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염

천랑열전에 등장하는 설정상의 인물.[1]

대장군, 대막리지를 연임했다는 언급과, 고구려 멸망전을 다룬 작품의 시기상으로 보아 대부분의 독자들은 연개소문으로 확실시하고 있으며, 규염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살펴 봐도 역시 연개소문과의 연관성이 어느 정도 드러나고 있다.[2] 극중에서 이 인물의 정체가 연개소문이라고 딱 잘라 말한 적은 없긴 하지만 애장판의 작가 말에서는 규염전의 규염은 연개소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그에 맞춰서 캐릭터를 넣었다고 밝혔다. 사실상 연개소문 확정인 셈.

연오랑의 아버지도 아니건만 생김새는 연오랑과 매우 똑같이 생겼으며,[3] 파군성, 결마로, 연오랑이라는 작중 최강자들의 스승이다. 작중 진행상황때는 이미 사망한 인물로, 모든 사건의 계기가 된 명부첩과 뒤바뀐 파군성에게 전하는 편지를 연오랑에게 주었다.

젊은 시절 정노인, 천산검녀와 함께 태원삼협이라는 파티로 중원무림의 전설로 남았지만 끝내 와해된 과거가 있다. 천산검녀나 규염은 서로를 짝사랑 하는 사이였지만 둘은 절대 겉으로 내색하지 않았고, 우연히 방문한 모용세가에서 아기인 모용비를 보고 그가 천랑의 재능을 가졌음을 간파하고, 조국으로 돌아가 천랑의 재능을 가진 자를 찾는 한편 자신의 후인을 남기기 위해 고구려로 돌아가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당시 그를 사랑하던 천산검녀나 젊은 시절의 정 노인은 당연히 반대하였으나 규염은 끝내 고구려로 돌아가고 만다. 이 후 천산검녀는 마음의 문을 닫고 천산으로 은둔해버리고, 천산검녀를 짝사랑했던 정 노인 또한 태원삼협을 떠나 수나라의 대장군이 된다. 작 중 시점에서 정노인은 이때 혈기왕성한 자신들의 솔직하지 못한 감정과 치기가 아쉽다고 회환한다.

사신무를 창조했다면서, 어째서 머리가 흰색이 아니건만 했지만,[4] 후속작인 나우(만화)에서 파멸진을 순화해서 만든것이 사신무의 최종기인 무진이라 밝혀졌다. 결국 사신무를 만든자는 규염이고, 완성시킨자는 연오랑이라는 이야기.
  1. 작중 등장한 적이 있으나 대부분 회상씬이며 이마저도 비중은 거의 없다.
  2. 당대의 저서 중에 연개소문의 중원에서의 방랑기를 모티브로 쓰여진 규염전이라는 저서가 있으며, 여기서 주인공인 규염은 당연히 연개소문이다.
  3. 동명의 게임에서 얼굴및 전신의 모습이 나온다. 원작에서는 얼굴에 명암효과를 집어넣어 생김새를 알수 없다.
  4. 머리카락은 붉은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