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 | ||||
morning glory | 이명 : 견우화(牽牛花),구이초(狗耳草) | |||
Pharbitis nil | ||||
분류 | ||||
계 | 식물계 | |||
문 | 현화식물문 (Anthophyta) | |||
강 |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 |||
목 | 통꽃식물목(Tubiflorales) | |||
과 | 메꽃과(Convolvulaceae) | |||
속 | Pharbitis | |||
종 | 나팔꽃 |
Morning Glory
朝顔(あさがお)
[1]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메꽃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2][3]로서 주변의 물체에 지지하여 자라는 덩굴식물이다. 기원지는 인도이다.
관상용으로 심지만 길가나 빈터에 야생하기도 한다. 줄기는 덩굴지고 왼편으로 감기며 키는 2m에 달한다. 잎은 어긋매껴나고 잎자루는 길며 일반적으로 심장 모양인데 세 갈래로 깊이 갈라져 있다. 여름에 남자색 또는 백색, 홍색 등의 나팔 모양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아침 일찍이 피었다가 낮에는 오므라들어 시든다. 열매는 둥근 삭과이며 속은 3방으로 나누어졌고 각 방에 보통 2개의 씨가 들어 있다.
관상용으로 각지에 재배한다. 씨는 동양의학에서 견우자라 하여 약용하는데, 푸르거나 붉은 나팔꽃의 종자를 흑축(黑丑), 흰 나팔꽃의 종자를 백축(白丑)이라고 한다. 대소변을 통하게 하고, 부종·적취(積聚:오랜 체증으로 말미암아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요통에 효과가 있다. 흑축의 효과가 백축보다 빠르다. 다만 강한 독성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민간에서는 나팔꽃에 잎이 많이 붙어 있을 때 뿌리에서 20㎝ 정도 잘라서 말려 두었다가 동상에 걸렸을 때 이것을 달인 물로 환부를 찜질한다. 잘 알려진 꽃말은 ‘결속·허무한 사랑’이며, 일본에서의 꽃말은 '애정으로 맺어진 인연(愛情の絆)' 등으로 알려져있다.
공해, 특히 산성비에 약한 특성 때문에 환경오염의 지표로도 사용되며, 많은 품종이 있는데 그 가운데 유명한 것은 꽃의 지름이 20㎝를 넘는 대륜나팔꽃이라든가 지금은 아예 야생으로 자라는 둥근잎나팔꽃 등이 있다.
꽃말은 "일편단심 사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