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시가드

이 문서는 래쉬가드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여성용 래쉬가드 상의

1 개요

Rash guard / Rash vest / Rashie

수상스포츠를 위한 기능성 의복. 스판덱스(spandex)와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을 혼합하여 만든다. 래쉬가드라는 명칭은 찰과상, 또는 햇볕에 의한 화상에 따른 발진(rash) 등을 막는다(guard)는 뜻. 래쉬가드 자체만 입거나, 다른 옷 아래 속옷처럼 받쳐 입는다. 그 자체로 보온 및 햇볕 차단 효과가 있어 스쿠버 다이빙이나 스노클링, 서핑, 웨이크보딩 몸매 보정 등을 할 때 즐겨 쓰인다. 특히 파도가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을 막아주고 해파리의 공격도 일부 막을 수 있어 서퍼들에게 애용되는 모양. 상의가 보편적이나 하의 또한 존재한다.

종합격투기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복장으로 몸에서 이격 될 수 있는 일반 티보다 선호된다. 맨몸으로 하기에는 사람들에게 부담이고 일반 옷은 방해가 되니 몸에 딱 붙는 래쉬가드를 선호하게 된다. 또한 브라질리안 주짓수에서도 도복 없이 하는 노기 주짓수에서도 사용된다. 이는 주짓떼로들이 서핑도 같이 즐기는 이들이 많았고 서핑에 쓰는 복장을 그대로 주짓수에 쓰게되면서 주짓수, 종합격투기 용품으로 자리잡았다. 종합격투기 선수 히카르도 아로나, 주짓수 중량급 세계 강자중 하나인 부셰샤 알메이다 등이 서핑을 취미로 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서퍼들이 인사할 때 쓰는 제스쳐인 샤카 사인[1]역시 주짓떼로들에게 인사로 자리잡았다.

2 대한민국에서의 래시가드

2010년대 중반 들어 해변이나 수상스포츠를 위한 필수용품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해외에선 워터파크나 실내수영장같이 굳이 입을 필요없는 곳에서 까지 입는 경우는 없는데, 한국의 경우는 이런 곳조차 래쉬가드가 점령하면서 사실상 비키니의 대체재로 자리잡았다. 살 타는 것을 꺼려하는 점과 함께 래쉬가드 유행 전부터도 비키니에 반팔티를 덧입었던 것을 보면 노출은 부담스러워 하던 심리도 반영된 듯 하다. 실제로 적절한 핏을 골라 입으면 어느정도 몸매 보정 효과를 볼 수도 있다.

2.1 래시가드의 변화

대한민국에서 래시가드가 수상스포츠용이라기보다는 물놀이용 수영복[2]으로 변질되면서, 보통 래시가드는 배를 전체적으로 덮는데, 한국에서 출시되고 있는 래시가드 상품은 가슴을 드러내보이기에는 부담스럽지만 하반신에는 자신감이 있고, 더 나아가 까지도 자신이 있는 여성들을 겨냥해 변화되고 있다.

가슴이나 배를 드러내기에는 자신없지만.. 하반신은 자신있고 몸매는 어느정도 보여주고 싶어! 를 위한 변화비키니처럼 가슴을 드러내보이긴 부담스럽지만 하반신은 자신있고 배를 드러내면서 몸매를 보여주는것도 자신있어! 를 위한 변화[3]

2.2 래시가드 착용

남성용 래시가드도 많이 나와있지만, 남성의 경우 래시가드를 상의에 입고 하의는 일반적인 수영복을 입기에 간단하다.

반면 여성의 경우 착용하는 형태가 다양하고 방법도 다양하다. 래시가드를 입는 여성들의 심리가 보통 가슴전체적으로 노출하기는 부담스럽고, 몸매는 드러내보이고 싶은 것이다. 비키니처럼 상반신과 가슴을 노출하기 부담스러운 것이고 허벅지와 다리는 우리나라에서 전체적으로 덜 야하게 보는 경향도 있고, 그리 노출에 부담을 느끼지도 않기에 각선미를 내보이기 위해 상반신에 래시가드를 입고 밑에는 팬티만을 입거나 짧은 돌핀쇼츠등을 입는 경우가 많다. [4]
  1.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내민 손모양 전화 받는 모양이기도 하다.
  2. 주로 여성들이 이런 경향이 강하다
  3. 위 사진은 알카텔 Sol 광고의 설현
  4. 예시 (미스코리아 래시가드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