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역학

1 개요

각종 하중을 받는 고체의 내적 응답거동을 다루는 응용역학의 한 분야이다.

기계공학과에서는 주로 '고체역학' (Solid Mechanics)라고 부르지만 기계직 기술고시에는 '재료역학'이라는 이름으로 포함되어 있고, 재료공학[1]에서는 주로 '재료역학'(Mechanics of Materials)이라고 부르며, 토목공학과에서는 주로 '응용역학'(Applied Mechanics)이라고 부른다. 세 학과에서 주로 쓰는 교재는 'Gere Mechanics of Materials'[2]이며, 이건 기계과 재료과 토목과 똑같다.

기계과나 토목과에서 필수 선수과목은 정역학이다.[3] 학교나 학과에 따라서 고체역학과 정역학을 한 과목으로 합쳐서 같이 공부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학점도 같이 나온다. 정역학이 고체역학의 1~2단원 같은 느낌이다.

고체물리학과는 차이가 크다. 이 과목은 대개 물리학과(4학년) 과목이며, 재료과에서는 '재료의 전자기적 성질'(3학년)이라고 개설되고, 기계나 토목과에서 배울 일은 사실상 없다. 고체역학이 고전 물리학의 일종이라면 고체물리학은 현대 물리학의 일종이다.

고체역학은 각 학과의 전공과목들의 기초가 된다.

  • 기계 : 기계요소설계, 피로 파괴 역학
  • 재료 : 재료거동학 (재료의 기계적 거동)
  • 토목 : 구조역학, 토질역학, 철근콘크리트 공학

2 내용

  • 응력(stress) : 수직응력, 전단응력, 안전계수
  • 변형률(strain) : 수직변형률, 전단변형률
  • 재료의 성질 : 응력-변형률 선도(stress-strain curve), 피로 파괴, 후크의 법칙(Hooke's Law), 푸아송 비(Poisson's Ratio)
  • 부정정 구조물
  • 열변형, 열응력, 경사면 응력
  • 비틀림 : 비틀림을 받는 원형봉에서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
  • 보 (beam) : 보의 전단력, 보의 굽힘모멘트, 보의 전단력 선도, 보의 굽힘 모멘트 선도
  • 보의 처짐

3 각종 시험에서의 출제

객관식 시험은 이렇다. 7급 9급 시험에는 확실히 차이가 있는데, 7급 시험에는 정정보 해석이 2문제 정도만 나오지만 9급에서는 10문제 가량 나온다.

  • 일반기계기사, 조선기사, 용접기사, 건설설비기계기사 - 재료역학
  • 토목기사 - 응용역학
  • 기술직 7급 공무원 시험 - 응용역학 (토목직)
  • 기술직 9급 공무원 시험 - 응용역학개론 (토목직)

논술형 시험은 이렇다. 같은 5급 기술직이라도 재료역학과 응용역학 사이에는 출제 관점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다. 예를 들어 토목 쪽에서는 가상일이 중요하지만 기계 쪽에서는 안 나온다. 토목에서도 재료역학을 선택할 수 있지만 그것보다는 응용역학+구조역학을 선택하는 쪽을 더 선호한다는 면에서 두 시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 기술직 5급 공무원 시험 - 재료역학 (기계직 필수과목, 토목직 선택과목), 응용역학 (토목직 필수과목)

4 교재

  • Timoshenko / Gere 재료역학 : 1~4판에는 티모셴코의 이름이 나오고, 3판 이후에는 기어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기어는 티모셴코의 제자로 2008년 작고했다.
  • Crandall 고체역학
  • Beer 재료역학
  • Craig 재료역학 : 번역본은 1999년 2판이 나온 것이 전부이고, 품절되었다. 해외에서는 2011년에 3판이 나왔다.
  • Shames Solid mechanics : 번역본 없음.
여담으로, 재료역학 교재는 1990년대 판을 봐도 괜찮다. 학부 수준의 내용이 정립된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고시생들은 다양한 내용을 다루어 유리하다는 이유로 2000년대 후반까지도 Timoshenko/Gere 2판(1980년대)을 보았을 정도다. 헌책을 볼 때는 두 가지를 주의해야 한다. 첫째로는 SI 판이냐 미국 단위계이냐인데, 똑같은 저자 똑같은 판이라도 연습문제가 완전히 달라서 솔루션이 쓸모가 없다. 둘째로 1995년 이전에 나온 책들은 한자가 너무 많아 읽기 힘들 것이니 주의해야 한다.
  1. 신소재공학과로도 부름
  2. 외국에서는 이견 없이 Mechanics of Materials로 학문 이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엄밀히 말하면 재료역학이 맞는 말이겠으나, 재료역학이라고 하면 소재공학과 혹은 재료공학과로 한정되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바꿔부르는 듯 하다.
  3. 재료과의 경우 정역학 없이 그냥 고체역학 앞에 던져 놓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