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구형왕릉

(구형왕릉에서 넘어옴)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구형왕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628266.jpg

1 개요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제10대 구형왕왕릉으로 전해지는 무덤. 전해지는 무덤이므로 전(傳) 자가 앞에 붙어서 전구형왕릉이다.

2 상세

앞에 보이는 비석과 석물은 비교적 최근에 중건(?)한 것이다.

현재 구형왕의 능으로 전하는 무덤은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산16번지에 위치해 있다. 1971년 2월 9일부로 사적 제214호으로 지정되었다. 일반 무덤과는 달리 경사진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높이 7.15m의 기단식 석단으로 이루어 져있다. 총 7층으로 이루어 져있으며 무덤 정상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이 돌무덤에 대해서도 석탑이라는 설과 왕릉이라는 설 2가지가 있다. 석탑이라는 이유는 안동시의성군 지방에 이와 유사한 모양의 석탑들이 산재되어 있기 때문. 반면 왕릉이라고 보는 이유는 《동국여지승람》의 산음현 산천조에 기록때문이다.

현의 40리 산중에 돌로 쌓은 구릉이 있는데 4면에 모두 층이 있고 세간에는 왕릉이라 전한다.

ㅡ《동국여지승람》권 31, 산음현(山陰縣) 산천조(山川條)

그리고 조선시대 문인이었던 홍의영(洪儀泳,1750∼1815)의 《왕산심릉기(王山尋陵記)》에 다음과 같은 글이 남아있다.

무덤 서쪽에 왕산사라는 절이 있는데, 절에 전해오는 《왕산사기(王山寺記)》에 구형왕릉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왕산사기를 발견한 내용이 기록 되어있는데

약 200년전 산청군 유생 민경원이 산에 올라 기우재를 지내고 내려오다가 비가 내려 왕산사에서 비를 피하던 도중 왕산사 법당 들보 위에 있는 목궤를 발견하였는데 왕산사에서 구형왕릉의 내력을 적은 산사기(山寺記)를 발견하고, 구형왕과 왕비의 옷과 칼, 그리고 영정까지 찾아냈다. 이에 정조 17년인 1793년에 덕양전을 짓고 이후 봄 가을로 추모제를 지낸다.

ㅡ《왕산심릉기(王山尋陵記)》

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정확한 기록이 없는 만큼 아직도 왕릉인지 석탑인지에 대해 불분명하다. 대부분의 기록이 금관국이 멸망한지 천년이 넘어가는 조선시대 기록인데다 ~라 카더라라는 기록들이라 신뢰도가 낮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곳의 정싱 명칭도 "구형왕릉으로 전해진다." 라는 명칭인 전구형왕릉(傳仇衡王陵)이다.

《산청현유지》라는 책에는 정조 22년(1798년)에 처음으로 왕릉이 나타났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왕산심릉기(王山尋陵記)》에 "왕릉이 처음 나타났다"라는 기록을 필자가 잘못이해하고 기입했기 때문이다.

이후 신라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1]를 통해 중앙 석실에서 사리함이 발견되었다.

2.1 왕릉부정론

냉정하게 바라보았을 시에 이 석조구조물이 구형왕릉일 확률은 극히 낮은 편이라는 주장이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권덕영 교수가 "대구사학 86집"에 투고한 논문에도 "구형왕릉은 <만들어진 역사>의 전형이다. 불탑임이 명백한 이 석축구조물이 처음으로 문자화 해서 나타난 것은 조선초기 지리지 《동국여지승람》이다. 여기서 이 지역의 전승임을 전제로 "왕릉이라 한다"고 기록했다."라고 밝힌 것이 대표적. 불탑으로 세워졌다가 신라 왕릉으로 알려지고, 이후 다시 구형왕릉으로 변해 갔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조선초기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이전엔 구형왕릉이라는 언급자체가 없었다. 그리고 조선후기 《증보문헌비고》에 와서 민간 전승을 인용하면서 "신라왕릉"이라고 했었고, 1798년에 구형왕릉이라는 것을 증명한다는 사중기(寺中記)[2]인 《왕산사기(王山寺記)》가 등장하고, 1964년 김정호가 편천한 《대동지지》에 와서는 "왕산사는 가야 구형왕의 수정궁터이며 그옆의 무덤은 구형왕릉"으로 표기가 되었다.

위에 언급된 신라대학교 박물관의 조사에 의해서도 왕릉과 같은 고분일 가능성은 아주 적다고 밝혔고 2007년에 조사한 경남문화재연구원에서 가야 수정궁터라고 기록된 왕산사터를 발굴했지만 조선 중기 형식의 물품들만 발견되었다. 구형왕릉,加耶(가야)역사 입증할 유물 출토 안돼

그리고 구형왕릉의 내역이 기록되었다고 하는 《왕산사기》의 존재 여부도 불투명하지만 이것이 실존했다 한들 조선 효종대에 호란으로 인해 폐허가된 왕산사를 중수 한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에 왕산사기는 아무리 빨라도 효종의 재건 당시 지어졌음을 추측할수 있다. 그때문에 기록의 사실성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판단 되는 것.

이또한 하나의 설이기 때문에거의 확실한 가설이지만 좀더 자세한 조사등을 통해 밝혀지기 전까진 논란이 일것 같다.

구형왕은 경주 북쪽 기계현에 살았다는데 그곳은 포항 기계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왕릉이 굳이 산청에 있을 개연성이 없다.

  1. 발굴조사는 아니었다.
  2. 절에 내려오는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