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어

Latviešu valoda.

라트비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한다. 화자는 150만 정도.[1] 리투아니아어와는 아주 밀접한 관계이지만 서로 말이 통하지는 않는다고 하며 리투아니아어보단 옛 형태를 덜 가지고 있고 난이도도 리투아니아어보다는 쉽다고 한다. 독일의 영향력이 짙은 동네인지라 옛날엔 독일어 알파벳과 비슷한 형태의 정서법을 사용했으나 지금은 실제 발음을 보다 잘 반영하는 정서법을 쓰고 있다. 한편 o(uo처럼 읽는다)를 제외한 모음은 장단이 있는데 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고 한다.

현재 정서법은 1908년에 제정되었다. ā, ē, ī처럼 작대기가 붙은 모음은 길게 읽고, č, ģ, ķ처럼 뭔가 붙은 자음은 구개음화된 발음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s는 /s/, š는 /ʃ/ 같은 식으로) 거의 써진 대로 읽지만 e의 경우 /e/처럼 읽는 경우도 있고 /æ/처럼 읽는 경우도 있다. v는 단어 끝이나 자음 앞에서 u처럼 발음된다.

남성 명사는 무조건 s로 끝나야 하고 여성 명사는 무조건 e나 a로 끝나야 한다는 법칙이 있다. 이는 인명도 마찬가지여서, 반기문은 Pans Kimuns, 조지 W. 부시(George W. Bush)는 Džordžs V. Bušs,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은 Hilarija Klintone라고 한다.

사용자 수가 적은 언어인데 비해 배우는 사람은 비교적 많다. 라트비아에 살고있는 러시아인들은 주로 모어로 러시아어를 쓴다. 그런데 소련시절에는 러시아어만 써도 라트비아에서 살아가는데 큰 지장이 없었지만[2] 라트비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 라트비아어 실력이 후달리는 러시아인들에게 시민권을 일부러 부여하지않는 등 불이익을 주기때문에 라트비아어를 배우는 사람이 많은 것[3]

들어보기

라트비아의 국가〈Dievs, sveti Latviju〉. 뜻은 God, Bless Latvia! 이다.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라트비아어 더빙판 <Mīla mums spārnus dos>.



라트비아의 성가 Pūt vējiņi(바람아 불어라). 라트비아 항목대로 이 나라에는 현대 성가 작곡가들이 많다.

  1. 러시아, 독일, 미국 등지에서도 소수의 화자가 존재해 있다.
  2. 다만 라트비아어 교육도 시행되기는 했다.
  3. 이런 사정은 에스토니아도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