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관

로마 제국의 관직. 딕타토르(Dictator)의 번역어. 당연하다면 당연하달까, 영어에서 독재자를 뜻하는 '딕테이터'와 스펠링이 같다.

국가 비상시에만 선출되는 임시 관직으로, 집정관과는 달리 단 1명만 선출되며 보통 임기는 6개월이었고, 그 1명에게 국가의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는 권력이 주어진다. 의외로 임시관직 치고는 자주 임명된 관직인데, 이는 고대 로마의 공화정 초기에 있었던 정국 난맥 때문이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평시의 로마는 집정관이 2명, 원로원도 있고 평민 의회도 존재하며, 호민관도 있으며 두 집정관이 이를 모두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어떤 정책을 결정할 때 시간이 걸리는 일이 많고, 종종 귀족과 평민이 싸움이 붙는 등 세력간 이익이 대립되는 문제가 걸리면 장기간 파행을 거듭하는 사태가 잦았다. 이런 상황에서 외적의 침공이나 국내의 반란같은 큰 일이 발생하면 빠른 조치가 필수적이므로 이런 상황에 한해 독재관을 임명하게 되는 일이 많았던 것이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위기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꼼수인 데다가, 독재관 임기를 넘긴 다음 퇴임한 독재관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고, 독재관 임기 중에도 제사나 신탁 등등의 방법을 사용해서[1] 무능하다고 생각된 독재관을 사실상 해임할 수 있으며, 독재관 스스로도 다른 건 손대지 않고 자신이 맡은 문제에만 집중하는 게 당연하게 여겨졌으며 이후에는 임기가 얼마나 남았던지간에 곧바로 물러나는 것이 존경과 칭찬을 받고, 빠르게 일을 처리했다는 업적으로 기록되므로 실제로 독재관으로 선출된 사례들은 많지만 독재관이 장기집권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로마가 강성해지고 영역도 넓어지면서 6개월 가지고는 도저히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기에 공화정 말기에 가면 독재관의 임기는 1년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독재관이라는 명칭 이면에 숨겨진 내용인 합법적으로 독재정치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챈 술라임기 제한을 없앤 종신 독재관으로 취임하였다. 물론 술라는 공화정을 회복하겠다는 이상이 있어서 독재관에서 자기 할 일만 한 후에는 물러났지만 이미 독재관이 독재정치로 가는 길목을 닦아놓았다. 그래서 나중에 율리우스 카이사르도 술라를 본 떠 종신 독재관에 취임했다. 하지만 카이사르가 암살 당한 것 때문인지 아우구스투스는 독재관에 취임하지 않고 대신 애매한 황제. 소위 제1시민 지위를 만들게 된다.

황제가 생긴 뒤에는 사실상 황제가 독재관 이상의 전제권력을 휘두르게 되다 보니 독재관은 존재할 필요가 없어져서 없어지게 된다.
  1. 로마 제국에서도 종교의 영향력이 약하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로마 제국은 종교를 믿는다기보다 이용했다. 루시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의 '종교란 평민에게는 진실로, 현인에게는 거짓으로, 통치자에게는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말이 이 사실을 잘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