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벙커(게임)


The Bunker
300px
개발Splendy Interactive
Wales Interactive
배급Green Man Gaming Publishing
출시일2016년 9월 20일
장르어드벤처, 인디, FMV, 인터랙티브 무비
홈페이지스팀 페이지
트레일러유튜브

1 개요

'Her Story' fans have something to get excited about.

(허 스토리 팬들을 만족시킬만한 작품) - GAMEMOB.COM

Splendy Interactive, Wales Interactive에서 개발, 2016년 9월 20일에 출시한 FMV 형식의 인디 게임이다.

핵전쟁 이후 벙커 안에서 살게 된 남자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게임은 모두 실제 영국에 존재하는 벙커에서 실제 배우들이 촬영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영어만 지원하며 한글패치는 없다.

2 등장인물

  • 존(John)
파일:Thebunker1.png

이 게임의 주인공으로, 1986년 7월 3일 생. 원래는 벙커 내에서 거주하던 정부 및 군 관계자들과 같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원인모를 이유로 관계자들이 사라진 현재 시점의 벙커에는 늙은 어머니와 같이 거주하고 있다. 그렇게 지내던 와중, 어머니가 죽고 벙커 시설에 이런저런 문제가 생기면서 난생 처음 방 밖을 나가게 되는데...

영화 호빗 시리즈에 나오는 오리를 연기한 아담 브라운이 맡았다.#

  • 마가렛(Margaret)
파일:CWYJtcPW4AEtpqk.thebunkerMargaret.jpg

주인공인 존의 어머니로, 과거에는 벙커 의무실 간호사로서 일하고 있었다. 원인 모를 이유로 관계자들이 사라진 이후, 아들과 같이 벙커에서 계속 거주하고 있었으나, 노환으로 죽었다. 이 사람이 죽음으로 인해 이 게임의 서막이 오른다.

  • 비숍 사령관(Commissioner Bishop)
파일:Thebunker3.png

영국군 육군 소속 장교로, 과거 시점의 핵 벙커 책임자이다. 괴팍하지만 감투정신이 투철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 조지 하트 박사(Doc. George Hart)

벙커 의무실 소속 의사이다.

3 스토리

게임은 1986년 7월 3일 영국 비밀 핵 벙커에서 시작된다. 주인공을 임신하고 있던 어머니는 벙커 안에서 아들 존(John)을 낳고, 당시 시점에서 벙커에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 등 58명이 있었다가 주인공이 태어나면서 59명이 벙커에 있었다. 30년 뒤 현 시점에서는 원인모를 이유로 어머니와 주인공 둘만이 남아있었으나, 어머니는 결국 자연사한다. 홀로 남은 주인공은 규칙을 지키면서 벙커 안에서 살던 중, 벙커 시설에 문제가 생기자 수리하려는 것을 시작으로 벙커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며칠 뒤, 존은 시스템 에러를 맞이하게 된다. 이를 수리하기 위해 존은 자신이 사는 level 1 구역을 벗어나 더 깊숙한 level 2 구역을 찾아가 전원의 퓨즈를 교체하게 된다.

퓨즈를 교체한 후, 존은 환기 시스템이 에러가 나 있다는 사실을 통보받고, 이를 수리하기 위해 level 4 구역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환기 밸브를 돌리는 마지막 과정에서 사다리에서 굴러 떨어지는 바람에, 존은 왼팔이 부러져 뼈가 밖으로 드러나는 외상을 입는다.

통증을 견디며 보건실로 돌아와 간신히 뼈를 맞추고 부목을 대자, 아까 미처 돌리지 못한 밸브 때문에 환기 시스템이 손상된다는 경보가 벙커 전체에 울려퍼지기 시작한다. 방사능 수치가 치솟기 시작하며, 존은 팔이 부러진 상태에서 아무 장비도 없이 벙커에서 탈출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한다.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존이 어렸을 적의 회상들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1. 벙커의 책임자인 비숍 사령관은 물류 책임자였던 샘(Sam)과 앞으로 버틸 수 있는 날짜에 대한 보고를 받았는데, 벙커에 비축된 물자로는 59명 전원이 최대 14개월까지밖에 버티지 못한다는 보고를 받았다. 이 둘이 이에 대해 이야기하며, 사람들에게는 비밀로 하기로 논의한 것을 옆에서 존이 우연히 듣는다.
2. 벙커에서 지속적으로 원인 불명의 사망자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비숍 사령관은 조지 하트 박사에게 원인을 알아내라고 지시하지만 박사는 방사능 오염도 아니고, 식량이나 물이 원인도 아니고 자신도 원인을 모르겠다고 하며, 누군가가 꾸미고 있는 일이 아닌가 의문을 제시하지만 비숍 사령관은 누군가가 꾸미는 일이라는 박사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3. 벙커 내 사람들을 안심시키려는 비숍 사령관의 연설에, 존의 어머니가 지표 상 방사능이 사라지려면 몇 년이 걸리는지 질문한다. 대답은 최소 20~30년이라는 것이었다. 이를 듣고 우울해하는 존을 어머니가 달랜다.
4. 아마 대다수의 사람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간대에서, 주인공 존과 어머니는 도끼를 들고 방화복을 쓴 누군가에게 계속해서 쫒기고있다. 그의 정체는 바로 벙커 책임자였던 비숍 사령관. 둘은 계속 도망쳤지만 최후의 순간에 맞닥뜨리게 되고, 비숍 사령관은 존을 땅바닥에 패대기친 뒤 마가렛(존의 어머니)의 목을 졸라 살해하려다가, 존이 기지를 발휘해 그가 떨어뜨렸던 권총을 집어들어 죽이게 된다. 마가렛은 존을 껴앉고 이제 괜찮다며 다독이며, 비숍의 시체를 시체 보관소에 옮긴다.
5. 4번의 회상 상황이 벌어지기 직전의 시간대이다. 비숍 사령관은 컴퓨터를 보고있으며, 컴퓨터에서는 환기 시스템에 에러가 났다고 표시된다. 비숍 사령관을 제외한 벙커 사람들이 죽어나가기 시작한다. 비숍 사령관은 의미심장한 표정으로 이 상황들을 CCTV를 통해 살피는데, 어째서인지 존과 그의 어머니만이 안전한 장소에 멀쩡히 대피해 있었다. 이것을 보고 비숍 사령관은 "이런 조그만 쥐새끼들"이라면서 도끼를 들고 그 둘을 죽이려고 찾아간다.

여기까지만 보면 플레이어로 하여금 '비숍 사령관이 식량이 부족하자 자신만 식량을 독차지 하기 위해 나머지 사람들을 다 죽이려는 계획을 세우고, 지금까지 모종의 방법으로 한명 한명 독살하다가 결국 최후의 순간 환기구 시스템을 조작해 공기를 빼내어 사람들을 죽였지만 이를 존의 어머니가 눈치채어 존과 마가렛만 미리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 있다'는 것처럼 생각하게 만든다.[1] 하지만 게임이 진행되어 회상 장면이 계속 나올수록 내용은 반전에 치닫게 된다.

주인공 존은 벙커를 탈출하기 위해서 비숍이 가지고 있던 키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시체 보관소에 찾아간다. 시체 보관소에서는 죽었던 수많은 벙커 사람들이 있었으며 존은 이 벙커 사람들을 보고 두려움과 트라우마에 떤다. 이후 아예 해골만 남은 비숍의 시체를 발견하고 비숍의 시체 바지에 걸려있던 키를 주운 뒤 환풍기를 통해 이동한다.

환풍기를 통해 나온 존은 뜨거운 파이프를 보게되는데, 이 파이프를 보자 또다시 회상이 시작된다.

6. 5번의 회상 상황이 벌어지기 직전의 시간대이다. 마가렛은 존에게 어떤 약물을 준 뒤, 뜨거운 파이프 위에다 약물의 뚜껑을 딴 채 이것을 올려놓고 최대한 빨리 돌아오라고 지시한다. 아무것도 모르는 존은 어머니가 시키는 대로 하였는데, 이 약물에 열이 가해지자 안에서 독가스가 나오기 시작하였고, 이 가스는 환기구를 타고 벙커 전체로 흘러들어가 벙커 사람들을 죽였다. 반면 존과 마가렛은 안전한 장소에서 멀쩡히 대피해있었다.

즉 벙커 사람들을 죽인 범인은 마가렛이였다. 비숍은 오히려 마가렛의 만행을 알아차리고 복수를 위해 죽이려고 달려갔던 것. 회상 장면의 흐름을 일부러 역순으로 구성해 비숍이 흑막이라고 생각하게 만들고 가장 마지막 순간에 반전을 플레이어들에게 때려버린다.

이후 엔딩 부근에서 더 자세한 내막이 밝혀진다. 바숍 사령관과 샘이 앞으로 식량이 얼마 안 남았다는 것을 얘기하고 있을 때(1번 회상) 존과 마찬가지로 마가렛도 이를 몰래 듣고 있었으며, 자신과 자신의 아들만 살려 그 식량을 독차지 하기 위해 벙커 내에서 간호사로서 근무하던 존의 어머니는 독약을 제조해 벙커 직원 사람들에게 투여해 몰래 한명씩 한명씩 죽임과 동시에 독에 대한 반응을 봄으로써 독의 필요한 용량을 파악했고, 최후의 수단으로 전부 전멸 시키기 위해 아예 가스로 사람들을 죽여버린 것이다. 하지만 비숍 사령관만이 생존하여 둘에게 복수를 가하려 했으나 결국 존이 비숍을 총쏴 죽여 존과 마가렛만이 벙커와 식량 모두를 독점하게 된 것.

존은 심각한 죄책감에 시달리며, 탈출을 향해 가면서도 트라우마로 인해 계속 죽은 벙커 사람들의 환영을 보게 된다. 그리고 벙커의 탈출구 앞에 서자 어머니의 환영이 나타나 주인공을 붙잡고, 그에게 벙커에 있으면 안전하다고 속삭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벙커에서 머물지 떠날지 선택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엔딩이 갈린다.

  • 머문다(Stay)
주인공은 벙커 문을 열지 못하고 그대로 머물게 된다. 어머니의 환영은 착한 아이(Good boy)라고 말하고, 주인공은 눈의 초점이 흐려진 채 서있는다. 그리고 카메라 시점으로 벙커 바깥을 비춰주는데... 거기에는 풀과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나있었다.
  • 떠난다(Leave)
주인공은 어머니의 환영을 뿌리치고 벙커 문을 연다. 그리고 벙커 바깥으로 나와 무성하게 자란 풀을 밟고, 생애 처음으로 바깥에서 숨을 쉬면서 끝난다.[2]

4 평가

스팀 페이지 대부분의 반응은 호평. 메타크리틱 점수는 64점이다.

전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영상미와 연출을 칭찬하며, 게임적인 요소로 관여하고 살펴볼 수 있는 요소를 두었음에도,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그래픽과 부드러운 느낌을 좋은 점으로 꼽았다. 특히 일부러 회상을 역순구성으로 배치하여 마치 영화 메멘토처럼 점점 거꾸로 가다 가장 마지막 장면에서 반전을 일으키는 연출 배치도 호평받고 있다.

부정적인 시선을 내린 사람들 또한 영상미와 연출은 매우 칭찬하였으나, 그다지 공포스럽지도 않고[3], 과도하게 같은 회상씬을 반복시키며 다소 긴장감이 풀어졌으며, 되씹어 보았을 때에 실제로는 그다지 신선하지 않은 스토리였을 뿐이라고 하였다. 1시간 20분 짜리의, 버튼 퀵타임 이벤트가 들어간 짧은 영화라는 것. 2만 원을 내고 하기에는 너무 비싸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1. 물론 눈치가 빠른 사람은 5번 회상부터 진상을 눈치채는 경우도 있다. 애시당초 그의 계획을 어떻게 미리 알았으며, 만약에 알고 있었다면 왜 다른 사람들도 같이 대피하지 않았는 지가 설명이 안 되므로.
  2. 외부 방사능 수치가 80 정도이므로 사람이 못 살 환경은 아니다. 물론 그렇다고 안전하다는 건 아니지만 치명적이진 않은 수준. 벙커 내부에 있는 심각한 방사능 수치는 내부에 있는 핵분열장치 등의 기계를 돌릴 때 나오는 방사능이고 실제로 바깥은 어느 정도 안전하다.
  3. 사실 공식적인 장르는 공포 게임이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심리적 호러' 게임이다. 오히려 귀신이 갑툭튀 하는 기존의 호러 게임들에 질렸다 하는 사람은 이런 인간의 트라우마나 직접적인 초자연적 존재가 나오진 않지만 왠지 모를 공포감, 폐쇄공포 같은 것들을 다룬 심리적 호러 묘사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