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Tx

(광랜에서 넘어옴)
  • 이 문서는 광랜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파일:Fttx.png

1 FTTx란?

Fiber To The x 라는 의미로, 광케이블을 어디까지 보내느냐에 따른 여러 기술을 총칭한다.
ISP 나 네트워크 장비 업체등이 수만가지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중이기에 어느게 맞다고 딱히 정해진게 없다. FTTH 와 FTTB 정도가 공통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며, 그외에는 같은 용어 조차 서로 다르게 쓰이는 경우도 있다.

1.1 FTTN

Fiber To The Node
Fiber To The Neighborhood
Fiber To The End node( FTTE )
Fiber To The Enclosure ( FTTE )
FIber To The Zone ( FTTZ )

전신주나, 길가까지 광 케이블이 깔리고 이후 집안까지는 랜선이 들어오는 방식으로 과거 FTTH가 상용화 되기전 KT의 주택 광랜이 이러한 형식을 띄었다. 현재는 FTTH로 교체가 되고 있는중이고, LG유플러스의 주택광랜중 일부가 이 방식을 쓴다.
초창기 LG U+가 FTTH의 대안으로 야심차게 밀었었으나, 전신주가 포화 상태라[1] 몇집건너마다 집주인의 허락을 맡고 건물 옥상이나 뒷편에 장비를 설치해야했기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었고, 다들 KT의 FTTH의 유혹에 빠지는 바람에 사용자도 얼마 되지 않아서 현재는 신규 지역에는 DOCSIS 3.0을 이용한 유사광랜서비스를 하고 있다.... 안될꺼야 아마
만일 자신의 집에 KT FTTH가 들어오지 않는데 LG에서 이 방식을 서비스해준다면 올레만세를 외치자.

그러나 이 방법에도 단점이 있다. 이 방법은 AON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능동소자. 즉 전기를 먹어야하는 집선장치 스위치를 전주단이나 건물옥상, 아니면 도로 인근에 페디스탈을 설치해야함으로 자리를 점용해야하며, 혹은 전신주단에 스위치등의 시설물을 설치했다 하더라도 전기를 먹기때문에 전기요금도 추가로 부담해야한다. 지금은 거의 기피되고 있는 시공방법이다.
한때 KT에서도 이러한 방법으로 서비스를 했으나 비용 문제로 포기했다. 훨씬 저렴하게 구성 가능한 PON방식으로 RN에서 바로 가정집 까지 광케이블을 전달한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1.1.1 FTTdp

Fiber To The distribution point
일반적으로 FTTN 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FTTC 나 FTTB 를 의미하기도 한다.

1.2 FTTC

Fiber To The Curb
Fiber To The Kerb ( FTTK )
Fiber To The Cabinet
Fiber To The Closet

Curb 또는 Cabinet 보러가기 영국의 사업자 BT 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설치한 시설물이다. FTTC 는 이 시설까지 광케이블이 들어가고, 이것으로 부터 각 가정집까지는 구리선으로 연결된다. 한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시설물이 있다. 이 뉴스에 보이는 시설물은 한국 전력에서 설치한 지상용 변전기인데, KT 에 설치한 인터넷용 시설물도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이것을 보통 curb 또는 cabinet 이라고 부른다.

전신주(혹은 빌딩)까지는 광케이블, 전신주나 빌딩에서 집안까지는 랜선, 동축케이블, 전화선을 이용하는것을 뜻하지만 현재는 인터넷 접속서비스의 한종류로 봐도 무방하다. FTTH가 대중화되기전까지 쓰인 기술로서, 기존 ADSL이나 VDSL이 전화선의 한계로 인하여 거리의 제한을 받는것을 탈피하고자 나온 서비스이다.
이 FTTC방식을 이용하여 ADSL이나 VDSL을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다. 초창기 SK브로드밴드의 ADSL이나, 현재 KT에서 서비스하는 IP-VDSL이 그경우.

랜선을 이용한 FTTC방식은 HFC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유사광랜과는 달리 상/하향 최대속도 100Mbps를 보장함으로서 업체측에서는 설치비를 아낄수 있고, 이용자는 높은속도를 맛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류에 따라서는 FTTB와 FTTN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1.3 FTTB

Fiber To The building
Fiber To The Office ( FTTO )

건물까지만 광케이블이 들어가고 이후 각각의 집안에는 랜선으로 연결하는경우로서, 아파트에서 서비스되는 광랜이 이경우에 속한다. 주로 아파트에선 관리사무소까지 광케이블이고 관리사무소부터 세대까지는 cat.5 혹은 cat.3 랜선이다.[2]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KT의 QOOK 인터넷같은 메이저 인터넷 업체들 모두 이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케이블에서는 해당 방식을 V-LAN이라고도 한다.

랜선 자체가 없는 오래된 아파트(주로 2000년이 되기 전에 지어진 아파트)에서도 서비스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아파트 외벽 구석진 곳으로 랜선이 마구마구 타고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3] 간혹 아파트 각 동의 옥상으로 광랜이 들어가고 옥상에서 집으로 랜선을 내려서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역시나 미관상 좋지는 않지만... 미관 때문에 아파트값 떨어진다는 이유로 아파트 동대표회의 등에서 불허하는 경우도 있는데, 별로 많지는 않다. 그 정도로 오래된 아파트라면 미관 자체가 2000년대 이후에 준공된 건물에 비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의외로 큰 영향이 없고[4], 오히려 100Mbps급 초고속 인터넷이 안 된다는 이유로 기피대상이 되서 집값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1.4 FTTH

Fiber To The Home
모든 가정집 까지 광케이블을 보내는 것으로, FTTx 의 일반적인 최종 목표이다.
FTTH 항목 참조

1.5 FTTD

Fiber To The Desktop PC
이론적인 최종 단계로, PC 에 아예 광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드를 장착하고 PC 까지 광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각 가정에는 스마트폰 등을 위한 유무선 공유기의 연결이 필수적이기에 이 단계까지 갈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 먼 미래에서나 가능한 이야기인데 즉, 유무선 공유기WAN포트를 랜선 뿐만 아니라 광섬유 케이블을 꽂아도 통신이 되게끔 하면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시기상조라는 얘기다.

2 관련 문서

  1. KT는 통신 전용 전신주를 가지고 있지만, LG는 한전 전신주를 공유한다.
  2. 정보통신인증등급 1등급과 2등급이 이에 해당하고 특등급은 세대 현관(혹은 주방)의 단자함까지 광케이블이기 때문에 특등급은 FTTH이다.
  3. 이 경우에서는 공동주택에서 극혐기피하는 방법으로, 웬만하면 구내배선을 이용하여 서비스하길 원하지만, 구내배선의 썩은상태의 기포설된 전화선(2Pair)를 이용하여 서비스한다 가정하면, VDSL이나 개선된 FTTH-G.hn밖에 답이 안나온다는 단점이 있다
  4. 이런 아파트라면 에어컨 설치에 대비한 시설도 없기 때문에 외벽에 주렁주렁 에어컨 실외기를 달고 있는 경우도 많으며 베란다에 위성TV 안테나 접시를 달고 있는 경우도 많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