧은고름을 아래로 접는다.파일:FY58Yms.jpg
  6. 짧은고름을 안쪽으로 반바퀴 감는다.[4]파일:Ft1IAe6.jpg
  7. 5,6번 순서에서 만든 고리[5]에다 (입은 사람의 기준으로 보았을때)오른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접어 짧은고리를 넣는다.파일:5Jz8NMa.jpg
  8. 긴고름과 짧은고름은 함께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접어 늘어뜨린다.파일:6uYlwYg.jpg

출처

  • 그냥 빼내는 가닥도 고를 만들어 넣으면 쌍고름이 된다. 이건 대대 등 허리띠 종류를 묶을 때에나 사용하는 방식으로, 조선시대 저고리의 고름을 묶을 땐 잘 쓰지 않는다. 조선 이전 한복은 허리띠를 묶는 방식이나 매듭 위치가 자유로웠다.

3 여담

매듭을 짓고 나서 긴고름과 짧은고름의 길이 차이가 1~2cm 정도 나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1. 퓨전한복 같은 경우 형태 면에서 훨씬 자유로운 편이라 리본 매듯이 묶을 수도 있다.
  2. 소매가 좁은 형태 등으로 미루어보아 호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3. 옷고름의 리본같은 개념.
  4. 여기서 2~3번 더 감으면 아주 튼튼한 고름이 된다.
  5. 파일:YYXnQcG.jpg이 사진에서 보이는 원래 고름이 시작한 부분과 매듭의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