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메이드 인생이 비로소 겨우 임자를 만나 팔리었구나"주인공 P, 아들을 인쇄소 직공으로 취직시키며.[1]
1 개요
채만식의 단편소설. 신동아지에 1934년 5월호부터 7월호까지 연재된 작품이다.
2 상세
레디메이드(Ready-made)인생이란 기성품처럼 이미 만들어져서 세상에는 나왔지만 팔릴지 어떨지는 모르겠다라는 의미로 1930년대 당시 지식인들의 높은 실업률을 반영하듯 지식인들의 비애를 그린 소설이다.
사실 채만식 자신부터가 태평천하가 히트치기 전까진 그다지 형편이 좋은 편은 아니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자전적인 요소가 없는것도 아니다. 어느정도 일을 구하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지식인들에게 연민과 동정의 시선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방세도 못내면서 주인에게 체면깎이기 싫다고 비싼 해태 담배를 피운다거나 자신의 책과 양복까지 저당잡혀 얻은 돈으로 한바탕 유흥에 탕진하는 모습을 통해선 어쩔수없는 구제불능이라는 풍자적인 시선이 뒤엉켜있다. 채만식 본인도 이 소설을 쓰면서 심사가 매우 복잡했던 모양.
3 특징
이전의 한국 소설들과 이작품을 비교해보면 꽤나 흥미롭다. 이광수의 무정이나 흙은 교육을 받으면 조선이 계몽되고 교육받은 지식인들이 농촌에 내려가서 농민들을 깨우쳐야 한다는 식의 주장을 설파하고 있으나 채만식이 보기엔 그런 소리는 개소리 집어쳐! 무슨 계몽을 한다는거야랑 다를바가 없었던것 같다.
이런 채만식의 인식은 신문사에 취직자리를 알아보러 간 주인공에게 일자리를 주기 싫어서 이리빼고 저리빼던 신문사 사장이 농촌에 가서 계몽운동이나 해라라고 하는데서 드러난다. 한마디로 이광수 넌 실상 모르는 헛소리나 지껄이고 있다라는 말이나 다름없다. 실제로 작중에서 주인공은 농촌계몽운동은 허상에 불과하며 농민이 우매하다든지 문화가 뒤떨어졌다든지 또 생활이 비참한 것이 근본 원인이 기역 니은을 모른다든가 생활 개선을 할 줄 몰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고 반박하는데서도 이런 인식을 볼수있다.
4 현재 사회와 레디메이드 인생
이 소설이 발표된 지 80년 뒤 한국에는 대학을 나와도 취직이 안되는 현실이 재현되었다. 이 소설이 발표되었던 일제 강점기 이후를 보면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룩했고 80~90년대에는 대학만 나오면 무조건 취직이 된다고 말할 정도로 호경기도 있었지만, IMF 사태를 기점으로 경제 위기를 맞으며 구직난이 심화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1930년대는 세계 대공황 상태였고 오늘날도 세계금융위기를 맞고 있으니 여러 모로 공통점이 많다. 소설 말미에도 아들을 인쇄소에 취업시킬 때 인쇄소 사람은 우리같이 못 배운 사람들은 어떻게든 자식 공부 잘 시키려고 하는데 오히려 배운 당신이 왜 자식을 이런 일로 내모냐고 말하고, 화자는 공부는 배워봐야 쓸 데가 없으니 차라리 기술이나 배우는 게 낫다고 말한다. 이는 현대에 어중간한 4년제나 대학원 나와 노느니 전문대나 고졸 후에 기술직 다니는 게 낫다는 현 세태와 놀랍도록 일치한다. 작품의 메세지가 창작 당시뿐만이 아닌 현재에도 어울린다는 불편한 현실이다.- ↑ 사실 팔아먹은 것에 더 가깝다. 고향집에서 아들을 도시로 보낸 것도 일종의 유학이었는데, 화자는 바로 학교가 아닌 공장에 보내버렸다.