納哈出(납합출)
(?~1388)
무칼리의 후예로 그의 집안은 요동 지방의 군사적 책임을 대대로 맡아왔다. 원나라가 멸망하고 막북으로 후퇴하던 시점에서 심양을 근거지로 스스로 행성승상(行省丞相)이라 칭하며 만주 지방에 세력을 뻗쳤다.
그는 북원의 아유르시리다르와 함께 협력하여 명나라를 압박하는가 하면 만주지방 비롯해 한반도 북부 전역까지 야심을 드러냈는데 1362년 2월 고려의 역신 조소생(趙小生)과 탁도경의 잔당과 함께 수 만의 병력을 이끌고 동북면 쌍성[1]을 공격하였다. 이에 고려 조정에서는 이성계를 동북면병마사로 임명하였다.
이들은 이성계가 이끄는 고려군에게 함흥평야의 대회전에서 참패하여 조소생, 탁도경의 잔당을 완벽히 뿌리뽑았으며 나하추의 한반도 진출도 좌절시켰다. 나하추는 이때의 전투에서 이성계에게 크게 감명받아 그는 공민왕과 이성계에게 예물을 보내며 화친을 맺었다. 고려에서는 그에게 정1품의 벼슬인 삼중대광사도를 주었다.
이후 나하추는 요하를 엿보면서 세력 확장을 꾀하였으나 중원에서 새롭게 발흥한 명나라의 주원장은 풍승과 남옥에게 20만 군사를 출병시켜 나하추의 근거지인 금산을 점령하였다. 이때 나하추는 하늘을 보며 탄식하며 말하기를, “하늘이 나에게 이 무리를 거느리지 못하게 하는구나”라고 하였다. 그가 명나라에 항복하자 그의 군사 약 20만명이 투항하였고[2], 해서후(海西侯)에 봉해져 운남정벌에 나섰다가 병으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